반응형

부산시(시장 박형준)와 (사)부산문화관광축제조직위원회는 2023년 11월 4일에 개최하는 '제18회 부산불꽃축제'의 유료 좌석을 9월 1일 오후 2시부터 공식 판매한다고 밝혔습니다.

‘부산불꽃축제'는 지난 2005년 에이펙(APEC) 정상회의 기념행사의 일환으로 시작된 이후 매년 100만 여 명이 찾는 명실상부 부산 대표 축제이자 부산 특화 관광상품으로, 올해 18회째를 맞이합니다.

특히 올해 행사는 11월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결정을 앞둔 시점에 개최되는 만큼 시민들의 유치 염원을 담아 화려하게 막을 열 예정입니다.

불꽃축제 유료좌석은 탁자(테이블)와 의자를 갖춘 R석과 의자만 제공하는 S석으로 구분합니다.

R석은 1천 석, S석은 5천 석을 배정하였으며, 관람권 비용은 각각 10만 원, 7만 원입니다.

관람권 구입은 공식 판매 대행사인 '예스24 티켓(http://ticket.yes24.com/)'에서 할 수 있습니다.

현장 판매는 부산은행 전 지점에서 진행하며, 이 경우 S석만 구매할 수 있습니다.

앞서 8월 23일에 판매한 조기구매권(얼리버드 티켓)의 경우 약 5분 만에 매진된 바 있습니다.

올해는 특히 인바운드* 여행사 문의가 급증하여 해외 관광객 비율이 코로나19 대유행 이전보다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합니다.
 ※ 인바운드 : 외국인의 국내 여행, 아웃바운드 : 내국인의 해외여행

불꽃축제 판매 수익금 전액은 불꽃 연출 확대, 관람객 편의 및 안전시설 확충, 그리고 행사 경호 및 안내 인력 신규 고용을 통한 일자리 창출 등에 투입하여 축제의 질 향상을 위해 쓸 예정입니다.

 

☆ 참고자료 : 2022년 행사 사진


박형준 부산시장은 “부산불꽃축제는 부산을 대표하는 축제인 만큼 매년 많은 인파에 대비해 철저하게 준비하고 있고, 작년 역시 한파 속에서도 안전하고 성공적으로 개최한 바 있다”라며, “올해도 모든 관람객이 안전하게 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올해 11월 2030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최종 발표를 앞두고 그간 유치 노력의 대미를 장식할 부산불꽃축제를 통해 부산의 뜨거운 유치 열망을 전 세계에 알려 부산세계박람회를 성공적으로 유치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하였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사)부산 문화관광축제 조직위원회(전화번호 051-713-5035)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 공식 홈페이지 http://www.bfo.or.kr/

출처 : 부산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2023년 8월 18일 개최한 '부산시 물가대책위원회(이하 위원회)'에서 시내버스 및 도시철도 요금 인상안이 심의 통과하였다고 밝혔습니다.

시내버스는 지난 2013년 11월 이후 10년 만에, 도시철도는 2017년 5월 인상 이후 6년 만의 요금 인상입니다.

시는 그간 환승할인제 시행, 급격히 상승한 인건비, 도시철도 노후화와 시내버스 장거리 노선 증가,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감소한 대중교통 이용률에 따라 재정적자가 가중되고 있어, 이를 더 이상 감당하기 어려워 요금 인상을 결정하게 되었다고 밝혔습니다.

당초 부산시에서는 시내버스 요금 400원 인상안을 제시했으나, 이번 위원회에서 시내버스 요금은 350원으로 50원을 하향 조정하였습니다.

참고로, 서울시는 지난 8월 시내버스 요금을 300원을 인상했고, 인천과 울산은 시내버스 요금을 250원 인상한 바 있습니다.

이에 위원회는 부산시의 시내버스 요금 400원 인상이 시민에게 경제적 부담으로 느껴질 것을 고려해 50원 하향한 조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도시철도의 경우 300원을 동시에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했으나, 가계 부담 경감, 정부 물가 시책에 유기적 협조 등을 고려하여 300원 인상 한도 내에서 올해 150원 인상하고, 나머지 150원은 내년(2024년) 5월 3일에 추가 인상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시내버스 요금은 교통카드 기준 350원 인상한 1,550원으로, 도시철도 요금은 150원 인상한 1,450원으로 조정, 오는 10월 6일 새벽 4시부터 적용합니다.

성인 교통카드 요금 기준으로 시내버스는 1,550원, 좌석버스는 2,050원, 심야 일반버스는 1,950원, 심야 좌석버스는 2,450원으로 인상하며, 현금은 100원을 추가합니다.

마을버스 요금은 시내버스 요금과 동일한 수준인 최대 350원 범위에서 각 구·군이 조정하되, 시내버스·도시철도와 같은 날 인상 적용합니다.

도시철도 요금은 교통카드 사용 시 1구간 1,450원, 2구간 1,650원으로 인상하며, 현금은 교통카드 요금에서 100원 추가합니다.

다만, 부산~김해 간 경전철 요금 조정은 경상남도 운임조정위원회 등 김해시의 행정절차를 거쳐 협의 후 시행할 예정입니다.

시는 이번 시내버스와 도시철도 요금 조정과 관련하여 지난 7월 대시민 토론회를 개최해 시민 의견을 수렴하였고, 시의회 의견 청취 및 부산시 교통혁신위원회 심의를 거쳐 요금 인상의 불가피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한 바 있습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에 불가피하게 요금 인상이 결정됐지만, 어린이 요금 무료화 시행, 청소년 요금 동결 등을 통해 지속되는 고물가에 따른 가계 부담을 최소화하도록 하겠다”라며, “또한 올해 8월부터 전국 최초로 시행 중인 대중교통 통합할인제 '동백패스'를 통해 대중교통 이용 시민의 부담을 줄이고 부산시의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한편, 시는 지난 8월 1일부터 시행한 동백패스 가입자가 시행한 지 20여 일 만에 12만 명에 달하는 등 시민의 관심이 큰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 시책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대중교통 수송 분담률이 2~3퍼센트(%) 올라갈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 부산 시내버스.도시철도 개정 요금표

◆ 시내버스
일반 350원 인상, 청소년 동결, 어린이 무료(현금은 동결)

버스종류 현행(단위:) 조정 후(단위:)
승객유형 교통카드 현금 승객유형 교통카드 현금

조정율
일반버스 일반인 1,200 1,300 일반인 1,550 29% 1,700
청소년 800 900 청소년 800 동결 900
어린이 350 400 어린이 0 무료 400
좌석버스
(2000번 시내구간 포함)
일반인 1,700 1,800 일반인 2,050 21% 2,200
청소년 1,350 1,700 청소년 1,350 동결 1,700
어린이 1,200 1,300 어린이 0 무료 1,300
심야버스
(좌석형)
일반인 2,100 2,200 일반인 2,450 17% 2,600
청소년 1,550 1,900 청소년 1,550 동결 1,900
어린이 1,400 1,500 어린이 0 무료 1,500
심야버스
(일반형)
일반인 1,600 1,700 일반인 1,950 22% 2,100
청소년 1,000 1,100 청소년 1,000 동결 1,100
어린이 550 600 어린이 0 무료 600

 

◆ 부산-거제 간 2000번 시외직행버스

  ※ 2000번 버스는 부산시-거제시 협의(2023년 5월 25일)에 따라 금액 결정

버스종류 현행(단위:) 조정 후(단위:)
승객유형 교통카드 현금 승객유형 교통카드 현금

조정율
2000
(시외)
일반인 4,200 4,500 일반인 5,700 36% 6,000
청소년 3,550 4,000 청소년 4,400 38% 5,000
어린이 3,200 3,500 어린이 4,000 41% 4,300

 

◇ 도시철도
일반 150원 인상, 청소년 동결, 어린이 무료(현금은 동결)

현행(단위:) 조정 후(단위:)
승객유형 구간 교통카드 현금 교통카드 현금

조정율
어른 1구간 1,300 1,400 1,450 12% 1,550
2구간 1,500 1,600 1,650 9% 1,750
청소년 1구간 1,050 1,150 1,050 동결 1,150
2구간 1,200 1,300 1,200 1,300
어린이 1구간 650 700 0 무료 700
2구간 750 800 0 800

 

출처 : 부산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2023년 8월 18일부터 8월 20일까지 3일간, 해운대구 영화의 전당에서 '2023 부산수제맥주 마스터스 챌린지'를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부산수제맥주 마스터스챌린지’는 부산의 대표 수제맥주 가운데 올해 최고 맥주를 만든 기업을 뽑는 '부산 수제맥주 평가회' 및 이와 연계한 다채로운 행사(프로그램)로 구성하였습니다.

부산수제맥주 업체의 역량을 강화하고 관련 업종 소상공인의 판로를 확대하기 위하여 지난 2018년부터 시가 소상공인 유망업종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개최해 오고 있습니다.

지난해(2022년)에는 밤바다를 배경으로 자갈치시장 물양장에서 개최하였으며, 올해는 ‘유네스코 영화 창의도시 도시, 부산’을 대표하는 영화의 전당에서 개최합니다.

이번 수제맥주 평가회는 8월 19일 6인의 전문가 심사와, 8월 18일에서 20일까지 3일간의 일반관람객 심사로 진행합니다.

참여기업별 수제맥주의 전문성과 대중성을 평가해 올해 최고의 맥주를 만든 1개 기업을 선정합니다.

우승자에게는 ‘위너(우승)인증서’가 수여되며, 시상식은 8월 20일 영화의 전당 특설무대에서 진행할 예정입니다.

★ 참여업체 명단

연번 업체명 대표자 소재지 비 고
1 갈매기브루잉 ALLSOPP STEVEN 강서구 대한민국 제1세대 수제맥주 양조장
2 고릴라브루잉 EDWARDS PAUL 수영구 부산 기반 수제맥주로 수출 중
3 밀당브로이 이승훈 북구 서부산 대표 맥주업체로 국내 최초 민관학 협업 지역맥주인 구포맥주 개발, 판매 중
4 부산맥주 노재영, 김가득 중구 부산을 담은 맥주를 만들기 위해 제품명을 지역명에서 가져오는 특색
5 부산프라이드브루어리 이가영 기장군 부산 식음료 기업 FNC바텐더들의 조주법 특징
6 와일드웨이브 김관열 기장군 야생 효모와 미생물로 특색있는 수제맥주 제조
7 와일드캣부루잉 KIM DAVE, 김유선 부산진구 캘리포니아 스타일의 클래식한 수제맥주 제조
8 툼부로이 MEYNDT ANDREAS HUBERT 해운대구 독일 바이레른주 양조장, 툼브로이 6대 후손이 송정에서 직접 만드는 독일 정통 수제맥주
9 프라하크래프트브루어리 PALIWAL SHYAM SUNDER 수영구 993년 체코 최초 맥주 양조장 프라하 브레브노프 수도원 방식 재현 수제맥주

 

수제맥주 평가회 외에도 개막식, 개막(오프닝)공연, 쇼케이스 등이 주(메인)행사로 함께 진행하며, 다채로운 부대행사도 열립니다.

특히, 올해 행사는 부산경제진흥원, (재)영화의전당과 공동 주관하는 만큼, 다양한 체험과 먹을 거리를 통하여 방문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할 예정입니다.

부대행사로는 부산시 지원사업 참여 소상공인의 상품을 홍보‧판매하는 특설매점(팝업스토어), 반려동물 관련 유망업종 벼룩시장(플리마켓), 제로페이‧동백통‧소상공인종합지원센터 홍보관 운영, 반지‧피자 만들기 등 체험장(부스)을 운영합니다.

이외에도. 수산물 특화상품 특별전, 부산시 수산물 안심 홍보관 등을 운영하여 후쿠시마 원전 처리수 방류를 앞두고 지역 수산물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을 불식시키고 판매를 촉진합니다.

또한, 영화의 전당에서 모든 시민이 즐길 수 있는 문화 공연과 영화를 상영하여 부산 수제맥주와 한여름 밤의 정취를 함께 느낄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신창호 부산시 디지털경제혁신실장은 “이번 행사가 부산수제맥주 기업에게는 역량 강화와 판로 개척의 기회를, 시민들에게는 한여름 밤의 즐거움을 선사하는 소상공인 축제 한마당으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우리시는 여기에 그치지 않고 이 행사가 아시아의 대표적인 수제맥주 챌린지로 발전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지원을 이어나가겠다”라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부산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전국 최초로 '광역지방자치단체 한달 살기 프로그램(1기)'을 2023년 6월 성황리에 마치고, 2기 참가자를 8월 20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습니다.

'한달 살아보니, 살기좋은 부산(이하 한달 살기)'은 원도심 지역(부산 중구․동구․서구․영도구)의 잘 알려지지 않은 관광지를 발굴하여 홍보하고, 체류형 여행을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한 행사입니다.

참가 조건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이용할 수 있는 만 19세 이상의 타 시.도 거주자로, 주어진 임무(미션) 수행시 숙박비(원도심 지역 숙소 대상, 팀당 1일 5만 원이내), 체험프로그램 쿠폰(1인당 5만 원 상당), 여행자보험(1인당 2만 원 상당)을 지원받습니다.
단, 식비와 생활비는 자부담입니다.

한편, 10:1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발된 1기는 2023년 6월 한 달간 부산 원도심 곳곳을 누비며 부산의 숨은 맛집․멋집을 개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널리 홍보하였습니다.

지난 5월, 1기 참가자 모집시 124개 팀이 신청하여 10:1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뚫고 13개 팀이 최종 선발되었습니다.

2023년 1기 참가 신청자 및 선발대상자 조사 결과 20~30대 서울․경기 거주자가 75퍼센트(%)를 차지할 만큼 수도권 지역에서 부산 한 달 살기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높게 나타났습니다.

‘한달 살기(1기)’ 참가 신청자는 총 124명으로, 지역별로는 서울(57명), 경기(32명), 경상(15명), 충청(11명), 전라(7명), 강원(2명)이, 연령별로는 20대(50명), 30대(44명), 40대(16명), 50대(11명), 60대 이상(3명)으로 다양하게 나타났습니다.

희망 체류 기간은 10일 미만(43명), 20일 미만(35명), 20일 이상(46명)으로 기간과 관계없이 부산을 방문하고자 하는 여행 수요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1기 참가자 만족도 조사 결과 매우 만족(64.3%)과 만족(35.7%)이었으며, 이번 원도심 한달 살기를 통하여 원도심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져 재방문하고 싶다는 의향을 보이는 등 높은 만족도를 보였습니다.
  ※ 사업목표(참가자 35명이상, SNS 게시 400건이상) 대비 참가자(17명) 49%, SNS 게시(263건) 66% 달성

‘한달 살아보니, 살기좋은 부산(2기)’ 참가자 모집은 2023년 8월 1일부터 20일까지며, 참가서류 심사를 통해 20개 팀(예정)을 최종 선발합니다.

이들은 오는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부산관광 홍보대사’로 활동할 예정입니다.

2기도 1기와 마찬가지로 원도심 지역(부산 중구, 동구, 서구, 영도구)을 대상으로 숨은 관광지 발굴 및 홍보대사 활동을 할 참가자(20팀)를 모집합니다.

1기 활동 시기(6월)와 달리, 2기 활동 시기는 축제의 도시 부산에서 원도심의 다채로운 축제(자갈치 축제, 차이나타운 축제, 영도다리 축제등)가 열리는 9~10월로,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원도심을 더욱 더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참가 신청은 온라인 지원서 작성 및 제출(https://bit.ly/busan1month)로 진행하며, 참가요건 및 모집 요강 등 기타 자세한 사항은 부산시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관련 문의는 운영사무국(전화번호 070-4159-4692)으로 연락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부산시 관계자는 “1기 참가자 모집에 10:1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기록한 것을 보면, 부산은 관광객들에게 매력적인 도시로 누구나 여행하고 싶고, 살아보고 싶은 도시”라며, “한달 살기 프로그램을 통해 부산 원도심의 맛과 멋을 느끼고 그 느낌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확산해 원도심 관광이 활성화되기를 희망한다”고 전하였습니다.

출처 : 부산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저소득·취약계층 자녀(초3~중2)를 대상으로, 체험 중심 영어 학습을 위한 '꿈나무 여름방학 영어캠프'를 2023년 7월 28일부터 8월 3일까지 6박 7일간 부산진구에 위치한 '부산 글로벌 빌리지'에서 합숙형으로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 꿈나무 여름방학 영어캠프 운영개요
  운영기간 : 2023년 7월 28일 ~ 8월 3일 (6박 7일 / 합숙)
  참가대상 : 초3~중2 학생 204명. 저소득·취약계층 우선 선발   
  교육내용 : 상황별 체험을 통해 놀이 기반의 영어학습 진행
  운영기관 : (주)부산글로벌빌리지
  참가비용 : 무료
  신청방법 : 거주지 구.군으로 신청

 

★ 부산 각 자치구.군 담당부서 및 연락처

. 부서 전화번호
중구 홍보교육과 051-600-4161
서구 교육진흥과 051-240-3531
동구 교육정보과 051-440-4821
영도구 평생교육과 051-419-4522
부산진구 교육체육과 051-605-4872
동래구 평생교육과 051-550-4462
남구 평생교육과 051-607-6522
북구 교육지원과 051-309-6161
. 부서 전화번호
해운대구 교육도서관과 051-749-6379
사하구 평생교육과 051-220-4931
금정구 평생교육과 051-519-4295
연제구 평생교육과 051-665-5505
강서구 총무과 051-970-2301
수영구 평생교육과 051-610-3932
사상구 평생교육과 051-310-4922
기장군 교육청소년과 051-709-4332
 
지난 2010년부터 올해로 14년째 운영 중인 ‘꿈나무 영어캠프’는 저소득.취약계층 자녀들의 영어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하여 체험 중심의 영어학습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교육비는 전액 시에서 부담합니다.
 
운영 이래 작년까지 총 9,000여 명이 참여해 학생들의 영어교육을 위한 부산시의 대표 사업으로 자리매김 하였습니다.
 
특히, 부산시는 민선 8기 주요 공약사업으로 시민 누구나 영어를 자유롭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영어하기 편한 도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아이들의 영어교육 기회 확대를 위해 꿈나무 영어캠프 및 관련 사업들을 지속적으로 확대해갈 예정입니다.
 
참여를 희망하는 학생은 2023년 7월 10일부터 7월 17일까지 거주지 구‧군으로 신청하면 됩니다.
※ 위 연락처 참고
 
저소득·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만큼 저소득층 자녀를 우선 선정하고, 다문화‧3자녀 가정의 자녀에게 차순위 기회를 부여합니다.
 
지난 3년간은 코로나19로 인하여 비대면·통학형으로 운영하었으나, 올해는 집중형 영어캠프의 취지를 살려 기존 방식인 합숙형으로 진행합니다.
 
참여 학생들은 입소 후 진단평가를 시행하고, 수준별로 반(초․중 분리)을 편성하여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7시 30분까지 체험 위주의 영어학습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남정은 부산시 청년산학국장은 “꿈나무 영어캠프를 통해 많은 학생이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얻기를 바라며, 아울러 더 많은 학생과 시민이 자유롭게 영어를 배울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영어하기 편한 도시 부산’이 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부산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부산시(시장 박형준)와 (재)부산경제진흥원은 임차 소상공인의 임대료 부담경감 및 장기간 안정적 영업환경 조성을 위한 '2023년 부산형 장기안심상가 지원사업'의 대상자를 6월 15일부터 6월 30일까지 공개모집 한다고 밝혔습니다.

‘장기안심상가 지원사업’은 부산시 소재 상가건물로 5년 이상 임대료 안정화 등 임차인과 상생협약을 체결한 상가 임대인에게 특전(인센티브)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부산시는 2018년부터 임대료 급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임차인의 임대료 부담완화 및 장기간 안정적 영업환경을 지원하기 위해 ‘장기안심상가 지원사업’을 추진하여 오고 있으며, 현재까지 ‘부산형 장기안심상가’로 선정된 곳은 총 24곳입니다. 

올해 ‘부산형 장기안심상가’ 지원 대상은 공모 선정 과정을 통해 임차 소상공인과 5년간 임대료 동결(인하 포함) 및 인상 자제 상생협약을 확약할 상가 임대인입니다.

최종 선정된 상가 임대인에게는 5년간 임대료 동결 등에 따른 차액분 일부를 지원하는 개념으로 최대 1,500만 원의 특전(인센티브) 지원과 장기안심상가 현판 부착 등의 혜택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신청을 희망하는 상가 임대인은 6월 30일까지 부산시 소상공인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http://bsbsc.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하면 됩니다.
 
신청 상가에 대해서는 1차 전문가 심사(서류 및 현장 확인)와 2차 선정위원회(부산시 장기안심상가위원회)를 통해 총 30여 개의 ‘부산형 장기안심상가’를 선정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둥지 내몰림(젠트리피케이션, 예상지역 포함)과 상권지역 등의 상가 임대인에게 가점 부여 등으로 실제로 지대상승 가능성이 높은 지역 상가의 사업 참여를 적극적으로 독려하고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부산시 소상공인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 및 부산경제진흥원(https://www.bepa.kr/)의 공고문을 참조하면 됩니다.

문의 사항은 부산시 소상공인종합지원센터(전화번호 051-600-1719, 1789, 1711)로 연락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신창호 부산시 디지털경제혁신실장은 “부산형 장기안심상가 지원사업으로 소상공인들이 임대료 부담을 조금이라도 덜고 안정적인 영업활동을 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 “어려운 경제 상황 속에서 임대인과 임차인 간 상생 도모와 지역 상권 보호를 위해 상가 임대인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당부드린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부산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부산시 중구청에서는 2023년 여름방학을 맞이하여 아래와 같이 대학생 행정체험(아르바이트) 참가자를 모집합니다.

Ⅰ.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23.7.3.(월)~7.30.(일)
 ❍ 대상 : 공고일 기준 중구에 주민등록 되어있는
               만 18세 ∼ 39세 이하 대학(교) 재·휴학생
 ❍ 임금 : 10,948원(시급)
 ❍ 근무시간 : 주35시간(주5일 7시간, 1시간 휴게시간)
 ❍ 사업내용(근무 부서)

부서명 인원 근무장소 주요업무 업무시간 연번
총무과 1 자원봉사센터 프로그램 보조 및 행정보조 등 ~
9~17
1
문화관광과

1 40계단문화관 행정업무보조 및 시설관리 등 ~
(월요일휴관)
10~18
2
2 중구문화원 중구문화원 내 운영보조
(프로그램 진행, 전산업무 등)
~
10~18
3, 4
1 고맙습니다.글마루작은도서관 도서정리, 행정업무보조 및 시설관리 등 ~
(월요일휴관)
10~18
5
1 보수동책방골목어린이도서관 도서정리, 행정업무보조 및 시설관리 등 ~
(월요일휴관)
10~18
6
홍보교육과 1 중구 국제화센터 중구 국제화센터 운영보조 등 ~
10~18
7
재무과 2 재무과 사무실 서고 회계서류 정리보조 등 ~
9~17
8, 9
세무과 2 세무과 세무민원 안내 및 납부 도우미 등 ~
9~17
10, 11
일자리
경제과
2 중구 청년센터 운영홍보보조 및 시설관리 등 ~
(월요일휴관)
10~18
12, 13
2 중구 청년센터 운영홍보보조 및 시설관리 등 ~
(월요일휴관)
10~18
14, 15
복지정책과 2 중구다솜나래푸드마켓 기부식품등제공사업장 업무보조 등 ~
9~17
16, 17
재생건축과 1 마을지기사무소 마을지기사무소 사무보조 등 ~
9~17
18
가족행복과

1 중구노인복지관 복지관 행정업무 보조 등 ~
9~17
19
1 중구노인복지관 분관 사무실 및 프로그램 업무보조 등 ~
9~17
20
2 대한노인회 부산중구지회 경로당 회계정산 보조 및 노인일자리 업무보조 등 ~
9~17
21, 22
1 중구 청소년문화의집 행정업무보조 등 ~
(월요일휴관)
10~18
23
2 희망지역아동센터 지역아동센터 행정 및 아동지도 등 ~
12~20
24, 25
1 동광해들지역아동센터 지역아동센터 행정 및 아동지도 등 ~
10~18
26
2 중구 다함께돌봄센터 돌봄센터 방과후 학습도우미 및 업무지원 등 ~
9~17
27. 28
보건과 4 광복동 등 중구 일대 금연구역 내 흡연행위 계도 활동 및 금연시설 점검 보조 등 ~
9~17
29~32
1 보건소 국가암건진사업 업무보조 등 ~
10~18
33
1 보건소 영양플러스사업 업무보조 등 ~
9~17
34
2 복합건강센터 복합건강센터 안내 및 업무보조 등 ~
9~17
35, 36
1 영주1동 마을건강센터 마을건강센터 업무보조 등 ~
9~17
37
중앙동 1 중앙동주민센터 행정 및 복지, 민원업무보조 등 ~
10~18
38
보수동 1 보수동행정복지센터 행정 및 복지, 민원업무보조 등 ~
9~17
39
광복동 1 광복동주민센터 행정 및 복지, 민원업무보조 등 ~
9~17
40

※ 업무요일 특이사항(평일휴무 및 주말근무 등) 존재 유의

 

Ⅱ. 접수 및 선발
 ❍ 접수기간 : 2023. 6. 1.(목)~2023. 6. 14.(수) 18시 한
 ❍ 신청자격
  ▷ 공고일 기준 중구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만 18세 ∼ 만 39세 이하 중구민
  ▷ 대학(교) 고등교육법 제2조 제1호∼제4호에 의한 학교(대학, 산업대학, 교육대학, 전문대학)
에 재·휴학 중인 자(대학원, 해외유학, 학점은행제 등 제외)
    ※ 졸업예정자 및 예비대학생(대학합격증 제출) 참여 가능
 ❍ 접수방법 : 중구청 일자리경제과 방문 또는 이메일(gertrude1993@kor ea.kr)
               (이메일 접수 시 확인전화 혹은 접수완료답신 확인 필수)
  ▷ 제출서류 : 참여 신청서 및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
                  주민등록 초본(전주소변동有), 재‧휴학 증명서, 고용보험 자격이력 내역서, 특별전형 확인 서류(해당자)
  ▷ 이메일 접수 시 자필서명 후 스캔파일 제출(사진촬영본 불가)
    ※ 참여 신청서 및 개인정보 수집·이용·제공 동의서는 중구청 홈페이지 -> 고시공고 란
    ※ 고용보험 자격이력 내역서는 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에서 발급 가능
    ※ 모든 서류는 공고일 이후 발급분만 유효, 방문 접수 시 신분증 지참
 ❍ 선발인원 : 일반전형 35명, 특별전형 5명

 

◎ 필요 서류 첨부파일 (아래아한글 HWP 양식)

2023하계부산중구아르바이트공고문.hwp
0.02MB
2023년부산중구 하계 선발기준점수표.hwp
0.01MB
2023부산중구아르바이트신청서.hwp
0.02MB


  
[특별전형 선발자] ①기초생활수급권자 ②차상위계층 ③장애인 본인
                 ④국가유공자 본인 및 자녀 ⑤한부모가족 ⑥북한이탈주민
 ※ 임금지급 후 기초생활 수급금액에 영향이 있음을 사전 고지함 
 
 ❍ 선발방법 : 선발기준 점수표 적용
  ▷ 특별전형 신청인원 미달 시 일반전형 선발자로 대체 선발
  ▷ 선발기준 점수표에 따른 고득점자 선발(모집 전형별 개별 심사)
  ▷ 선발 고득점자 순서대로 근무지 추첨 · 배치
   ※근무지는 추첨으로 정해지며, 근무지 변경은 원칙적으로 불가함.
   ※아동센터 및 일부 사업장은 범죄경력회보서 등 개별 추가필요서류 있을 수 있음. (이를 사유로 근무지 변경불가.)
  ▷ 미선발자는 예비참여자로 자동 순번 지정(모집 전형별)

Ⅲ. 참여자 발표 및 등록
❍ 참여자 발표 : 2023. 6. 28.(수) 한, 개별 문자안내
❍ 참여자 등록 : 2023. 6. 28.(수)~6.30.(금), 중구청 6층 일자리경제과
  ▷ 본인명의 통장사본, 신분증 지참
  ▷ 대리방문 시 위임장, 방문인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등 지참
  ▷ 기간 내 미등록 시 포기로 간주될 수 있음

Ⅳ. 문의처 : 부산 중구청 일자리경제과 (전화번호 051-600-4485) 

출처 : 부산광역시 중구

반응형
반응형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2023년 6월 1일부터 코로나19 감염병 재난 위기경보 단계가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정됨에 따라 시민들의 안전한 일상 회복을 위한 대응계획을 수립하고 주요 방역 조치를 완화한다고 밝혔습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질병위험도 하락과 안정적 방역상황, 세계보건기구(WHO)의 공중보건위기상황 해제 발표(2023년 5월 5일) 등을 고려해 오는 6월 1일부터 코로나19 위기 경보 수준을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정을 결정하였습니다. 

아울러, 지난 3월 29일 발표한 '코로나19 위기단계 조정 이행안(로드맵)'을 점검하고, 단계별 세부계획에 따른 주요 방역조치를 조기에 시행하는 '방역조치 전환 계획'을 마련해 6월 1일부터 전국적으로 시행하기로 하였습니다.

부산시도 정부의 위기단계 하향 및 방역조치 전환 계획에 따라, 자체 대응계획을 수립.시행해 오는 6월 1일부터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중심으로 주요 방역조치를 완화하고 안전한 일상회복을 위한 일부 대응체계를 유지합니다.

주요 방역조치 완화내용은
 ◇ 확진자 7일 격리 의무를 5일 권고로 전환,
 ◇ 의원·약국 마스크 착용 권고 전환(병원급 의료기관, 입소형 감염취약시설 의무 유지),
 ◇ 감염취약시설 방역수칙 개편(종사자 선제검사 권고 전환, 대면 면회 시 방역수칙 준수 하에 입소자 취식허용),
 ◇ 입국 후 3일 차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검사 권고 종료 등입니다. 

주요 방역조치 완화에도 불구하고 시민의 건강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선별진료소를 지속 운영해 고위험군 중심의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검사를 시행하며, 진단.치료.처방이 가능한 원스톱 진료기관과 재택치료자를 위한 의료상담센터와 행정안내센터 운영은 현재 지원체계를 당분간 유지합니다.
 단, 6월 1일부로 부산시청 임시선별검사소 운영과 부산형 건강관리도구(세트) 지원은 중단합니다.

또한, 입원치료비, 예방접종, 치료제, 격리지원금(생활지원비, 유급휴가비) 등 지원체계도 당분간 유지함으로써 시민 부담을 경감합니다. 

시는 고위험군 보호를 위해 2023년 상반기 코로나19 고위험군 추가접종을 321개 위탁의료기관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접종을 권고받은 65세 이상 시민과 항암치료자 등 면역저하자는 방역조치 완화에도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당부하였습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우선 일상회복에 들어가기까지 코로나19 일선 현장에서 불철주야 애쓰신 의료진과 코로나19 확산 예방에 동참해주신 부산시민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전한다”라며, “우리시는 안전한 일상회복을 위해 코로나19 유행 전망을 지속적으로 관찰(모니터링)하고 대응체계를 유지하는 등 감염병으로부터 시민건강을 보호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하였습니다.

아울러, “시민 여러분들께서도 안전한 일상회복으로 조속히 나아가기 위해 손씻기, 환기와 소독, 기침예절 등 방역수칙 준수 생활화에 적극 동참해주길 부탁드린다”라고 덧붙였습니다. 

◎ 코로나19 위기단계 하향(심각→경계)에 따른 분야별 방역 조치사항(2023년 6월 1일부터 시행)

구분
현행
변경(심각경계)
시행일









방역
조치

마스크
일부 유지
(의료기관·약국, 입소형 감염취약시설)

의원·약국 권고 전환
(병원급 의료기관 및 입소형 감염취약시설은 당분간 유지)

23.6.1.
(경계 하향시)









격리
확진자 7일 격리
확진자 5일 격리 권고 전환
23.6.1.
(경계 하향시)









검역
입국후 3일차 PCR 권고
입국후 3일차 PCR 권고 종료
23.6.1.
(경계 하향시)







감염취약
시설보호

종사자(1) 선제검사(PCR)
입소자(입소시) 선제검사(PCR)
접종력에 따른 외출외박 허용
접촉 대면면회 시 취식금지
(방역수칙 준수)

종사자 선제검사 권고 전환
* 유증상, 다수인 접촉 등 필요시 PCR 또는 RAT
입소자(입소시) 선제검사 유지
접종력에 따른 외출외박 허용 유지
접촉 대면면회 시 취식허용(방역수칙 준수)

23.6.1.
(경계 하향시)









감시
전수 감시
유지 전수 감시
-









통계
일단위 통계 집계·발표
단위 발표
23.6.1.
(경계 하향시)









의료
병상
지정병상(상시+한시)
일반병상

한시지정병상 축소
상시병상 중심 운영

23.6.1.
(경계 하향시)









재택/외래
원스톱진료기관 운영
재택치료 지원

유지 원스톱진료기관 운영
재택치료 지원
*부산형 건강관리세트 지원 중단(6.1~)

-










검사
선별진료소 운영
임시선별검사소 운영

유지 선별진료소 운영
*부산시청 임시선별검사소 중단(6.1~)











지원
검사비
우선순위 PCR(무료)
의료기관 RAT(무료)

유지 우선순위 PCR(무료)
의료기관 RAT(무료)

-









입원 치료비
전체 입원환자 지원
유지 전체 입원환자 지원
-









생활지원비유급휴가비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종사자수 30인 미만 기업

유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종사자수 30인 미만 기업

-









방역물자
보건소선별진료소감염취약시설 개인보호구 지원
유지 보건소선별진료소감염취약시설
개인보호구 지원

-









치료제
정부 일괄 구매, 무상공급
유지 정부 일괄 구매, 무상공급
-









예방접종
누구나, 무료접종
유지 누구나, 무료접종
-









대응체계
중대본
중수본+범정부대책지원본부
23.6.1.
(경계 하향시)

표 출처 : 질병관리청

본문 및 배너 출처 : 부산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부산시(시장 박형준)가 2021년 9월 6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3단계로 조정합니다.

기간은 추석 연휴를 고려하여, 2021년 10월 3일까지 4주간 적용할 예정입니다.

 

부산시청 홈페이지 http://www.busan.go.kr/

부산시는 2021년 9월 3일 오후, 기자설명회에서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조정방안에 맞춰 부산지역 거리두기 단계를 3단계로 완화한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오는 10월 3일까지 수도권에는 4단계를, 비수도권에는 3단계를 적용하는 거리두기 단계 조정방안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부산지역은 지난달 둘째 주를 정점으로 확진자가 차츰 감소하고 있고, 예방접종률은 증가하는 등 다소 안정적인 감염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실제, 부산시는 지난달 21일 세자릿수 확진자(118명)가 발생한 이후 열흘 넘게 하루 두 자릿수 확진자 발생을 유지해 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난 7월 19일부터 7주째 유흥시설, 노래연습장 등에 대한 집합금지가 이어지고, 지난달 10일부터는 사회적 거리두기 최고 단계인 4단계를 적용하면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는 그야말로 뼈를 깎는 고통 속에서 절박한 삶을 이어가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부산시는 서민경제와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생활방역위원회, 중대본과 협의를 거쳐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3단계로 조정합니다.

다만, 여전히 지역 내에 전파력이 강한 델타 변이바이러스 등이 확산되고 있는 만큼 일부 방역수칙을 강화합니다.

먼저, 오는 9월 6일부터는 사적모임은 4명까지 허용되며, 예방접종 완료자를 포함하는 경우 8명까지 허용합니다. 이 경우 예방접종 미완료자는 4명까지 가능하며, 행사와 집회도 49명까지 허용합니다. 

그 동안 영업이 중단되었던 유흥시설(유흥주점, 단란주점, 클럽(나이트), 감성주점, 헌팅포차), 콜라텍·무도장, 홀덤펍·홀덤게임장과 노래연습장의 운영도 재개합니다. 단, 영업시간은 22시(밤 10시)까지로 제한합니다.

식당·카페, 편의점, 포장마차는 22시까지 매장 내 취식이 가능하고, 22시부터 다음날 새벽 5시까지는 포장과 배달만 허용됩니다. 또, 시설면적과 관계없이 모든 영업장에 좌석 또는 탁자(테이블) 한 칸 띄우기 등을 적용합니다. 

다수의 확진자가 발생한 목욕장업의 경우, 현재와 같이 22시까지 운영이 가능하고, 한증시설(사우나 등) 운영은 금지합니다.

숨은 감염자를 조속히 찾기 위한 종사자 주기적 검사도 강화합니다.

 

시는 유흥시설과 (코인)노래연습장, 목욕장업, 실내체육시설, 학원·교습소, 백화점·대형마트, PC방, 요양병원, 요양시설 사업장 내 근무하는 모든 종사자를 대상으로 주기적 검사(2주 1회)를 시행할 방침입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그동안 지역사회 내 감염 예방을 위한 고강도 대책이 시행되면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가중되어 안타까움과 고민이 많았다”라며 “어렵게 단계 완화가 결정된 만큼, 그간의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지 않도록 방역의 고삐를 다시 한번 조이고, 마음가짐도 굳혀야 한다. 시민 여러분과 영업주들께서는 방역수칙을 적극적으로 준수해주시길 당부드린다”라고 강조하였습니다.

아울러, 부산시는 추석 연휴 중 많은 이동이 예상되는 만큼 추석 특별방역대책을 마련해 감염위험 최소화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입니다.

감염 고위험시설은 특별점검을 진행하고, 연휴기간 중 선별진료소와 감염병전담병원 등 의료 대응체계를 빈틈없이 구축할 계획입니다.

○ 주요 시설별 방역수칙 요약표 

 

구분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 3단계 + 방역수칙강화
① 모임·행사
  사적 모임 ▸5명 이상 사적모임 금지
 - 식당 등 다중이용시설에 5명 이상 예약 및 동반입장 금지



기타 모임·행사 행사·집회는 50명 이상 금지
 * 단, 집회의 경우 예방접종 완료자라도 인원 수 산정 시 제외하지 않음
② 다중이용시설  * 종사자등: 시설(사업장)내 근무하는 모든 종사자를 말함  
  공통수칙 마스크 착용, 방역수칙·이용인원 게시 및 안내, 출입자 명부 관리, 주기적 환기·소독, 증상확인 및 출입제한, 음식섭취 금지(일부 시설 미적용), 방역관리자 지정
1
그룹 
 
시설
유흥시설
(유흥주점, 클럽(나이트),
단란주점, 감성주점, 헌팅포차)

 
 
시설 면적 8㎡당 1명 인원 제한 * 클럽, 나이트는 10㎡당 1명
 * 이용인원 산정시 유흥종사자 포함
22시 ~ 익일 05시 까지 운영제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의무(유흥종사자 포함, 수기명부작성 불가)
▸가창시 마스크 착용 등 의무사항 준수
유흥시설 종사자등 주기적 검사 2주 1회
* 단, PCR 검사 ‘음성’ 확인자(2주 이내 음성확인서)만 종사
콜라텍·무도장 시설 면적 10㎡당 1명 인원 제한
22시 ~ 익일 05시 까지 운영제한
종사자등 주기적 검사 2주 1회
* 단, PCR 검사 ‘음성’ 확인자(2주 이내 음성확인서)만 종사
홀덤펍‧홀덤게임장 시설 면적 8㎡당 1명 * 이용인원 산정시 딜러 포함
주사위, 카드 등 공용물품 사용 시 장갑착용 또는 손소독하기(권고)
22시 ~ 익일 05시 까지 운영제한
종사자등 주기적 검사 2주 1회
* 단, PCR 검사 ‘음성’ 확인자(2주 이내 음성확인서)만 종사
 
2
그룹
 
시설
식당·카페
(무인카페, 편의점·포장마차 포함)
▸22시 ~ 다음날 5시까지 포장·배달만 허용
 * (편의점·포장마차) 매장내 취식장소 및 야외테이블 제공 금지
테이블 간 1m 거리두기 또는 좌석/테이블 한 칸 띄우기 또는 테이블 간 칸막이 설치(시설면적 구분없이 모든 영업장 동일 적용)
 
▸2인 이상이 커피·음료류, 디저트류만을 주문했을 경우 매장 내 머무르는 시간을 1시간으로 제한(강력 권고)
(코인)노래연습장 22시~익일05시까지 운영제한
종사자등 주기적 검사 2주 1회
* 단, PCR 검사 ‘음성’ 확인자(2주 이내 음성확인서)만 종사
목욕장업 시설 면적 8㎡당 1명 인원 제한
▸22시~익일05시까지 운영제한
▸음식 섭취 금지(물·무알콜 음료는 허용)
종사자등 주기적 검사 2주 1회
한증시설(사우나 등), 수면실 이용금지
실내체육시설
(고강도유산소중심운동)
종사자등 주기적 검사 2주 1회
▸시설 면적 8㎡당 1명 인원 제한(체육도장, GX류 6㎡당 1명)
▸(수영장) 22시~익일 05시까지 운영제한, 샤워실 한 칸 띄우기
  (칸막이 있는 경우 제외)
▸(탁구) 시설 내 머무는 시간 최대 2시간 이내 복식 경기 및
  대회금지, 탁구대 간격 2m 유지 및 안내
(배드민턴, 테니스, 스쿼시 등) 시설 내 머무는 시간 최대 2시간 이내,
  샤워실 운영금지
▸(GX류 운동) 음악속도 100~120bpm 유지, 샤워실 운영금지
(체육도장) 상대방과 직접 접촉이 일어나는 운동(겨루기, 대련,    시합 등) 금지, 샤워실 운영금지
5명 이상 팀을 구성해야 하는 운동경기 종목의 경우
  경기인원의 1.5배 초과 금지

(예: 풋살의 경우 감독, 심판 등 모두 포함 15명(팀5명×2팀×1.5배) 이내)
방문판매 등을 위한
직접판매홍보관
▸22시~익일 05시까지 운영제한
시설 면적 8㎡당 1명 인원 제한
▸음식 섭취 및 제공 금지(물·무알콜 음료는 허용)
3
그룹
 
시설
학원 등 종사자등 주기적 검사 2주 1회
좌석 두 칸 띄우기 또는 시설면적 6㎡당 1명(좌석 없는 경우)
음식 섭취 금지(물·무알콜 음료는 허용)
(기숙형학원) 입소전 PCR검사결과 제출 등 관리 하에 운영가능(2~4단계)
영화관·공연장 ▸동행자 외 좌석 한 칸 띄우기
▸상영관, 공연장 내 음식 섭취 금지(물·무알콜 음료는 허용)
▸(정규공연시설) 회당 최대 관객 수는 5,000명 이내 제한
▸(정규공연시설 외 공연) 6㎡당 1명(최대 2,000명 이내)
독서실·스터디카페 좌석 한 칸 띄우기(칸막이 있는 경우 제외)
음식 섭취 금지(물·무알콜 음료는 허용, 별도 음식섭취 가능한 공간(푸드존 등) 에서만 섭취)
결혼식장 ▸웨딩홀별 4㎡당 1명(개별 결혼식당 50명 미만)
 * 3~4단계에서 식사 제공이 없는 결혼식의 경우99명까지
장례식장 ▸4㎡당 1명(빈소별 50명 미만)
실내체육시설
(비교적 중‧저강도 운동)
종사자등 주기적 검사 2주 1회
▸시설 면적 8㎡당 1명 인원 제한
▸샤워실 운영금지
음식 섭취 금지(물·무알콜 음료는 허용)
▸(피트니스) 러닝머신 속도 6km 이하 유지 및 안내
(무도학원) 무도행위 시 마스크 계속 착용
놀이공원 ▸수용인원의 50%
워터파크 ▸수용인원의 30%
오락실·멀티방 시설 면적 8㎡당 1명
음식 섭취 금지(물·무알콜 음료는 허용)
상점‧마트·백화점
(300㎡ 이상)
종사자등 주기적 검사 2주 1회
▸판촉용 시음‧시식금지, 마스크를 벗고 이용하는 견본품 제공금지
▸휴게공간 이용금지 ▸집객행사 금지 ▸출입자 발열체크
3~4단계 시 전자출입명부 및 안심콜 또는 수기출입명부 작성
- 대규모점포(3,000㎡이상) 의무, 300㎡이상 준대규모점포 및 종합소매업 권고
카지노
(외국인 카지노제외)
▸수용인원의 30%
PC방 종사자등 주기적 검사 2주 1회
▸좌석 한 칸 띄우기(칸막이 있는 경우 좌석 띄우기 없음)
음식 섭취 금지(좌석별 칸막이 있는 경우 제외)
기타
 
시설
스포츠경기(관람)장 실내 경기장 수용인원의 20%
실외 경기장 수용인원의 30%
▸함성·응원 금지
▸관람석 내 음식물 섭취 금지(물·무알콜 음료는 허용)
경륜장·경정장·경마장 수용인원의 20%
박물관·미술관‧과학관 시설 면적 6㎡당 1명의 50%
실외체육시설
(실외겨울스포츠시설포함)
경기에 필요한 필수 인원(3~4단계)
※ (팀별 5명 이상인)운동종목별 경기인원의 1.5배 초과금지
(예: 풋살의 경우 감독, 심판 등 모두 포함 15명(팀5명×2팀×1.5배) 이내)
▸시설 내 음식섭취 금지(물·무알콜 음료는 허용)
숙박시설 ▸객실 내 정원기준 초과 금지(사적모임 인원 기준 동시 적용)
  ※ 객실 내 ‘정원’은 최대정원을 기준으로 함
▸파티 등 행사 주최 금지
▸전 객실의 3/4 운영
파티룸(공간대여업) 시설 면적 8㎡당 1명
사적모임 인원 제한 준수 및 22시 이후 신규입실 제한
도서관 수용 인원의 50%
키즈카페 시설 면적 6㎡당 1명
돌잔치 ▸최대 16명까지 허용
전시회·박람회 시설 면적 6㎡당 1명
 * 사전예약제 운영, 부스 내 상주인력 PCR음성 확인 의무 및 부스별 2명 이내(3~4단계)
마사지업소·안마소 시설 면적 8㎡당 1명
이‧미용업 시설 면적 8㎡당 1명
국제회의·학술행사 좌석 두 칸 띄우기 또는 고정 좌석이 아닌 경우 좌석 간 2m 거리두기
※ 국제회의는 국제회의산업법 상 국제회의를 말함
종교시설 ▸정규예배·미사·법회·시일식 등 정규 종교 활동 시 전체 수용인원의 20%(좌석 네 칸 띄우기)
▸모임/행사·식사·숙박 금지 ※ 실외행사 50인 미만 가능
▸음식섭취 금지, 통성기도(큰소리 기도 등) 금지
※ 예방접종자 인센티브(인원산정 제외, 소모임 구성 등) 중단
고위험 콜센터 ▸전체 근로자에게 방역수칙 게시 및 안내
물류센터 ▸전체 근로자에게 방역수칙 게시 및 안내
③ 일상 및 사회경제적 활동
  마스크 착용
의무화
▸실내 전체 및 실외에서 다른 사람과 2m 이상 거리 유지가 되지 않는 경우 마스크 착용 의무화, 위반 시 과태료 부과
한 번 이상 코로나19 예방접종을 하고 14일 경과한 사람은 실외 활동 시
   마스크 착용 의무 예외 (단, 실외 공간이라 하더라도 집회·공연·행사 등
   다중이 밀집하는 경우, 개장중인 해수욕장, 도심공원(시민공원, 어린이대공원,     금강공원, 송상현광장, 중앙공원) 마스크 착용 의무)
교통시설 이용 ▸마스크 착용
▸교통수단(차량) 내 음식섭취 금지(물·무알콜 음료는 허용)
* 국제항공편 제외
학교(등교) ▸교육부(부산교육청) 방침 우선 적용
▸밀집도 1/3~2/3(고등학교 2/3) 이내 준수
시험 ▸수험생 간 1.5m 이상 간격 좌석배치, 대기자 공간마련, 시험관계자, 응시자 외 시험장 출입통제
* 기타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주관시험은 해당시험 방역수칙 준수
미인가 대안
교육시설
▸시민단체, 법인, 개인 등이 학생,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전일제 수업의 형태 또는 기숙형으로 운영하는 미인가 교육시설 * 학원 방역수칙 적용
종교시설에서 운영하며 학생,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보충형
  수업의 형태 또는 통학형으로 운영하는 미인가 교육시설
  * 종교시설 방역 수칙 적용, 교습·소모임 등 모든 대면활동 금지
직장근무  50인상 사업장(제조업 제외)시차 출퇴근제, 점심시간 시차제, 재택근무 20% 권고


출처 : 부산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부산시(시장 박형준)가 2021년 9월 1일부터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모든 출산가정에 산모·신생아를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이번 사업은 박형준 부산시장의 공약사항으로, 출산가정에 전문교육을 수료한 건강관리사를 파견해 산모의 산후 회복(영양·부종·체조 지원 등)과 신생아의 양육(아기목욕·수유 지원 등)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보건복지부의 '2018 산후조리 실태조사'에 따르면, 출산 후 6주 동안(산욕기) 본인 집에서 산후조리를 하는 경우는 70.2퍼센트(%)에 달했으며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16.0%)’은 ‘가사·육아도우미 지원(64.0%)’에 이어 두 번째로 필요한 정책으로 꼽힌 바 있습니다.

현행 정부 지원은 둘째 아이부터는 소득과 무관하게 지원되나 첫째 아이 출산가정의 경우,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에 대해서만 국가지원금이 지급됩니다.

 

이에 부산시는 현재 국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기준중위소득 150% 초과자 가운데 출산(예정)일 현재 부산시 6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산모에게도 건강관리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이렇게 되면 부산시의 모든 출산가정에는 소득 기준과 관계없이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업이 지원되며 이번 사업 대상자 확대로 부산지역 서비스 대상자는 한 해 8천여 명에서 1만600여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합니다.

 

구분 (현재) 국가 지원 + (확대) 부산시 자체 지원
지원대상 소득 기준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첫째아 출산가정
(둘째아부터 소득무관)
기준중위소득 150% 초과
첫째아 출산가정
거주 기준 - 출산(예정)일 현재 6개월 이상 부산시에 거주
서비스 기간 단축 5일, 표준 10일,
연장 15일
단축 5일, 표준 10일
정부지원금 460천~1,070천원 36만8천원~63만3천원
시행일 시행 중 2001년 9월 1일(수)

 
신청은 출산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주소지 관할 구·군 보건소나 온라인(복지로 홈페이지 http://www.bokjiro.go.kr/ )에서 신청하면 됩니다.

 

서비스는 단축형(5일) 기준 36만8천 원, 표준형(10일) 기준 63만3천 원이 지원되며, 기타 상세한 사항은 거주지 관할 보건소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부산시는 이번 사업이 산모의 산후 회복과 신생아 건강관리는 물론,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뿐만 아니라, 건강관리사 양성으로 사회적 일자리도 늘어날 것으로 내다 봤습니다.

특히, 시는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에 앞서 건강관리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제공인력 교육기관으로 12곳을 선정·운영하였으며, 교육과정에 아동학대 예방 교육을 포함하는 등 산모·신생아 방문 서비스 제공인력 전문교육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도시를 만드는 초석은 출산친화적 환경을 조성함과 동시에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저출생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극복하고, 내게 힘이 되는 행복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라고 말했습니다.

★ 부산광역시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교육기관 명단.연락처(전화번호)

1 봄소리교육센터 부산진구 거제대로 46, 102호 051-852-9535
2 참사랑어머니회 북부산지점 동래구 아시아드대로 197, 2층 051-505-6247
3 (사)부산돌봄사회서비스센터 연제구 거제천로 89, 6층 051-852-0540
4 반석센터 남구 용호로 222 051-621-1480

 

5 동구여성인력개발센터 동구 중앙대로 319, 3층 051-464-9882
6 사상여성인력개발센터 사상구 사상로 196, 5~6층 051-326-7600
7 다온교육원 수영구 수영로 765-1, 4층 051-645-5077
8 뉴,하이브레인 해운대구 해운대로469번가길 91, 3층 051-731-7001

 

9 사하여성인력개발센터 사하구 낙동대로 319, 3층 051-804-9982
10 엘림평생교육원 동구 중앙대로 312, 2층 051-463-2288
11 해운대여성인력개발센터 해운대구 해운대로 575, 6~8층 051-702-9199
12 (사)단미교육원 부산진구 새싹로 36 051-804-1366

※ 지정기간 : 2021년 2월 1일 ~ 2023년 1월 31일(2년간)



○ 부산광역시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인력 제공기관 명단.연락처 (2021년 7월 기준)

 

1  중구 주식회사 아이맘케어 051-928-8338
2  동구 엘림평생교육원 051-463-2288
3
굿맘스 051-1588-4854
4
닥터맘산모도우미 051-636-7222

 

5 부산진구 참사랑어머니회 서부산점 051-244-3577
6 봄소리 동부산점 051-852-9535
7 바우처 베스트맘 051-919-3710
8 조은맘산후도우미 부산지점 051-808-3554
9 엔젤스맘 진구점 051-818-2577
10 맘스웰 051-741-3375

 

11  동래구 해와달 출장산후조리 051-645-5033
12 참사랑어머니회 북부산지점 051-505-6247
13 이레아이맘 051-553-2243

 

14  남구 반석센터 051-621-1480
15 새로미 아이돌봄 051-635-3579
16 마미맘 출장산후도우미 051-623-1241
17
아가맘스마일케어 남부산지점 051-612-3071

 

18  북구 엔젤스맘 051-343-2293
19 다온 북부점 051-752-5077

 

20 해운대구 봄소리 본점 051-747-9535
21 아가맘스마일케어 051-702-3070
22 마이홈 산모도우미 051-545-3575
23 맘스웰동부점 051-852-3375
24 (부산)베스트맘 051-727-3712

 

 

25 해운대구 마담스완 051-747-1583
26 아가조아 051-711-2717
27
사하구 봄소리 서부산점 051-206-9535
28
부산돌봄가사간병(아가마지서부산점) 051-201-3543
29 다온 서부점 051-645-5097
30 금줄 베이비시터코리아 서부산점 051-207-8810
31 이레아이맘 산후도우미 서부산점 051-201-2243
32 금정구 산모도우미119(부산점) 051-805-3519

 

33 강서구 산모도우미119(서부산점) 051-292-3639
34 명지 엔젤스맘 010-7504-2347
35 맘스웰 서부산지사 051-208-3375
36 연제구 아가마지부산지사 051-851-3544
37 아가누리 051-852-2388
38 드림가 010-5880-1363

 

39 수영구 금줄베이비시터코리아 051-621-8810
40 다온 051-645-5077
41
참사랑어머니회동부산지점 051-925-8355
42 친정맘 산후도우미 051-507-0607
43 사상구 맘스매니저 (휴업중) 051-323-7325
44 온정 산모도우미 051-312-6213

 

45 기장군 행복한 부산맘 051-724-7052
46 엄마랑아가랑센터 051-721-5655
47 다온 동부점 051-751-5077
48 아가누리동부산점 051-723-3323


출처 : 부산광역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