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산도서관은 지난해(2024년) 수집한 부산학 중요 기록 538건을 '부산의 기억 누리집(부산학 전자 자료 저장고(디지털 아카이브시스템))'에서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부산의 기억'은 부산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중요기록과 생활문화사 관련 기록을 보존하고 공유하는 가상 자료관(공간; 플랫폼)입니다.
현재 낙동문화원을 포함한 43개 기관과 개인의 기록자료 총 3천360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제공하는 부산학 중요기록은 간행물 204건, 지도 2건, 사진 323건, 영상 9건, 총 538건입니다.
 
고(故)홍영철 한국영화자료연구원장이 기증한 부산 관련 영화 사진, 박락호 만덕1동 주민자치회 부회장이 기증한 (부산)북구 사진, 주영택 가마골역사연구원장이 기증한 지도, 마을과 주민의 역사와 생활사에 관한 구술기록, 부산 관련 전시도록과 연구총서, 부산의 지역.생활사 및 해양에 관한 연구보고서와 학술지, 지역별 문화 소식지와 향토문화지 등이 있습니다.

특히, 2024년부터 기존 기관 중심의 자료 수집에서 민간 소장 기록으로 수집 대상을 확대한 결과,
보존, 활용 가치가 높은 사진을 다수 확보하여 온라인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박락호 만덕1동 주민자치회 부회장이 기증한 사진의 경우 1970~80년대 북구의 옛 모습과 새마을운동, 1981년 북구 만덕동 새마을지도자협의회관 건립 관련, 1981년 북구 만덕동 새마을협동유아원 건립 과정, 1970~80년대 북구 새마을운동 관련 행사 모습을 담고 있어, 당시 (부산)북구의 새마을운동 모습을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습니다.

아울러, 일반 시민의 접근이 어려운 부산도서관 소장 귀중 자료를 선별,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지역문화를 더욱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부산의 향토사학자 주영택 원장이 기증하여 부산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부산.동래.김해 향토지(釜山.東萊.金海 鄕土誌)'는 부산과 김해 지역의 관광 안내를 위해서 일본인이 제작한 지도로, 100여 년 전 부산을 대하는 일본인의 시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이 지도의 앞면에는 부산.동래.김해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설명과 각 지역에 산재한 자연관광지 및 역사유적에 대한 소개를 담고 있으며, 뒷면에는 부산.동래.김해 지역의 지도를 수록하고 있어 세 지역의 향토 관련 내용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사료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해당 자료는 '부산의 기억' 공식 누리집(https://library.busan.go.kr/archive/index.do)에서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습니다.
 
부산학 중요기록 목록과 원문 파일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전자책(e-book) 형태로도 제공하여 이용자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 참고 : 공식 누리집 첫 화면 갈무리



박은아 부산도서관장은 “'부산의 기억'이 부산시민과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위한 주요 매체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부산학 중요기록을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체계적으로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며, “부산의 중요한 역사자료를 축적하고, 지역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부산학 특화도서관으로서 '부산도서관'의 위상을 확립해 나가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부산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서울시는 임시공휴일 지정으로 6일간 이어지는 2024년 설명절 연휴 기간에도 쾌적한 도심.주거환경 유지 및 시민 불편 감소를 위하여 청소상황실과 순찰기동반을 가동하고, 연휴 전후 대청소도 실시한다고 밝혔습니다. 

설 연휴 시작 전날인 2025년 1월 24일(금)까지는 평소처럼 생활 쓰레기를 배출하면 됩니다.

배출한 쓰레기는 전량 수거하여 자원회수시설, 수도권 매립지 등 폐기물 처리시설로 반입.처리합니다.

다만, 설연휴 기간(1월25일 ~ 1월30일) 중에는 자치구별로 쓰레기 배출날짜가 다르므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시는 쓰레기 배출을 제한하는 연휴기간 전에 미리 쓰레기를 배출하고, 배출 가능일 외에는 무단배출을 자제하여 달라고 당부하였습니다. 

◎ 자치구별 2025년 설 연휴기간 생활쓰레기 배출일 현황표

구분 일반쓰레기, 음식쓰레기, 재활용품류
1.25() 1.26() 1.27() 1.28.() 1.29.() 설 당일 1.30.()
종로구 × × ×
중구 × ×
용산구 × × ×
성동구 × × ×
광진구 × × × ×
동대문구 × × ×
중랑구 × × ×
성북구 × × ×
강북구 × × × ×
도봉구 ×(일반, 재활용)
(음식물)
× × ×(일반, 재활용)
(음식물)
노원구 × × × ×
은평구 × × ×
서대문구 × × ×
마포구 × × ×
양천구 × × ×
강서구 × × ×
구로구 × × ×
금천구 × × × ×
영등포구 × × ×
동작구 × × × ×
관악구 × × ×
서초구 × × ×
강남구 × ×
송파구 × × ×
강동구 × × ×

 ※ ○ : 배출 가능(일몰 후부터),  △ : 일부지역 배출,  × : 배출금지
 ※ 배출일자는 지역(동)별로 지정하는 경우가 있으며, 배출시간은 일몰 후부터. 보다 자세한 사항은 거주하는 자치구 누리집 또는 아래 청소행정 담당부서에 전화 문의

◎ 자치구별 2025년 설 명절 청소상황실 전화번호 목록

기관명 부서명 전화번호(02) 팩스(FAX) 번호(02)
서울시 생활환경과 2133-3747 768-8863
종로구 청소행정과 2148-2372 2148-5825
중구 청소행정과 3396-5482 3396-8754
용산구 청소행정과 2199-7303 2199-5680
성동구 청소행정과 2286-5526 2286-5927
광진구 청소과 450-1770 411-1743
동대문구 청소행정과 2127-4727 3299-2629
중랑구 청소행정과 2094-1930 490-4426
성북구 청소행정과 2241-4400 2241-6591
강북구 청소행정과 901-6782 901-6770
도봉구 자원순환과 2091-3262 2091-6267
노원구 자원순환과 2116-3808 2116-4631
은평구 자원순환과 351-7563 351-5665
서대문구 청소행정과 330-1523 330-1712
마포구 깨끗한마포과 3153-9200 3153-9249
양천구 청소행정과 2620-3420 2620-4429
강서구 자원순환과 2600-4090 2620-0459
구로구 청소행정과 860-2912 860-2641
금천구 청소행정과 2627-2375 2251-1660
영등포구 청소과 2670-3491 2670-3630
동작구 청소행정과 820-9140 820-9979
관악구 청소행정과 879-6211 879-7829
서초구 청소행정과 2155-6730 2155-6749
강남구 자원순환과 3423-5984 3423-8876
송파구 청소행정과 2147-2840 2147-3875
강동구 청소행정과 3425-5870 3425-7239


출처 : 서울특별시

반응형
반응형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아기를 둔 부산 시민을 대상으로 '부산형 산후조리 경비 지원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부산시에 거주하는 출산 가구의 경제 부담을 덜어주고자, 소득과 무관하게 산후조리 관련 비용을 지원합니다.

출생아 당 최대 100만 원의 현금을 지원하며, 쌍둥이(쌍생아)를 낳은 가구는 최대 200만 원, 삼태아 이상 출산 가구는 최대 30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금은 건강관리사가 직접 가정에 방문해서 산후조리를 도와주는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편의(서비스), '산후조리원' 이용, 산모 본인의 '병.의원 진료'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본인부담금, 산후조리원비, 산후 회복을 위한 병.의원 진료비(한약조제비 포함)까지 지원합니다.

★ 부산형 산후조리 경비 지원 세부 사용처
 ①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서비스 : 지원금 최대 100퍼센트(%) 사용가능
 ② 산후조리원 : 지원금 최대 50퍼센트(%) 사용가능
 ③ 산후조리 관련 질병 치료, 체형관리, 재활 등 목적의 진료 : 지원금 최대 100퍼센트(%) 사용가능 
    - 산후조리 관련 한방 진료(한약 조제비 포함) 

지원 대상은 올해(2025년) 1월 1일 이후 출생해서 부산시에 출생신고를 마친 아이로, 출산일 및 지원 신청일 기준 출생아와 부 또는 모가 부산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으면 소득기준 없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은 2025년 2월 10일부터 정부24 누리집(https://www.gov.kr/yearend_main.html) 출산관련 서비스 통합처리 신청에서 온라인으로, 또는 출생신고한 보건소를 방문하여 산후조리경비 영수증을 제출하면 됩니다.

신청방법과 자격요건에 대한 문의 사항은 출생신고한 관할 보건소로 연락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시는 산후조리와 관련한 폭 넓고 다양한 지원을 통하여 산모와 아기의 건강하고 빠른 회복을 돕고, 경제적 부담 없이 아이를 키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출산율 증가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와 함께, 시는 저출생 극복을 위하여 올해(2025년) 임신.출산 지원사업도 확대합니다.

임신사전 건강관리를 위하여 20~49세 남녀 가임력 검사비를 생애 주기별 최대 3회(회당 여성 13만 원, 남성 5만 원) 지원합니다.

난임부부 지원 확대를 위하여 난임 시술비를 출산당 최대 25회 지원하고, 공난포 등 난임 시술 실패 시, 시술비를 지원해 난임에 대한 불안감을 사전에 해소하고, 아이를 낳고 싶어 하는 부부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이어갈 예정입니다.

이소라 시 시민건강국장은 “부산형 산후조리경비 지원은 임신과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 산모의 빠른 회복과 신생아의 양육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인 만큼, 많은 출산가정에서 적극적으로 신청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부산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광주광역시.전남 출신 대학생의 면학편의와 장학지원을 위하여 운영 중인 서울 남도학숙(대학생 기숙사)에서 2025년도 신입 사생을 아래와 같이 모집합니다.

○ 모집기간 : 2025년 1월 2일(목) 09시 ~ 1월 16일(목) 18시

★ 광양시 배정인원 : 29명(남 19명, 여 10명)

▷ 제1남도학숙(동작관): 19명(남 9명, 여 10명)
    - 신입생: 11명(남 5명, 여 6명)
    - 재학생: 8명(남 4명, 여 4명)

▷ 제2남도학숙(은평관): 10명(남 5명, 여 5명)
    - 신입생: 6명(남 3명, 여 3명)
    - 재학생: 4명(남 2명, 여 2명)

○ 남도학숙 시설별 현황 정보

구분 1남도학숙 (동작관) 2남도학숙 (은평관)
위치(주소) 동작구 여의대방로 4446 은평구 은평로 2152
규모 대지 7,797, 연면적 32,577
(지하 3, 지상 11)
대지 5,960, 연면적 13,767
(지하 1, 지상 7)
개관일 1994. 2. 28. 2018. 2. 27.
수용 인원 850(408, 442) 604(302, 302)
학생방 425(21) 300(21), 장애인 4(1인실)
월 부담금 입사비 10만원, 1학기(36) 64만원, 2학기(912) 64만원, 방학 별도


○ 입사생 부담금
 신입 사생 등록금 : 74만원(입사비 10만원, 1학기(3~6월) 부담금 64만원)

○ 지원자격
 공고일 현재 보호자의 주민등록이 광주광역시 또는 전라남도인 사람
 서울, 인천, 경기도 소재 대학 대학생 및 대학원생(석사)으로,
 「고등교육법」제2조의 대학, 산업대학, 교육대학, 전문대학, 각종학교,
 「평생교육법」제31조제4항의 전공대학,
 「고등교육법」제29조의2 일반대학원, 전문대학원에 입학예정 또는 재학 중인 학생

○ 접수방법 : 인터넷 접수, 방문접수, 우편접수 중 택 1
 인터넷접수 : 남도학숙 누리집(https://www.ndhs.or.kr/
 방문접수 : 광양시 교육청소년과 (광양 커뮤니티센터 5층)
 우편접수 : 보호자의 주민등록지가 전라남도 광양시인 학생, 기한내 도착분만 인정
  ※ 우편접수 주소 : 전남 광양시 중마로 410(마동) 광양 커뮤니티센터 5층 광양시 교육청소년과 남도학숙 담당자 앞

○ 합격자 발표 : 2025년 2월 4일(화) 남도학숙 누리집(예정)

○ 입사 관련 문의처(전화번호)
 광주광역시, 남도장학회: 062-613-3691, 3693
 전라남도 : 061-286-3425
 서울 제1남도학숙 : 02-820-3217
 서울 제2남도학숙 : 02-300-2812

※ 제출서류 및 기타 자세한 사항은 붙임의 선발공고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모든 서류는 선발 공고일(2024년 12월 30일) 이후로 발급하여 제출하시기 바랍니다.

★ 첨부파일 : 2025년도 모집 공고문 HWP 양식

2025년도 남도학숙 신입사생 선발공고문.hwp
0.09MB


※ 이 공고는 광양시 기준이며,
광주 및 전라남도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배정받은 인원이 다르기 때문에, 남도학숙 또는 아래 해당하는 지자체로 문의하시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 시.군별 접수처 정보

.군명 우편번호 주소 부서명 전화번호
광주광역시 61945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11, 광주광역시청 교육정책관
(평생교육팀)
062-613-1382
목포시 58613 목포시 용해지구로 31, 어울림도서관 3층 인재육성과 인재육성과 061-270-3561
여수시 59715 여수시 진남체육관길 74 평생교육과 평생교육과 061-659-4725
순천시 57938 순천시 중앙로 232, 평생학습관 2층 청년정책과 청년정책과 061-749-6763
나주시 58263 나주시 시청길 22, 나주시청 교육지원과 교육지원과 061-339-4698
광양시 57777 광양시 중마로 410(마동) 5층 교육청소년과 교육청소년과 061-797-1954
담양군 57339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담양군청 행정과 행정과 061-380-3186
곡성군 57536 곡성군 곡성읍 군청로 50, 곡성군청 기획실 기획실 061-360-2561
구례군 57656 구례군 구례읍 봉성로 1, 구례군청 평생교육과 평생교육과 061-780-2802
고흥군 59542 고흥군 고흥읍 고흥군청로1, 고흥군청 여성가족과 여성가족과 061-830-6944
보성군 59455 보성군 보성읍 송재로 165, 보성군청 인구정책과 인구정책과 061-850-5973
화순군 58112 화순군 화순읍 동헌길 23, 인구청년정책과 평생교육팀 인구청년정책과 061-379-3352
장흥군 59328 장흥군 장흥로 21, 장흥군청 기획홍보실 기획홍보실 061-860-5524
강진군 59228 강진군 강진읍 탐진로 111, 강진군청 총무과 총무과 061-430-3724
해남군 59028 해남군 해남읍 군청길 4, 해남군청 총무과 총무과 061-530-5310
영암군 58415 영암군 영암읍 군청로1, 영암군청 인재육성체육과 인재육성체육과 061-470-2122
무안군 58532 무안군 무안읍 무안로 530, 무안군청 자치행정과 자치행정과 061-450-5338
함평군 57149 함평군 함평읍 중앙길 200, 함평군청 인구경제과 인구경제과 061-320-1763
영광군 57036 영광군 영광읍 중앙로 203, 영광군청 인구교육정책과 인구교육정책과 061-350-4704
장성군 57222 장성군 장성읍 문화로 110, 평생교육센터 평생교육센터 061-390-8579
완도군 59124 완도군 완도읍 청해진남로 51, 완도군청 인구일자리정책실 인구일자리정책실 061-550-5143
진도군 58915 진도군 철마길 25, 진도군청 총무과 총무과 061-540-3245
신안군 58827 신안군 압해읍 천사로 1004, 신안군청 교육복지과 교육복지과 061-240-8733


출처 : 전라남도 광양시

반응형
반응형

강화군(군수 박용철)이 2025년 장학관(대학생 기숙사) 입사생 296명을 모집한다고 밝혔습니다.
 
군은 2024년 12월 26일 '강화군 장학관 운영위원회'를 개최하고, 입사생 선발 계획을 확정하였습니다.
 
이번 입사생 모집 인원은 4개 장학관 총 296명입니다.
제1장학관(서울 영등포구) 70명, 제2장학관(서울 중구) 58명, 제3장학관(서울 동대문구) 115명, 제4장학관(인천 연수구) 53명입니다.
 
2025년도에는 재학생, 수시합격자, 정시합격(예정)자 순으로 입사생을 선발하고, 1인 1실로 만족도를 높일 계획입니다.
 
접수기간과 선발일을 살펴보면,
재학생은 오는 1월 6일까지 신청을 받고 1월 13일 선발,
수시합격자는 1월 15일부터 22일까지 신청받고 1월 31일에 선발, 
정시합격(예정)자는 1월 31일부터 2월 7일까지 신청받고 2월 12일에 선발할 예정입니다.

★ 첨부파일 : 장학관 모집공고 및 신청서 등 HWP양식

2025년 강화군 장학관 입사생 선발공고.hwp
0.06MB


입사생 추첨은 모집 인원 초과 시 전자 추첨으로 진행하며,
탈락자는 예비 입사 후보자로 관리하여, 중도 퇴사자 발생 시 추가 입사할 수 있도록 할 방침입니다.
 
입사 자격요건은 수도권 소재 대학(원) 입사생 및 재학생으로, 공고일(2024년 12월 30일; 강화군 공고 제2024 - 2013호) 현재 부 또는 모가 강화군에 2년 이상 계속해서 주민등록을 하고 있어야 합니다.

2025년 입사생 선발부터 기존의 관내 중학교.고등학교 졸업요건을 삭제하며, 입사요건을 완화하였습니다.

○ 입사(재사) 기간은 해당연도(올해는 2025년) 입사일부터 다음연도(올해는 2026년) 1월 31일까지 이며, 장학관 사정상 조정할 수 있습니다.

○ 입사생 사용료(부담금) 및 입사생 수칙 등 안내
 사용료 : 월 10만원 (분기별 납부)
 개관시간 : 05:30 ~ 24:30 (개관시간 이외의 시간에 외부출입 금지)
 휴관기간
  - 설 및 추석연휴 기간 
  - 장학관 시설의 보수 및 유지에 소요되는 기간
  - 방학기간 중 청소 및 시설점검 기간(여름방학 8월 중, 겨울방학 2월 중)
 식사 미제공, 호실 내부에서 취사도구 사용 금지
 전열기, 휴대용 조리기구, 그 밖에 발열이나 화재 우려가 있는 품목 반입 금지

○ 관련 문의 사항 : 강화군청 자치교육과 교육지원팀(전화번호 032-930-3328,3329)
 
※ 참고 사진 : 장학관 개인실 내부 모습


박용철 강화군수는 “강화군은 강화의 미래 학생들이 주거 걱정 없이 학업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로는 최대 규모인 4개의 장학관을 운영하며, 학생들의 복지를 적극지원하고 있다.”며, “또한,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성공운영, 해외어학연수기회 확대 등 청소년들의 교육 환경개선과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인천광역시 강화군

 

반응형
반응형

경기 연천군에서는 2025년도 '장학관(대학생 기숙사)' 입사 희망자를 아래와 같이 모집합니다.

★ 연천군 통일평생교육원 공고 제2025-1호

○ 선발 인원
 입사생 : 총 78명(여학생 : 00명, 남학생 : 00명)
 예비후보자 : 00명 (입사 포기 및 중도 퇴사시 충원할 인원)

○ 입사자격
 입사생 선발 공고일 현재 본인 또는 보호자가 연천군에 1년 이상 계속하여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자로서
고등교육법 제2조제1호부터 제4호까지의 대학.산업대학.교육대학.전문대 또는 제7호의 각종학교에 입학 예정이거나 재학 중인 학생
 ※ 단, 고등교육법 제2조제5호(방송대, 통신대학, 방송통신대학 및 사이버대학등 원격대학), 제6호(기술대학) 제외

○ 입사원서 접수기간 및 접수처

 ▶ 연천군 장학관 (서울 동대문구 난계로30길 27, 전화번호 031-839-4672)
 접수기간 : 2025년 1월 6일(월) ~ 1월 17일(금)
 우편 및 방문 접수(우편 접수마감일 18:00 우편 도착분까지 인정)

 ▶ 연천군 통일평생교육원 (경기 연천군 전곡읍, 전화번호 031-839-4671)
 접수기간 : 2025년 1월 13일(월) ~ 1월 17일(금)
 방문접수(09:00 ~ 18:00 / 토요일, 일요일 및 법정공휴일에는 미접수)

◎ 첨부파일 : 모집 공고문 PDF 문서 양식

2025년 연천군 장학관 입사생 선발계획.pdf
0.42MB


○ 합격자 발표 : 2025년 2월 11일(화) 예정, 연천군 누리집(홈페이지; https://www.yeoncheon.go.kr/)에 등재

◎ 서울 연천군 장학관 위치
서울지하철 1호선, 2호선, 우이신설 경전철 신설동역 가까이에 위치
2호선쪽 출구인 9번.10번출구에서 도보 2~3분.
가까이에 영천군의 대학생 기숙사도 있음.
동대문도서관, 서울풍물시장 등과도 가까움.

◎ 입사생 부담 비용
 시설 이용 부담금 월 12만원(식사비 포함), 자치회비 3만원(연 1회)

◎ 재사 기간(입사 기간)
 해당 연도 입사일(3월 1일)부터 다음 연도 2월 15일까지

보다 자세한 사항은 위에 첨부한 모집 공고문을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출처 : 경기도 연천군

 

반응형
반응형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2024년 11월 '이달의 수산물'로 대구와 가리비 두 가지를 선정하였습니다.

'대구'는 한류성 어종으로 추운 계절에 주로 잡히며, 주요 생산지는 경남 거제 인근입니다.

살이 희고 비린내가 적으며, 입이 큰 외형 탓에 대구(大口)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얼핏 보기에 명태와 비슷해 보이지만, 명태보다 머리와 입이 크고, 입 주위에 수염이 나 있습니다.

대구는 필수 아미노산과 단백질이 풍부하여 건강에도 좋으며, 모든 부위가 맛이 좋아 탕, 찜, 전 등 다양한 조리 재료로 활용합니다.

특히 대구의 쫀득한 살을 활용하여 끓인 '대구탕'은 추운 계절 입맛을 돋우는 별미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가리비(해만가리비, 큰가리비)'는 껍질이 부채처럼 생겨 ‘부채조개’라고도 부르며, 다양한 영양소를 풍부하게 함유하여 추운 계절 보양식으로 안성맞춤인 수산물입니다.

특히 가리비에 많이 들어있는 성분인 ‘타우린’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합니다. 

가리비는 고소한 버터 가리비구이, 다양한 양념을 넣어 새콤하게 조리한 가리비무침, 얼큰하게 쪄낸 가리비찜 등 다양한 음식으로 조리할 수 있습니다. 


이달의 수산물인 대구와 가리비를 비롯한 수산물 관련 정보는 한국수산회 어식백세 누리집(http://blog.naver.com/korfish01)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 해양수산부

반응형
반응형

경기 고양시는 2024년 11월 1일부터 '람사르 고양 장항습지생태관'을 시범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 위치(주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대들길 401

시는 생태관을 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 대표 습지인 장항습지의 생태교육 거점시설로 활용하는 한편, 한강하구 관광자원과 연계하여 생태.역사 관광을 활성화한다는 방침입니다.


'고양 장항습지'는 생물다양성이 높은 한강하구 생태계의 보고입니다.

신평동과 장항동, 법곳동에 걸쳐 면적 5.95평방킬로미터(k㎡), 길이 7.6킬로미터(km)에 멸종위기종 33종과 천연기념물 24종, 해양보호생물 5종이 서식합니다.

생태적.국제적으로 중요성과 가치를 인정받아 지난 2021년, 국내 24번째 람사르 습지로 등록하였습니다.

시는 대도시이자 접경지역에 위치한 장항습지가 도심 속 생태관광.교육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일산동구 장항동에 '장항습지 생태관'을 조성하였습니다.

과거 군사시설로 이용했던 장항군막사는 증축.개조(리모델링) 후 연면적 999평방미터(㎡) 규모 2층 건물로 재탄생하였습니다.

1층 상설전시실에서는 장항습지의 역사와 생태계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미디어아트관과 4D영상관에서는 장항습지의 사계절을 담은 영상과 환경보호의 중요성이 담긴 만화영화(애니메이션)를 관람할 수 있습니다.
다큐멘터리관에서는 장항습지 대표 생물을 해설과 함께 감상할 수 있습니다.
생태교육실과 조리(요리)체험실에서는 체험과 특산물 연계 조리 활동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2층 기획전시실에서는 시범운영을 기념하여 (사)한국수달보호협회가 ‘흥미로운 수달이야기’ 사진 전시회를 진행합니다.
널판(데크)광장에 오르면 25미터 높이의 전망대에서 장항습지의 풍광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습니다.

생태관 관람은 장항습지 누리집(http://www.goyang.go.kr/gojanghang)에서 사전 예약 후 가능하며, 교육.체험 활동(프로그램)과 생태관 전시관람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시범운영 기간은 2024년 12월 21일까지이며,
관람시간은 10시부터 17시까지.
일요일과 월요일, 공휴일은 휴관합니다.

★ 람사르 장항습지 전경


출처 : 경기도 고양시

 

반응형
반응형

경기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는 한강 하구 생태 관광자원과 DMZ(디엠지) 평화의 길 쉼터인 나들라온, 그리고 철책길을 연계한 행사인 ‘DMZ 평화의 길을 걸을 고양’을 2024년 11월 2일부터 11월 16일까지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행사(프로그램)는 한강 하구의 아름다운 자연 경관과 독특한 생태 자원을 체험하며, 자연과 DMZ의 평화.안전의 중요성을 알리고자 기획한 것입니다.

참여자는 회당 20명으로 선착순 모집합니다.

고양관광 정보센터를 출발하여 대덕생태공원, 장항습지탐조대, 나들라온을 둘러보는 경로로 구성하였습니다.

참가자들은 장항습지 탐조대에서 나들라온까지 이어지는 철책길을 따라 걸으며 DMZ와 관련된 역사적 의미와 생태계 보호의 중요성을 배울 수 있습니다.


시는 관계자는 “이번 프로그램이 자연과 평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고, 지역의 생태 관광을 활성화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경기도 고양시

 

반응형
반응형

서울시가 가을의 정취를 즐길 수 있는 ‘서울 단풍길 103선’을 발표하였습니다.

 

서울시는 지난 여름 이상고온 장기화에 따라 올해(2024년) 관내 단풍 절정 시기를, 도심 외곽지역인 북한산 일대는 10월 30일경, 도심지역은 이보다 조금 늦은 11월 초순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시는 ①도심 속 걷기 좋은 단풍길, ②물을 따라 걷는 단풍길, ③공원과 함께 만나는 단풍길, ④산책길에 만나는 단풍길 등 4개의 큰 주제로 구분하여 소개합니다.

단풍길 정보는 서울시 공식 누리집(https://www.seoul.go.kr/story/autumn)과 스마트서울맵(https://map.seoul.go.kr/)에서 검색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서울 단풍길 103선 전체 명단(목록)

① 도심 속 걷기 좋은 단풍길

연번 자치구
(사업소)
구분 노선명
(구간)
주요 수종 수량
(그루)
연장
()
선정 사유 문의 전화
(지역번호 02)



18개소
6,217 26.11

1 종로구 가로 삼청동길
(동십자각
삼청터널)
은행나무 188 1.2 경복궁 동측 담장을 따라 삼청터널까지 이어지는 은행나무 가로수길로, 가을철 노란 은행잎과 미술관, 박물관, 고궁 등의 볼거리가 어우러져 국내외 관광객이 많이 찾는 명소임 도시녹지과
(2148-2862)
2 종로구 가로 효자로
(경복궁역
효자동삼거리)
은행나무
버즘나무
212 0.8 경복궁 서측 가로수길로 수령이 오래된 버즘나무와 경복궁 담장이 어우러져 걷기 좋은 거리임 도시녹지과
(2148-2862)
3 중 구 가로 덕수궁길
(대한문~
서울시립미술관)
은행나무
느티나무
89 0.3 보차 공존 일방 거리로 덕수궁 옛 돌담과 은행나무 및 느티나무, 화분이 잘 어우러져 아름다운 단풍을 볼 수 있음. 공원녹지과
(3396-5862)
4 중 구 가로 정동길
(서울시립미술관 ~정동삼거리)
은행나무
느티나무
140 0.5 서울시 걷고 싶은 거리”1호로 지정되어, 조선시대 이후 근대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건축물과 함께 은행나무 단풍과 어우러져 가을을 만끽할 수 있는 거리 공원녹지과
(3396-5872)
5 중부공원여가센터 가로 세종대로 은행나무 등 208 1.5 은행나무와 수크렁 등의 띠녹지가 조화를 이루어 가을 정취를 느낄 수 있음. 중부공원
여가센터
(3783-5950)
6 용산구 가로 이태원로
(삼각지역~
녹사평역)
은행나무
버즘나무
200 1.0 아름드리 버즘나무가 우거져 있어 낙엽 거리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음. 공원녹지과
(2199-7623)
7 용산구 가로 청파로
(숙명여대 입구교차로~
삼각지고가차도)
은행나무
버즘나무
125 0.9 아름드리 은행나무, 버즘나무가 우거져 있으며, 보행로가 잘 정비되어 산책을 하며 가을 분위기를 느낄 수 있음. 공원녹지과
(2199-7623)
8 광진구 가로 광나루로
(어린이대공원역
~구의사거리)
버즘나무
실개천 등
300 1 어린이대공원과 인접된 버즘나무 가로수 노선으로 버즘나무의 고유수형과 낙엽을 감상할 수 있으며, 어린이대공원 주변으로 실개천이 조성되어 있어 다양한 자연경관을 감상할 수 있음. 공원녹지과
(450-7792)
9 강북구 가로 오현로20
(신규)
느티나무 69 0.31 북서울꿈의숲과 이어지는 조용한 도로로 느티나무 단풍을 즐기기에 좋은장소임 공원녹지과
(901-6944)
10 노원구 가로 동일로
(도봉면허시험장~
용화여고)
메타세쿼이아
버즘나무 등
125 0.5 걷고싶은 거리 조성구간으로 바닥분수 및 야간조명 시설이 설치되어 있어 산책과 음악을 즐길 수 있는 휴식공간임. 푸른도시과
(2116-3941)
11 노원구 가로 상계동 그린웨이길
(상계한신1~ 금호아파트)
왕벚나무 등 75 0.3 그린웨이 조성구간으로 벚나무와 다양한 관목이 식재되어 경관이 아름답고, 바닥분수와 의자로 휴게공간이 조성되어 있는 산책로임. 푸른도시과
(2116-3941)
12 은평구 가로 북한산길
(구파발삼거리~
북한산입구)
느티나무
왕벚나무
368 3.5 북한산국립공원과 연접한 가로로 느티나무, 벚나무의 단풍과 국립공원의 갖가지 단풍을 즐길 수 있음. 공원녹지과
(351-8013)
13 양천구 가로 신트리공원 가는길
(신트리공원~
목동10단지 1018)
느티나무 250 1.3 느티나무길의 연장으로 아늑한 단풍터널을 이루며 주변 신트리 공원과 바로 연결되어 산책 및 휴식, 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음. 공원녹지과
(2620-3585)
14 구로구 가로 거리공원길
(구로등기소~ 미래초교)
왕벚나무 212 0.8 도로 중앙에 위치한 거리공원 내 열식된 왕벚나무와 가로가 아름다운 단풍길 녹색도시과
(860-3162)
15 구로구 가로 구일중학교 앞
걷고싶은거리
(구일중교~구일고교)
느티나무
왕벚나무
45 0.3 걷고싶은 거리로 조성되어 느티나무, 왕벚나무와 주변 아파트의 수목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수목터널 조성. 녹색도시과
(860-3162)
16 영등포구 가로 윤중로길
(여의도 외곽도로)
왕벚나무
느티나무
1,736 6.8 한강을 따라 걸으며 시원한 강바람과 대형 왕벚나무, 느티나무의 단풍을 감상 할 수 있는데다가 한적하여 여유로움을 느낄 수 있는 산책로임. 푸른도시과
(2670-3767)
17 관악구 가로 관악로
(서울대입구역
~ 서울대정문)
은행나무 429 1.7 관악산으로 향하는 길로 2열 식재된 은행나무 터널사이를 거닐며 단풍을 감상할 수 있음. 공원녹지과
(879-6531)
18 강남구 가로 가로수길
(도산대로~ 압구정로)
은행나무 126 0.7 도심 속 특화된 상점들과 은행나무 단풍이 잘 어울림. 공원녹지과
(3423-6273)
19 송파구 가로 위례성길
(올림픽공원
평화의문~2)
은행나무 1,320 2.7 은행나무 병렬 노선으로 아름다운 단풍을 볼 수 있음. 공원녹지과
(2147-3396)


② 물을 따라 걷는 단풍길

연번 자치구
(사업소)
구분 노선명
(구간)
주요 수종 수량
(그루)
연장
()
선정 사유 문의 전화
(지역번호 02)



18개소
12,628 41.27

1 성동구/
광진구
하천변 송정제방길
(성동교~장평교)
왕벚나무
은행나무
5,000 4.7 중랑천 제방길로 하천경관과 울창한 수림대의 갖가지 색깔의 단풍을 볼 수 있음. 성동구 공원녹지과
(2286-5666)
광진구 공원녹지과
(450-7782)
2 성동구 가로 살곶이길
(고산자교~성동교)
은행나무
회화나무
671 2.9 청계천을 따라 중랑천까지 이르는 제방 옆 도로에 은행나무 단풍이 수려함. 공원녹지과
(2286-5666)
3 성동구 하천변 중랑천 응봉지구
(살곶이다리
~용비교)
왕벚나무
단풍나무
380 1.5 중랑천을 따라 왕벚나무, 단풍나무 등 다양한 수목이 식재되어 있어 다양한 단풍을 즐길 수 있으며, 응봉교 및 용비교 하부 쉼터 공간을 조성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가을을 만끽할 수 있음 공원녹지과
(2286-5666)
4 동대문구 하천변 중랑천 제방길
(군자교~성북구계)
왕벚나무
느티나무
686 5.6 중랑천 제방 양방향으로 벚나무와 느티나무가 잘 어우러져 아름다운 단풍을 볼 수 있음. 공원녹지과
(2127-4778)
5 강북구 하천변 우이천변 제방
한천로
(신창교~월계2)
버즘나무 등
15
530 1.3 우이천 제방 산책로변 수목과 버즘나무 가로수가 어우러져 단풍과 낙엽이 아름답고 한적한 도로변으로 가을의 정취를 즐기기에 적합함. 공원녹지과
(901-6944)
6 도봉구 하천변 도봉 중랑천길
(도봉구청창동중학교)
단풍나무 176 0.8 중국단풍나무로 이루어진 나무터널 사이로 운동과 산책을 하며 가을을 즐길수 있음 공원여가과
(2091-3773)
7 도봉구 하천변 우이천변길
(초안교~수유교)
왕벚나무 220 1.9 우이천과 함께 아름다운 왕벚나무 단풍을 볼 수 있음 공원여가과
(2091-3773)
8 노원구 가로 당현천변길
(당현천변 당현1~당현2)
은행나무 146 0.6 당현천과 함께 아름다운 은행나무 단풍을 감상할 수 있음. 푸른도시과
(2116-3941)
9 은평구 가로 불광천길 은행나무
왕벚나무
144 1.22 불광천 경관과 더불어 은행나무와 왕벚나무의 아름다운 단풍을 감상 할 수 있음 공원녹지과
(351-8013)
10 서대문구 하천변 홍제천로
(연서어린이공원~
서대문구)
은행나무
벚나무
290 1.25 홍제천변을 따라 붉은색과 노란색의 알록달록한 단풍을 볼 수 있음 푸른도시과
(330-1787)
11 마포구 가로 성중길 메타세쿼이아 100 0.6 불광천 상부 도로변에 식재된 메타세쿼이아는 일정한 수고와 수형으로 가을철 아름다운 단풍을 감상할 수 있음. 공원녹지과
(3153-9563)
12 구로구/금천구/영등포구 하천변 안양천 산책로
(양평교 ~안양천교)
단풍나무
왕벚나무
2,277 10.1 안양천을 따라 걷는 둑방길 산책로로 길게 뻗은 왕벚나무 아래를 걸으며, 다양한 야생화 군락도 볼 수 있는 최적의 산책로. 운동기구도 많고 자전거도로도 정비되어 있는 대표적 여가장소임. 구로구 녹색도시과
(860-2265)
금천구 공원녹지과
(2627-1673)
영등포구 푸른도시과
(2670-3765)
13 구로구 하천변 도림천길
(신정교~도림교)
벚나무
느티나무
171 1.0 도림천 제방 산책로변 벚나무, 느티나무의 아름다운 단풍을 볼 수 있음 녹색도시과
(860-2265)
14 금천구 가로 안양천로
(안양천교~시흥대교)
느티나무 200 0.6 수형이 아름답고 수목이 크며 느티나무가 단풍터널을 형성하여 매우 아름다움. 공원녹지과
(2627-1673)
15 서초구/
강남구
하천변 양재천
(영동2~ 영동6)
왕벚나무 등 738 2.8 가을 정취를 느낄 수 있는 물억새 등 초화류 50여종 300만본과 산책로변 왕벚나무가 터널을 이루어 가을 정취를 만끽할 수 있음. 서초구 공원녹지과
(2155-6894)
강남구 공원녹지과
(3423-6252)
16 송파구 하천변 성내천
(성내교~신천1)
왕벚나무
느티나무
215 1.0 성내천 보행자전용 산책로이며 봄에는 벚꽃과 가을에는 억새와 갈대와 잘 어우러져 아름다운 단풍을 볼 수 있음. 공원녹지과
(2147-3401)
17 강동구 하천변 고덕천
(능곡교~고덕교)
미루나무
메타세쿼이아
124 0.6 고덕천변을 따라 미루나무 및 메타세쿼이아의 아름다운 단풍을 감상할 수 있음 푸른도시과
(3425-6464)
18 청계천 하천변 청계천로 이팝나무
느티나무 등
560 2.8 이팝나무, 느티나무 단풍이 청계천의 야경과 어우러져 아름다움. 청계천
관리센터
(2290-6852)


③ 공원과 함께 만나는 단풍길

연번 자치구
(사업소)
구분 노선명
(구간)
주요 수종 수량
(그루)
연장
()
선정 사유 문의 전화
(지역번호 02)



24개소
25,707 35.7

1 성동구 가로 매봉길
(옥수동루터교회~금호산놀이터입구)
벚나무 37 0.3 지하철역(금호역)과 도보 10분거리에 위치해있는 아파트 대단지 뒷길로 주변 차량 통행이 많지 않은 곳으로, 응봉근린공원(금호산)로 산책로와 연계하여 아름다운 벚나무를 느낄 수 있음. 공원녹지과
(2286-5666)
2 중랑구 공원 봉수대공원 단풍나무 등 2,000 4.2 봉화산은 160m의 작은 산으로 정상에는 봉수대가 있고 기슭에는 공원과 정보도서관 등이 있어 유동인구가 많으며 산이 높지 않아 주민의 이용이 많고 주변에 배밭이 있어 열매를 볼 수 있는 아름다운 공원임. 공원녹지과
(2094-2357)
3 은평구 등산로 봉산편백나무 치유의숲
(신규)
편백나무 13,400 1.5 서울에서 볼 수 있는 유일한 편백나무 숲으로 풍부한 피톤치드를 느끼며 가을 정취를 즐길 수 있음 공원녹지과
(351-8022)
4 마포구 공원 매봉산자락길 목백합,
단풍나무
1,000 1.2 매봉산 자락길을 따라 걸으면 다양한 나무의 형형색색 단풍을 감상할 수 있으며 한강, 월드컵공원, 상암동의 전경을 한눈에 볼 수 있음. 공원녹지과
(3153-9563)
5 동작구 공원 현충원길
(호국지장사~
장군묘역~
현충탑)
은행나무,
단풍나무
300 1 국립현충원 내부의 식재된 은행나무와 단풍나무가 아름답게 어우러져 있으며, 호국지장사, 대통령장군사병묘역 등을 지나면서 애틋한 나라사랑 정신도 되새길 수 있음. 공원녹지과
(820-9815)
6 동작구 공원 노량진공원길
(무장애숲길)
참나무 200 0.4 노약자와 장애인 등 보행약자를 위한 무장해 숲길이 조성되어 있으며, 무장애숲길 주변 으로 신갈나무 등 참나무 군락이 자라고 있어 가을철에 더욱 운치있게 걸을 수 있음. 공원녹지과
(820-9815)
7 동작구 공원 서달산길
(서달산 생태다리주변)
복자기나무 100 0.4 새빨간 복자기나무를 보노라면 마치 나무에 불이라도 붙은 모양새임.
서달산길에는 단풍이 아름다운 복자기 나무길이 조성되어 있으며, 주변에는 산림욕을 즐길 수 있는 피톤치드 체험장과 자연생태 학습장인 숲속유치원이 있음.
공원녹지과
(820-9815)
8 서초구 공원 문화예술공원 메타세쿼이아 200 1.5 메타세쿼이아 군락내 낙엽이 쌓인 산책로를 걸으며 운치있는 분위기속에 단풍을 감상 할 수 있음. 공원녹지과
(2155-6894)
9 송파구 공원 송파나루
근린공원
(석촌호수 조깅로)
왕벚나무
4
1,660 2.6 석촌호수와 조화를 이룬 아름다운 낙엽의 거리 공원녹지과
(2147-3391)
10 서울숲 공원 숲속길 은행나무, 느릅나무 등 800 0.5 은행나무 600주 군락지에서 이색적 가을단풍과 산책로를 따라 도심 속 숲의 기운을 느낄 수 있음 서울숲관리사무소
(460-2973)
11 서울숲 공원 바람의언덕 억새
0.6 바람의 흐름에 따른 갈대의 소리를 느끼며 깊은 명상이 가능한 장소임 서울숲관리사무소
(460-2973)
12 매헌
시민의숲
공원 단풍길
(신규)
단풍나무 470 1.0 산림청 주관 2024 아름다운 도시숲 50선에 선정된 매헌시민의숲은 산책로를 따라 식재된 느티나무, 단풍나무 길을 걸으며 아름다운 가을 단풍의 절경을 느낄 수 있음 매헌시민의숲관리사무소
(575-3895)
13 남산
공원
공원 북측순환로 왕벚나무
단풍나무 등
500 3.5 차량 통행이 없는 보행자 전용 도로로 운동과 산책을 겸하여 가을정취를 느낄 수 있음. 중부공원
여가센터
(3783-5944)
14 남산
공원
공원 남측순환로 왕벚나무
단풍나무 등
500 2.5 도심속 숲속의 기운과 가을 단풍의 아름다음을 느낄 수 있음. 중부공원
여가센터
(3783-5944)
15 남산
공원
공원 야외식물원내 은행나무
왕벚나무 등
300 1.0 운동과 산책을 겸하여 공원내 다양한 수종의 가을단풍을 감상할 수 있음. 중부공원
여가센터
(3783-5944)
16 용산
가족
공원
공원 주차장 입구~ 작은 연못
(신규)
은행나무, 왕벚나무 등 200 0.5 도심 속에서 분수, 연못과 어우러진 아름다운 가을 정취 감상할 수 있음 중부공원
여가센터
(3783-5922)
17 월드컵
공 원
공원 희망의 숲 삼림욕길
(하늘공원 마라톤길)
메타세쿼이아 500 1.0 코스모스 꽃단지 조성으로 삼림욕과 마라톤을 하며 가을 정취를 느낄 수 있음. 서부공원
여가센터
(300-5545)
18 월드컵
공 원
공원 하늘공원
억새밭 길
억새
2.2 광활한 초지생태공원의 은빛 억새꽃에서 가을정취를 물씬 느낄 수 있음. 서부공원
여가센터
(300-5545)
19 보라매
공원
공원 잔디광장 옆
산책길
느티나무
버즘나무
100 0.5 느티나무와 버즘나무가 나란히 심겨져 길을 따라 걷기 좋은 산책코스이며, 가족들과 도심 속 가을 피크닉 장소로 좋은 곳임 보라매공원
관리사무소
(2181-1174)
20 서 울
대공원
공원 낙엽의 거리
(하마사
~남미관)
느티 320 0.9 느티나무가 병렬로 식재되어 단풍이 아름답고 낙엽의 소리를 느끼며 걸을 수 있는 분위기의 공간임. 조경과
(500-7521)
21 서 울
대공원
공원 동물원 둘레길
(동물병원 초소 ~
동물원 외곽순환길 ~북문)
,단풍
,계수
2,000 4.5 서울동물원 외곽순환도로로 달콤한 향기의 계수나무와 단풍, 느티, 벚나무 등 생태적 으로 안정된 숲터널의 길로 단풍이 아름 답고 아늑한 분위기가 느껴지는 10리길 조경과
(500-7521)
22 서 울
대공원
공원 호숫가 둘레길
(청계 저수지 둘레길)
왕벚나무
은행나무
느티나무
메타세쿼이아
800 2.8 청계저수지 호숫가를 한바퀴 도는 산책길로 왕벚나무 등 다양한 나무의 단풍이 아름다우며 서울대공원만의 특색있는 코끼리 열차운행도 볼 수 있음 조경과
(500-7521)
23 어린이
대공원
공원 후문진입로
(아차산역~팔각당)
은행나무 200 0.6 공원 진입로 양측과 중앙화단에 4열로 식재된 대형 은행나무가 매혹적인 단풍 경관을 연출함 어린이대공원
(450-9317)
24 어린이
대공원
공원 순환산책로
(정문~동물공연장)
복자기 120 0.5 공원 순환 산책로 양측에 식재된 복자기 가로수의 단풍터널 사이로 운동과 산책을 즐기며 가을정취를 느낄 수 있음 어린이대공원
(450-9317)


④ 산책길에 만나는 단풍길

연번 자치구
(사업소)
구분 노선명
(구간)
주요 수종 수량
(그루)
연장
()
선정 사유 문의 전화
(지역번호 02)



42개소
25,534 54.5

1 중 구 가로 동호로
(동국대입구~
청계5)
은행나무 389 1.2 2열 식재 된 은행나무와 화단의 관목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 아름다운 단풍을 볼 수 있음. 공원녹지과
(3396-5862)
2 용산구 가로 소월길
(남산맨션~
힐튼호텔)
은행나무 595 2.9 남산공원과 연계된 길로 아름다운 은행나무 단풍 정취를 만끽할 수 있는 거리임. 공원녹지과
(2199-7623)
3 광진구 가로 능동로
(어린이대공원~
건대입구역사거리)
느티나무, 단풍나무 등 600 1.4 띠녹지 조성노선이며 세종대 앞 서울디자인 거리, 건국대 담장녹화 구간노선으로 느티나무, 단풍나무가 병열로 식재되어 단풍과 낙엽의 정취를 만끽할 수 있음. 공원녹지과
(450-7792)
4 광진구 가로 워커힐로
(아차산생태공원
~워커힐호텔)
벚나무,
단풍나무 등
100 0.7 아차산생태공원에서 워커힐호텔로 진입 하는 임야 사이에 조성된 노선으로 보도가 목재 데크로 되어 있으며 가로변 수목이 수관터널을 이루고 있어 아름다운 단풍을 볼 수 있음. 공원녹지과
(450-7792)
5 동대문구 가로 회기로
(국방연구원경희대)
은행나무 300 1.1 걷고싶은거리로 지정되어 있고 아름다운 은행 단풍을 볼 수 있음. 공원녹지과
(2127-4780)
6 중랑구 가로 중랑캠핑장길
(양원역~망우리공원)
중국단풍 104 0.8 가을에 붉은색으로 물드는 단풍이 아름답고 수형이 단정하며 인근에 중랑캠핑숲이 있어 산책하기 좋은 가로임. 공원녹지과
(2094-2383)
7 성북구 가로 안감내길
(성북구청~
대광중학교)
은행나무 406 1.5 성북천 옆 보도를 따라 은행나무가 2열로 식재되어 있어 아름다운 단풍과 낙엽을 볼 수 있음. 공원녹지과
(2241-3703)
8 성북구 공원 개운산산책로
(생태체험관~
마로니에마당)
칠엽수
느티나무
단풍나무 등
600 0.5 완만한 산책로 양쪽으로 우거진 나무들의 단풍이 아름다우며, 마로니에 마당은 우수조망명소로 선정된 바 있음. 공원녹지과
(2241-3703)
9 강북구 가로 인수봉로
(한신대~4.19)
은행나무 500 1.6 주택가 주변의 조용한 도로로 은행나무의 단풍을 즐기기에 좋은 장소임. 공원녹지과
(901-6944)
10 강북구 가로 4.19
(4.19 사거리~
아카데미하우스호텔입구)
참나무류등 10 500 1.4 북한산 등산로를 올라가는 가로변으로 가을철 은행나무의 단풍과, 산림 주변 벚나무, 참나무류 등 북한산의 다양한 수목들의 단풍을 구경할 수 있는 노선 공원녹지과
(901-6944)
11 도봉구 가로 해등로
(도봉문화정보센터창동오거리)
느티나무
은행나무

239 1.0 주택가 주변으로 은행나무와 느티나무의 단풍을 즐기기에 좋은 장소임 도시녹지과
(2091-3773)
12 도봉구 가로 초안산공원길
(제일주유소1동치안센터창일중학교)
느티나무 170 0.8 주택가 주변 차량 통행이 많지 않은 곳으로 초안산과 어우러져 느티나무의 단풍이 아름다운 장소이며, 최근 조성한 초안산생태공원과 연접하고 있음 도시녹지과
(2091-3773)
13 도봉구 가로 노해로
(숭미파출소창동역 이마트)
은행나무 315 2.0 은행나무와 관목류가 어우러진 단풍과 낙엽이 아름다운 걷고 싶은 거리임 도시녹지과
(2091-3773)
14 도봉구 가로 마들로
(지운고교녹천교사거리)
은행나무 600 1.5 중랑천과 연결된 아름다운 길로 하천변의 산책로와 함께 이용 가능한 은행나무 단풍길 도시녹지과
(2091-3773)
15 노원구 가로 한글비석길
(양지근린공원~골마을근린공원)
은행나무
층층나무
300 1.2 은행나무와 층층나무가 2열로 식재되어 있으며 불암산 및 수락산 전경과 어우러져 경관이 아름다움. 푸른도시과
(2116-3941)
16 노원구 가로 화랑로
(태릉입구~
삼육대학교)
양버즘나무 593 2.1 울창한 버즘나무가 터널경관을 연출하여 경관이 아름답고 산책공간으로 좋음. 푸른도시과
(2116-3941)
17 노원구 공원 상계근린공원
내 산책로
단풍나무
양버즘나무 등
1,000 0.7 아파트 밀집지역 내 위치한 공원으로 산책로변에 단풍나무, 양버즘나무 등의 수목과 함께 배드민턴장, 숲속 작은도서관 등 휴게시설이 시설되어 주민들의 여가선용 및 가을정취를 느끼기에 적합한 지역임. 푸른도시과
(2116-3932)
18 은평구 가로 진흥로
(불광역 ~
구기터널)
은행나무
왕벚나무
공작단풍
화살나무 등
320 1.5 북한산의 아름다운 경관과 구기터널에서 불광천으로 이어지는 은행나무와 왕벚나무가 어우러진 아름다운 단풍과 그린웨이 조성사업시 식재한 화살나무, 철쭉 등 관목류의 단풍도 즐길 수 있음. 공원녹지과
(351-8013)
19 은평구 가로 증산로
(신사교~증산교)
왕벚나무 891 2.9 불광천 경관과 더불어 왕벚나무의 아름다운 단풍을 감상 할 수 있음. 공원녹지과
(351-8013)
20 은평구 가로 백련산로
(충암고교삼거리~
응암2동주민센터)
중국단풍,
은행나무
135 0.9 재건축사업과 연계하여 특색있는 중국단풍나무 거리로 조성하여 노랗고 붉은 단풍이 아름다움 공원녹지과
(351-8013)
21 서대문구 공원 안산
산책로
느티나무 450 1.5 안산도시자연공원 진입로에 위치하여 터널을 지나는 듯한 아름다운 단풍을 감상하고 산책을 즐길 수 있음 푸른도시과
(330-1787)
22 마포구 가로 월드컵로
(월드컵경기장앞~ 구룡삼거리)
느티나무 772 2.0 월드컵경기장에서 구룡삼거리 방향 좌측은 하늘공원노을공원이 위치하고, 우측은 매봉산상암산이 위치하여 공원아름다운 가로수 단풍 모두를 즐기기 좋은 거리임. 공원녹지과
(3153-9572)
23 양천구 가로 목동9단지 사잇길
(목동9단지 912
~남부지방법원)
느티나무 111 0.5 아파트 밀집지역 내 위치하여 주변 신월로디자인거리와 연속된 공간으로, 터널형으로 조성된 느티나무 가로수 단풍이 아름다움. 공원녹지과
(2620-3585)
24 강서구 공원 우장근린공원내 산책로 버즘나무
왕벚나무
은행나무
3,000 2.2 우장근린공원은 원당산과 검덕산 2개봉으로 형성된 공원으로 산책로변에 왕벚나무, 버즘나무 등의 수목과 잔디운동장(축구장), 국궁장, 정자 등 각종 체육시설과 휴게시설이 복합적으로 시설되어 있어 주민들의 여가선용에 적합한 지역임. 공원녹지과
(2600-4185)
25 강서구 공원 방화근린공원내 산책로 은행나무
느티나무
왕벚나무
2,500 1.0 방화근린공원은 분수대, 정자, 운동시설 등이 설치되어 있으며, 공원외곽에는 개화산과 꿩고개 근린공원이 감싸고 있어 산책과 휴식, 운동 등을 함께 할 수 있는 공원임. 공원녹지과
(2600-4186)
26 강서구 공원 공암나루
근린공원내 산책로
메타세쿼이아 340 0.8 6m상당의 아름드리 메타세쿼이아, 느티나무가 산책로를 따라 2열씩 식재된 곳으로 이국적인 경관을 자랑하며 산책로를 거닐며 사색과 휴식을 즐길 수 있는 공원내 산책로임. 공원녹지과
(2600-4186)
27 강서구 공원 서남환경공원내
산책로
메타세쿼이아 400 0.6 방화3동 서남물재생센터내 서남환경공원의 산책로변에 열식된 메타세코이어의 아름다운 단풍과 함께 각종 휴식시설, 편의시설, 운동시설 등이 설치되어 있어 가을 정취를 느끼기에 적합한 지역임. 공원녹지과
(2600-4165)
28 강서구 가로 화곡로
(강서구청~
화곡역)
메타세쿼이아 278 1.3 강서구청 사거리부터 화곡역까지 대경목의 메타세쿼이아가 식재되어 있어 가을철 아름다운 단풍을 느낄수 있으며, 또한 가로수아래 띠녹지내 화살나무, 공작단풍, 철쭉류 등의 관목류가 식재되어 있어 다층식재의 단풍을 감상할 수 있는 볼거리가 다채로운 거리임. 공원녹지과
(2600-4188)
29 강서구 가로 등양초교 앞길
(가양역8번출구~
대룡드림타워)
은행나무
단풍나무
느티나무
932 1.3 주요 간선도로인 양천로의 이면도로로, 녹지에 식재된 은행나무, 단풍나무 및 느티나무가 하늘을 뒤덮어 녹음이 짙으며, 단풍이 들고 낙엽이 질때면 사색을 즐기며 걷고 싶은 숲길로 거듭남. 공원녹지과
(2600-4190)
30 구로구 공원 매봉산
자락길
참나무 등 800 0.8 매봉산 무장애숲길로 조성되었으며 기존 자연환경과 어울리며 사계절 꽃과 수목관찰을 할 수 있는 장소임. 녹색도시과
(860-2396)
31 금천구 등산로 호압사길 단풍나무
버즘나무
벚나무
200 0.6 호압사로 올라가는 산책로로 여러 가지 수종의 단풍이 고루 있어 가을의 정취를 느낄 수 있음. 공원녹지과
(2627-1673)
32 금천구 가로 벚꽃로
(가산디지털단지역~금천구청)
왕벚나무 642 2.5 벚꽃십리길로 긴 노선에 걸쳐 왕벚나무 단풍을 감상할 수 있음. 공원녹지과
(2627-1673)
33 영등포구 가로 여의공원로
(여의도지구대
~KBS정문)
은행나무 271 1.1 여의도공원을 끼고 가을철 노란 은행잎을 밟으며 아름다운 단풍을 볼 수 있음. 푸른도시과
(2670-3767)
34 영등포구 가로 여의나루로
(여의나루역
~ MBC)
느티나무 100 0.4 띠녹지가 조성되어 있어 쾌적하며, 가로수와 인접한 아파트 내 대형 느티나무로 인해 수목 터널 및 갈색단풍을 만끽할 수 있음. 푸른도시과
(2670-3767)
35 동작구 가로 여의대방로44
(숭의여자중고등학교~대방대림@ 상가)
중국단풍나무 183 0.65 가을철 중국단풍나무를 감상하며, 걷다보면 중간중간 공원 및 쉼터 등에 앉아 쉬면서 도심 내 일상 속에서 가을의 정취를 느낄 수 있음 공원녹지과
(820-9815)
36 관악구 등산로 관악산
(관악산광장
~ 관악산제1광장)
단풍나무 등 2,990 1.0 관악산 단풍경치를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등산로임. 공원녹지과
(879-6561)
37 관악구 가로 성현로 왕벚나무 등 112 1.3 왕벚나무 등 다양한 수목이 가로숲을 이루고 있어 각양각색의 아름다운 가을 정취를 느낄 수 있음. 공원녹지과
(879-6531)
38 강남구 가로 양재천로
(영동2~ 영동6)
메타세쿼이아 859 2.95 메타세쿼이아 가로수가 양재천과 어우러져 이국적 분위기를 연출하며 단풍이 아름다움. 공원녹지과
(3423-6272)
39 강남구 공원 대치1 연결녹지
(대청역 공영주차장 ~ 대진초후문)
메타세쿼이아 239 0.3 메타세쿼이아 사이로 목재데크를 따라 조용히 사색할 수 있는 길 공원녹지과
(3423-6272)
40 강동구 가로 고덕로
(고덕역~상일동역)
느티나무 581 1.6 느티나무가 병렬식재되어 단풍 터널을 이룸. 푸른도시과
(3425-6464)
41 강동구 가로 강동대로
(둔촌사거리~ 풍납사거리)
은행나무 615 1.4 은행나무 가로수가 병렬식재 되어있고, 가로수와 띠녹지가 조화를 이룸. 푸른도시과
(3425-6464)
42 강동구 가로 동남로
(이마트~ 한영중고교앞)
메타세쿼이아
은행나무
502 1.0 메타세쿼이아, 은행나무가 2열 식재되어 아름다운 단풍을 감상할 수 있음. 푸른도시과
(3425-6464)


출처 : 서울특별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