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2023년 6월 1일부터 코로나19 감염병 재난 위기경보 단계가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정됨에 따라 시민들의 안전한 일상 회복을 위한 대응계획을 수립하고 주요 방역 조치를 완화한다고 밝혔습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질병위험도 하락과 안정적 방역상황, 세계보건기구(WHO)의 공중보건위기상황 해제 발표(2023년 5월 5일) 등을 고려해 오는 6월 1일부터 코로나19 위기 경보 수준을 심각에서 경계로 하향 조정을 결정하였습니다. 

아울러, 지난 3월 29일 발표한 '코로나19 위기단계 조정 이행안(로드맵)'을 점검하고, 단계별 세부계획에 따른 주요 방역조치를 조기에 시행하는 '방역조치 전환 계획'을 마련해 6월 1일부터 전국적으로 시행하기로 하였습니다.

부산시도 정부의 위기단계 하향 및 방역조치 전환 계획에 따라, 자체 대응계획을 수립.시행해 오는 6월 1일부터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중심으로 주요 방역조치를 완화하고 안전한 일상회복을 위한 일부 대응체계를 유지합니다.

주요 방역조치 완화내용은
 ◇ 확진자 7일 격리 의무를 5일 권고로 전환,
 ◇ 의원·약국 마스크 착용 권고 전환(병원급 의료기관, 입소형 감염취약시설 의무 유지),
 ◇ 감염취약시설 방역수칙 개편(종사자 선제검사 권고 전환, 대면 면회 시 방역수칙 준수 하에 입소자 취식허용),
 ◇ 입국 후 3일 차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검사 권고 종료 등입니다. 

주요 방역조치 완화에도 불구하고 시민의 건강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선별진료소를 지속 운영해 고위험군 중심의 중합효소 연쇄반응(PCR) 검사를 시행하며, 진단.치료.처방이 가능한 원스톱 진료기관과 재택치료자를 위한 의료상담센터와 행정안내센터 운영은 현재 지원체계를 당분간 유지합니다.
 단, 6월 1일부로 부산시청 임시선별검사소 운영과 부산형 건강관리도구(세트) 지원은 중단합니다.

또한, 입원치료비, 예방접종, 치료제, 격리지원금(생활지원비, 유급휴가비) 등 지원체계도 당분간 유지함으로써 시민 부담을 경감합니다. 

시는 고위험군 보호를 위해 2023년 상반기 코로나19 고위험군 추가접종을 321개 위탁의료기관에서 시행하고 있으며, 접종을 권고받은 65세 이상 시민과 항암치료자 등 면역저하자는 방역조치 완화에도 예방접종을 받을 것을 당부하였습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우선 일상회복에 들어가기까지 코로나19 일선 현장에서 불철주야 애쓰신 의료진과 코로나19 확산 예방에 동참해주신 부산시민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전한다”라며, “우리시는 안전한 일상회복을 위해 코로나19 유행 전망을 지속적으로 관찰(모니터링)하고 대응체계를 유지하는 등 감염병으로부터 시민건강을 보호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하였습니다.

아울러, “시민 여러분들께서도 안전한 일상회복으로 조속히 나아가기 위해 손씻기, 환기와 소독, 기침예절 등 방역수칙 준수 생활화에 적극 동참해주길 부탁드린다”라고 덧붙였습니다. 

◎ 코로나19 위기단계 하향(심각→경계)에 따른 분야별 방역 조치사항(2023년 6월 1일부터 시행)

구분
현행
변경(심각경계)
시행일









방역
조치

마스크
일부 유지
(의료기관·약국, 입소형 감염취약시설)

의원·약국 권고 전환
(병원급 의료기관 및 입소형 감염취약시설은 당분간 유지)

23.6.1.
(경계 하향시)









격리
확진자 7일 격리
확진자 5일 격리 권고 전환
23.6.1.
(경계 하향시)









검역
입국후 3일차 PCR 권고
입국후 3일차 PCR 권고 종료
23.6.1.
(경계 하향시)







감염취약
시설보호

종사자(1) 선제검사(PCR)
입소자(입소시) 선제검사(PCR)
접종력에 따른 외출외박 허용
접촉 대면면회 시 취식금지
(방역수칙 준수)

종사자 선제검사 권고 전환
* 유증상, 다수인 접촉 등 필요시 PCR 또는 RAT
입소자(입소시) 선제검사 유지
접종력에 따른 외출외박 허용 유지
접촉 대면면회 시 취식허용(방역수칙 준수)

23.6.1.
(경계 하향시)









감시
전수 감시
유지 전수 감시
-









통계
일단위 통계 집계·발표
단위 발표
23.6.1.
(경계 하향시)









의료
병상
지정병상(상시+한시)
일반병상

한시지정병상 축소
상시병상 중심 운영

23.6.1.
(경계 하향시)









재택/외래
원스톱진료기관 운영
재택치료 지원

유지 원스톱진료기관 운영
재택치료 지원
*부산형 건강관리세트 지원 중단(6.1~)

-










검사
선별진료소 운영
임시선별검사소 운영

유지 선별진료소 운영
*부산시청 임시선별검사소 중단(6.1~)











지원
검사비
우선순위 PCR(무료)
의료기관 RAT(무료)

유지 우선순위 PCR(무료)
의료기관 RAT(무료)

-









입원 치료비
전체 입원환자 지원
유지 전체 입원환자 지원
-









생활지원비유급휴가비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종사자수 30인 미만 기업

유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종사자수 30인 미만 기업

-









방역물자
보건소선별진료소감염취약시설 개인보호구 지원
유지 보건소선별진료소감염취약시설
개인보호구 지원

-









치료제
정부 일괄 구매, 무상공급
유지 정부 일괄 구매, 무상공급
-









예방접종
누구나, 무료접종
유지 누구나, 무료접종
-









대응체계
중대본
중수본+범정부대책지원본부
23.6.1.
(경계 하향시)

표 출처 : 질병관리청

본문 및 배너 출처 : 부산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부산 해운대구(구청장 김성수)는 청년이 살기 좋고, 오고 싶은 도시 해운대를 만들기 위해 청년정책 5개년 기본계획인 ‘해운대 청년 H:Zip.30+4 프로젝트’를 추진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H:Zip.30+4’는 ‘해운대구(H)’가 ‘청년의 든든한 보금자리(집:Zip)’이자 ‘청년 정책을 집대성(All:Zip)’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청년의 생애주기에 맞춘 60개 정책을 총망라하였습니다.

청년의 생애주기는 준비기(청년 꿈 틔움) → 정착기(청년 꿈 채움) → 성장기(청년 꿈 피움) → 발전기(청년 꿈 이룸) 등 4단계입니다.

해운대구 청년 기본 조례상의 청년 연령인 34세에 맞춰 30개의 핵심사업과 4개의 미래구상사업을 골자로 합니다.

김성수 구청장은 “청년의 생애주기별 욕구를 반영한 해운대형 청년 종합 정책을 마련했다”며, “구 최초로 수립한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신호탄으로 해운대를 전국 청년 누구나 살기 좋고, 오고 싶은 도시로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2023년 4월 말 기준 해운대구 청년 인구(만 19~34세)는 6만 6천475명으로 부산시 구.군 중 두 번째로 많다. 해운대구 전체 인구(38만 4천335명)의 17.3퍼센트(%)를 차지합니다.

◎ 주요 사업 내용

1. 준비기 청년 꿈 틔움
대학생, 미취업 청년, 예비창업가 등 준비기 청년들에게 본인 탐색을 통한 진로 설계의 기회를 제공하고, 취업.창업의 기초 역량을 튼튼히 기를 수 있도록 도와 안정적 사회 진입을 촉진한다. 13개 핵심사업에 총사업비는 21억 5천만 원입니다.
 
 ▶청년일자리정보센터 운영(2024-2027 / 1억 원) - 분야별 청년 일자리 종합상담, 구직활동 지원 및 청년정책 정보 제공 등 
 ▶청년인재발굴육성센터 운영(2024-2027 / 3억 원)  - 첨단산업 분야 인재 양성 및 제4차 산업 미래인재 인력풀 구축
 ▶취업합격 응원 패키지 지원(2024-2027 / 2억 원)  - 패키지별 응원수당 지급·면접준비(25만 원), 시험준비(15만 원), 취업성공(10만 원)
 ▶글로벌·대기업 청년 취업 멘토링 콘서트(2023-2027 / 1억 2천5백만 원) - 글로벌·대기업 전·현직 직원 멘토로 참여, 모의면접, 취업 특강, 그룹 멘토링 등
 ▶대학생 잡런치(Job-Launch) 카페 운영 (2025-2027 / 4억 5천만 원) - 대학교 인근 카페와 업무협약, 취업특강 및 스터디, 모의면접, 취업상담 및 정보 제공 등
 ▶청년 취업도전! 「나를 만드는 시간, 30일」(2026-2027 / 1억 원) - 분산돼 있는 취업 지원 서비스를 하나의 패키지로 통합, 30일간 집약적 제공
 ▶우수기업 탐방 프로그램 운영 (2023-2027 / 2억 원)  - 기본·심화 기업 연수 프로그램 운영 및 참여기업 인센티브 지원
 ▶지역상권 연계 대학생 CEO 연수 프로그램 운영 (2026-2027 / 2억 원) - 창업연수 교육 및 현장 실습 진행, 수료생은 영세(폐업위기) 상점에 솔루션 제공

2. 정착기 청년 꿈 채움
사회 초년생, 초기창업가, 전입청년 등 정착기 청년들에게 지역 사회의 원활한 정착 및 역량 강화 등의 지원으로 튼튼한 자립기반 형성을 돕는다. 8개 핵심사업에 총 사업비는 84억 3천만 원입니다. 
 ▶도심형 주거창업 복합공간 조성 (2023-2027 / 12억 원) - 폐교 및 공·폐가 등 유휴시설 활용. 업무․주거․공용공간 조성
 ▶해운대 청년채움공간 확대 운영 (2023-2027 / 10억 1천5백만 원) - 청년 창업 인큐베이팅 ․공간 지원, 취·창업 교육, 컨설팅
 ▶청년 1인가구 안심홈세트 지원 (2026-2027 / 1억2천만 원)  - 안심홈세트 5종(스마트초인종, 홈CCTV, 문열림센서, 휴대용비상벨, 창문잠금장치) 선택 지원  
 ▶해운대 전입청년 웰컴박스 지원 (2026-2027 / 1억 원)  - 타 시·도에서 해운대구로 전입한 청년
 ▶청년일터 힐링강좌 배달서비스 (2025-2027 / 1억 5천만 원)   - 청년 직장인들의 마음치유 및 자기개발을 위한 배달강좌
 ▶해운대형 청년일자리사업 (2023-2027 / 45억 9천만 원)    - 직접일자리(인건비), 고용유지 인센티브, 창업 간접비 지원 등

3. 성장기 청년 꿈 피움
직장인, 창업가, 청년기업 등 성장기 청년들에게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중추적인 역할을 부여하고 차별화된 지원책을 마련해 경쟁력 있는 청년으로 육성한다. 9개 핵심사업에 총 사업비는 20억 4천 6백만 원입니다.
 ▶청년친화기업지원센터 운영 (2024-2027 / 2억 원)  - 청년친화강소기업 네트워크 구성 및 파트너십 체결, 맞춤형 인재 추천 통한 기업의 안정적 인력 운영·정규직 채용 유도
 ▶청년 스타트업 지원사업 확대 (2023-2027 / 13억 5천만 원)  - 청년 인큐베이팅, One-Stop 창업플래너, H:스타트업 성장 모멘텀 사업 등
 ▶청년창업연구소 운영 (2023-2027)  - 창업 기반이 취약한 청년 (예비)창업가 대상, 정보 제공 및 교육·컨설팅, 연구·개발 등 창업 전 과정 체계적 지원  
 ▶해운대 청년정책네트워크 운영 (2025-2027 / 1억 원)  - 청년 스스로 지역 문제 해결 위한 창의적 의견 수렴 및 정책 도출
 ▶해운대 청년참여예산제 운영 (2026-2027 / 2천만 원)  - 청년 주도의 정책 발굴 및 예산편성 기반 사업시행 담보
 ▶청년크리에이터센터 운영 (2023-2027) - 해운대 지역자원 기반의 혁신적 아이디어를 보유한 청년 크리에이터(로컬/미디어) 발굴·육성 및 활동 지원 
 ▶청년 프리랜서 뱅크 운영 (2024-2027 / 6천6백만 원) - 해운대 기반으로 활동하는 청년 프리랜서 정보 제공 및 수요기관(단체) 열람서비스 제공, 청년 프리랜서 활동기반 제공
 ▶청년PD·작가가 만드는 해운대 청년채널 운영 (2025-2027 / 6천만 원)  - 청년 주도 콘텐츠 제작, 청년정책 발굴 및 홍보
 ▶해운대 청년주간 「청춘난장」 운영 (2023-2027 / 2억 5천만 원)  - 청년의 날 기념, 청년주간 기간 동안 '청춘난장'이라는 주제 아래  특강, 전시, 체험, 문화공연 등 다채로운 이벤트

④ 발전기 청년 꿈 이룸
중·장기적으로 전(全) 주기의 청년 각자가 주인공이 되어 청년정책 환경을 조성하고, 더 나아가 청년 모두가 원하는 꿈을 이루는 청년 희망도시 해운대 완성을 이끈다. 4개의 미래구상사업에 총 사업비는 312억 원입니다.
 ▶(가칭) 해운대 청년 H:Zip센터 건립 (2026-2030 / 300억 원)  - 원스톱 청년종합지원시설 건립을 통한 지역 내 강소기업과의 유기적 네트워크 형성 및 청년 니즈에 부합하는 청년정책 종합 추진
 ▶청년을 해운대로 D.I.Y. 청년동(洞) 조성 (2026-2030 / 6억 원)  - 청년 스스로 자신들이 살고 싶은 마을을 만들어 가고 꿈꾸던 일을 실현할 수 있는 전국적 청년 메카 조성
 ▶스터디케이션(Studycation) 해운대캠퍼스 운영 (2026-2030 / 5억 원)  - 타 지역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방학기간을 활용해 해운대에서 공부와 방학, 커뮤니티 활동을 즐길 수 있는 기회 제공
 ▶청년정책, 청년 손으로 해운대 청년총회 개최 (2026-2030 / 1억 원)  - 청년이 직접 기획하고 참여하는 청년총회 개최로 청년이슈 전반에 대한 정책의제 발굴 및 실제 정책으로의 실현 도모


출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응형
반응형

부산 동래구에서는 담배꽁초를 자발적으로 수거해 온 관내 주민들에게, 정해진 기준에 따라 종량제봉투로 교환해 주는 사업을 아래와 같이 시행합니다.

○ 운영기간 : 2023년 6월 8일부터 ~ 예산 소진 시까지

○ 참여 대상 : 만 20세 이상이며 주민등록상 동래구 거주 주민

○ 운영 방법
   담배꽁초 접수일 : 매월 둘째 주와 넷째 주 목요일
   접수시간 : 오후 2시(14시)부터 오후 4시(16시)까지
   보상 지급 기준 : 25그램(g)당 종량제봉투 10리터짜리 1매
   접수 최소 무게 : 수거팩 최소 1팩 이상
   접수 최대 무게 : 1인당 월 3팩 이내

○ 참여방법 : 신분증 지참 후 동래구청 청소과 방문, 신청 후 수거팩 수령하여 참여

○ 유의사항 : 대리접수 불가, 담배꽁초 외 이물질 포함 시 접수 불가, 젖은 꽁초 포함 시 일부만 실적으로 인정

문의사항은 동래구 청소과 청소계 (전화번호 051-550-4432)

참고로, 동래구에서는 2023년 5월 18일부터 '일회용 플라스틱컵'을 종량제 봉투로 교환해 주는 사업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문의처는 동래구 청소과 재활용계 (전화번호 051-550-4454)

출처 : 부산광역시 동래구

반응형
반응형

(재)인천동구장학재단(이사장 김찬진)은 지역 인재 양성을 위하여 ‘2023년도 학업 우수 장학생’을 선발합니다.

 

학업 우수 장학생은 동구를 빛낼 우수한 지역 인재를 발굴·육성하고 학업을 장려하고자 선발하는 사업으로, 2023년 4월 17일부터 5월 8일까지 동구청 교육지원과(송림동 소재)를 방문하거나 등기우편(인천 동구 금곡로 67, 교육지원과)으로 신청하면 됩니다.

 

접수된 건은 서류심사 후 장학생 선발심사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최종 50명을 선발하며, 1인당 300만원의 장학금(현금 70% + 동구사랑상품권 30%)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선발 대상은 공고일 기준 본인 또는 보호자가 동구에 2년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대학교 재학생 중 학업 우수자입니다.

 

성적은

신입생의 경우 수능성적 또는 고등학교 3학년 1학기 성적이 평균 석차 3등급 이내,

재학생의 경우 직전 학기 12학점 이상 이수하고 평균 평점 4.5만점 기준 3.5(B+) 이상입니다.

 

김찬진 이사장은 “동구장학재단에서는 매년 대학생들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고 면학 장려를 위해 학업 우수 장학생을 선발해 장학금을 지급하고 있다”며 “많은 관심과 신청을 부탁드린다”고 말하였습니다.

 

한편, 학업 우수 장학생 선발과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인천동구청 및 (재)인천동구장학재단 홈페이지(https://www.icdonggu.go.kr/open_content/scholarship/) '2023년도 학업 우수 장학생 선발 공고'를 확인하거나, 동구청 교육지원과(전화번호 032-770-6088)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 공고문 서식 등 (모두 아래아한글 파일 hwp)

2023장학생모집공고문.hwp
0.13MB
2023장학생신청서식.hwp
0.11MB
2023자주묻는질문.hwp
0.10MB

출처 : 인천광역시 동구

반응형
반응형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가 시민을 대상으로 일회용 배달용기의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을 안내하고 시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찍어쓰! 배달 분리배출' 도전행사(챌린지)를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찍어쓰! 배달 분리배출’ 챌린지는 시민들이 일회용 배달용기를 올바르게 분리배출하거나, 배달 음식 주문 시 일회용 수저 및 포크 수령을 거절하는 화면을 인증하고, 그 모습을 담은 사진을 개인 SNS에 게시(업로드)하는 방식입니다.

본 행사(챌린지)는 배달e음과 협업으로 진행해 배달e음 팝업창에 2주 동안 게시되며, 시에서 제작한 ※그린인천 홈페이지(https://www.greenincheon.com/html/main.php)와도 연계하여 배달용기에 대한 올바른 분리배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인천시 자원순환 시민참여 이벤트를 진행하는 사이트


행사(챌린지) 기간은 2021년 ‘자원순환의 날'인 9월 6일을 시작으로 9월 19일까지 2주 동안이며, 참여자 중 추첨을 통해 180명을 선정하여 경품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정낙식 시 자원순환과장은 “이번 챌린지를 통해 코로나19 상황에서 급격히 증가한 일회용 배달용기의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을 시민들께 안내하고 참여를 유도해 자원순환 실천 문화가 확산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하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당부하였습니다.

이번 캠페인의 자세한 내용은 인천e그린 페이스북, 버리스타 인스타그램, 시 자원순환과(전화번호 032-440-3577)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 : 인천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부산시(시장 박형준)가 2021년 9월 6일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3단계로 조정합니다.

기간은 추석 연휴를 고려하여, 2021년 10월 3일까지 4주간 적용할 예정입니다.

 

부산시청 홈페이지 http://www.busan.go.kr/

부산시는 2021년 9월 3일 오후, 기자설명회에서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조정방안에 맞춰 부산지역 거리두기 단계를 3단계로 완화한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오는 10월 3일까지 수도권에는 4단계를, 비수도권에는 3단계를 적용하는 거리두기 단계 조정방안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부산지역은 지난달 둘째 주를 정점으로 확진자가 차츰 감소하고 있고, 예방접종률은 증가하는 등 다소 안정적인 감염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실제, 부산시는 지난달 21일 세자릿수 확진자(118명)가 발생한 이후 열흘 넘게 하루 두 자릿수 확진자 발생을 유지해 오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난 7월 19일부터 7주째 유흥시설, 노래연습장 등에 대한 집합금지가 이어지고, 지난달 10일부터는 사회적 거리두기 최고 단계인 4단계를 적용하면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는 그야말로 뼈를 깎는 고통 속에서 절박한 삶을 이어가고 있는 실정입니다.

이에 부산시는 서민경제와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생활방역위원회, 중대본과 협의를 거쳐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를 3단계로 조정합니다.

다만, 여전히 지역 내에 전파력이 강한 델타 변이바이러스 등이 확산되고 있는 만큼 일부 방역수칙을 강화합니다.

먼저, 오는 9월 6일부터는 사적모임은 4명까지 허용되며, 예방접종 완료자를 포함하는 경우 8명까지 허용합니다. 이 경우 예방접종 미완료자는 4명까지 가능하며, 행사와 집회도 49명까지 허용합니다. 

그 동안 영업이 중단되었던 유흥시설(유흥주점, 단란주점, 클럽(나이트), 감성주점, 헌팅포차), 콜라텍·무도장, 홀덤펍·홀덤게임장과 노래연습장의 운영도 재개합니다. 단, 영업시간은 22시(밤 10시)까지로 제한합니다.

식당·카페, 편의점, 포장마차는 22시까지 매장 내 취식이 가능하고, 22시부터 다음날 새벽 5시까지는 포장과 배달만 허용됩니다. 또, 시설면적과 관계없이 모든 영업장에 좌석 또는 탁자(테이블) 한 칸 띄우기 등을 적용합니다. 

다수의 확진자가 발생한 목욕장업의 경우, 현재와 같이 22시까지 운영이 가능하고, 한증시설(사우나 등) 운영은 금지합니다.

숨은 감염자를 조속히 찾기 위한 종사자 주기적 검사도 강화합니다.

 

시는 유흥시설과 (코인)노래연습장, 목욕장업, 실내체육시설, 학원·교습소, 백화점·대형마트, PC방, 요양병원, 요양시설 사업장 내 근무하는 모든 종사자를 대상으로 주기적 검사(2주 1회)를 시행할 방침입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그동안 지역사회 내 감염 예방을 위한 고강도 대책이 시행되면서,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이 가중되어 안타까움과 고민이 많았다”라며 “어렵게 단계 완화가 결정된 만큼, 그간의 노력이 수포로 돌아가지 않도록 방역의 고삐를 다시 한번 조이고, 마음가짐도 굳혀야 한다. 시민 여러분과 영업주들께서는 방역수칙을 적극적으로 준수해주시길 당부드린다”라고 강조하였습니다.

아울러, 부산시는 추석 연휴 중 많은 이동이 예상되는 만큼 추석 특별방역대책을 마련해 감염위험 최소화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입니다.

감염 고위험시설은 특별점검을 진행하고, 연휴기간 중 선별진료소와 감염병전담병원 등 의료 대응체계를 빈틈없이 구축할 계획입니다.

○ 주요 시설별 방역수칙 요약표 

 

구분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 3단계 + 방역수칙강화
① 모임·행사
  사적 모임 ▸5명 이상 사적모임 금지
 - 식당 등 다중이용시설에 5명 이상 예약 및 동반입장 금지



기타 모임·행사 행사·집회는 50명 이상 금지
 * 단, 집회의 경우 예방접종 완료자라도 인원 수 산정 시 제외하지 않음
② 다중이용시설  * 종사자등: 시설(사업장)내 근무하는 모든 종사자를 말함  
  공통수칙 마스크 착용, 방역수칙·이용인원 게시 및 안내, 출입자 명부 관리, 주기적 환기·소독, 증상확인 및 출입제한, 음식섭취 금지(일부 시설 미적용), 방역관리자 지정
1
그룹 
 
시설
유흥시설
(유흥주점, 클럽(나이트),
단란주점, 감성주점, 헌팅포차)

 
 
시설 면적 8㎡당 1명 인원 제한 * 클럽, 나이트는 10㎡당 1명
 * 이용인원 산정시 유흥종사자 포함
22시 ~ 익일 05시 까지 운영제한
전자출입명부 작성 의무(유흥종사자 포함, 수기명부작성 불가)
▸가창시 마스크 착용 등 의무사항 준수
유흥시설 종사자등 주기적 검사 2주 1회
* 단, PCR 검사 ‘음성’ 확인자(2주 이내 음성확인서)만 종사
콜라텍·무도장 시설 면적 10㎡당 1명 인원 제한
22시 ~ 익일 05시 까지 운영제한
종사자등 주기적 검사 2주 1회
* 단, PCR 검사 ‘음성’ 확인자(2주 이내 음성확인서)만 종사
홀덤펍‧홀덤게임장 시설 면적 8㎡당 1명 * 이용인원 산정시 딜러 포함
주사위, 카드 등 공용물품 사용 시 장갑착용 또는 손소독하기(권고)
22시 ~ 익일 05시 까지 운영제한
종사자등 주기적 검사 2주 1회
* 단, PCR 검사 ‘음성’ 확인자(2주 이내 음성확인서)만 종사
 
2
그룹
 
시설
식당·카페
(무인카페, 편의점·포장마차 포함)
▸22시 ~ 다음날 5시까지 포장·배달만 허용
 * (편의점·포장마차) 매장내 취식장소 및 야외테이블 제공 금지
테이블 간 1m 거리두기 또는 좌석/테이블 한 칸 띄우기 또는 테이블 간 칸막이 설치(시설면적 구분없이 모든 영업장 동일 적용)
 
▸2인 이상이 커피·음료류, 디저트류만을 주문했을 경우 매장 내 머무르는 시간을 1시간으로 제한(강력 권고)
(코인)노래연습장 22시~익일05시까지 운영제한
종사자등 주기적 검사 2주 1회
* 단, PCR 검사 ‘음성’ 확인자(2주 이내 음성확인서)만 종사
목욕장업 시설 면적 8㎡당 1명 인원 제한
▸22시~익일05시까지 운영제한
▸음식 섭취 금지(물·무알콜 음료는 허용)
종사자등 주기적 검사 2주 1회
한증시설(사우나 등), 수면실 이용금지
실내체육시설
(고강도유산소중심운동)
종사자등 주기적 검사 2주 1회
▸시설 면적 8㎡당 1명 인원 제한(체육도장, GX류 6㎡당 1명)
▸(수영장) 22시~익일 05시까지 운영제한, 샤워실 한 칸 띄우기
  (칸막이 있는 경우 제외)
▸(탁구) 시설 내 머무는 시간 최대 2시간 이내 복식 경기 및
  대회금지, 탁구대 간격 2m 유지 및 안내
(배드민턴, 테니스, 스쿼시 등) 시설 내 머무는 시간 최대 2시간 이내,
  샤워실 운영금지
▸(GX류 운동) 음악속도 100~120bpm 유지, 샤워실 운영금지
(체육도장) 상대방과 직접 접촉이 일어나는 운동(겨루기, 대련,    시합 등) 금지, 샤워실 운영금지
5명 이상 팀을 구성해야 하는 운동경기 종목의 경우
  경기인원의 1.5배 초과 금지

(예: 풋살의 경우 감독, 심판 등 모두 포함 15명(팀5명×2팀×1.5배) 이내)
방문판매 등을 위한
직접판매홍보관
▸22시~익일 05시까지 운영제한
시설 면적 8㎡당 1명 인원 제한
▸음식 섭취 및 제공 금지(물·무알콜 음료는 허용)
3
그룹
 
시설
학원 등 종사자등 주기적 검사 2주 1회
좌석 두 칸 띄우기 또는 시설면적 6㎡당 1명(좌석 없는 경우)
음식 섭취 금지(물·무알콜 음료는 허용)
(기숙형학원) 입소전 PCR검사결과 제출 등 관리 하에 운영가능(2~4단계)
영화관·공연장 ▸동행자 외 좌석 한 칸 띄우기
▸상영관, 공연장 내 음식 섭취 금지(물·무알콜 음료는 허용)
▸(정규공연시설) 회당 최대 관객 수는 5,000명 이내 제한
▸(정규공연시설 외 공연) 6㎡당 1명(최대 2,000명 이내)
독서실·스터디카페 좌석 한 칸 띄우기(칸막이 있는 경우 제외)
음식 섭취 금지(물·무알콜 음료는 허용, 별도 음식섭취 가능한 공간(푸드존 등) 에서만 섭취)
결혼식장 ▸웨딩홀별 4㎡당 1명(개별 결혼식당 50명 미만)
 * 3~4단계에서 식사 제공이 없는 결혼식의 경우99명까지
장례식장 ▸4㎡당 1명(빈소별 50명 미만)
실내체육시설
(비교적 중‧저강도 운동)
종사자등 주기적 검사 2주 1회
▸시설 면적 8㎡당 1명 인원 제한
▸샤워실 운영금지
음식 섭취 금지(물·무알콜 음료는 허용)
▸(피트니스) 러닝머신 속도 6km 이하 유지 및 안내
(무도학원) 무도행위 시 마스크 계속 착용
놀이공원 ▸수용인원의 50%
워터파크 ▸수용인원의 30%
오락실·멀티방 시설 면적 8㎡당 1명
음식 섭취 금지(물·무알콜 음료는 허용)
상점‧마트·백화점
(300㎡ 이상)
종사자등 주기적 검사 2주 1회
▸판촉용 시음‧시식금지, 마스크를 벗고 이용하는 견본품 제공금지
▸휴게공간 이용금지 ▸집객행사 금지 ▸출입자 발열체크
3~4단계 시 전자출입명부 및 안심콜 또는 수기출입명부 작성
- 대규모점포(3,000㎡이상) 의무, 300㎡이상 준대규모점포 및 종합소매업 권고
카지노
(외국인 카지노제외)
▸수용인원의 30%
PC방 종사자등 주기적 검사 2주 1회
▸좌석 한 칸 띄우기(칸막이 있는 경우 좌석 띄우기 없음)
음식 섭취 금지(좌석별 칸막이 있는 경우 제외)
기타
 
시설
스포츠경기(관람)장 실내 경기장 수용인원의 20%
실외 경기장 수용인원의 30%
▸함성·응원 금지
▸관람석 내 음식물 섭취 금지(물·무알콜 음료는 허용)
경륜장·경정장·경마장 수용인원의 20%
박물관·미술관‧과학관 시설 면적 6㎡당 1명의 50%
실외체육시설
(실외겨울스포츠시설포함)
경기에 필요한 필수 인원(3~4단계)
※ (팀별 5명 이상인)운동종목별 경기인원의 1.5배 초과금지
(예: 풋살의 경우 감독, 심판 등 모두 포함 15명(팀5명×2팀×1.5배) 이내)
▸시설 내 음식섭취 금지(물·무알콜 음료는 허용)
숙박시설 ▸객실 내 정원기준 초과 금지(사적모임 인원 기준 동시 적용)
  ※ 객실 내 ‘정원’은 최대정원을 기준으로 함
▸파티 등 행사 주최 금지
▸전 객실의 3/4 운영
파티룸(공간대여업) 시설 면적 8㎡당 1명
사적모임 인원 제한 준수 및 22시 이후 신규입실 제한
도서관 수용 인원의 50%
키즈카페 시설 면적 6㎡당 1명
돌잔치 ▸최대 16명까지 허용
전시회·박람회 시설 면적 6㎡당 1명
 * 사전예약제 운영, 부스 내 상주인력 PCR음성 확인 의무 및 부스별 2명 이내(3~4단계)
마사지업소·안마소 시설 면적 8㎡당 1명
이‧미용업 시설 면적 8㎡당 1명
국제회의·학술행사 좌석 두 칸 띄우기 또는 고정 좌석이 아닌 경우 좌석 간 2m 거리두기
※ 국제회의는 국제회의산업법 상 국제회의를 말함
종교시설 ▸정규예배·미사·법회·시일식 등 정규 종교 활동 시 전체 수용인원의 20%(좌석 네 칸 띄우기)
▸모임/행사·식사·숙박 금지 ※ 실외행사 50인 미만 가능
▸음식섭취 금지, 통성기도(큰소리 기도 등) 금지
※ 예방접종자 인센티브(인원산정 제외, 소모임 구성 등) 중단
고위험 콜센터 ▸전체 근로자에게 방역수칙 게시 및 안내
물류센터 ▸전체 근로자에게 방역수칙 게시 및 안내
③ 일상 및 사회경제적 활동
  마스크 착용
의무화
▸실내 전체 및 실외에서 다른 사람과 2m 이상 거리 유지가 되지 않는 경우 마스크 착용 의무화, 위반 시 과태료 부과
한 번 이상 코로나19 예방접종을 하고 14일 경과한 사람은 실외 활동 시
   마스크 착용 의무 예외 (단, 실외 공간이라 하더라도 집회·공연·행사 등
   다중이 밀집하는 경우, 개장중인 해수욕장, 도심공원(시민공원, 어린이대공원,     금강공원, 송상현광장, 중앙공원) 마스크 착용 의무)
교통시설 이용 ▸마스크 착용
▸교통수단(차량) 내 음식섭취 금지(물·무알콜 음료는 허용)
* 국제항공편 제외
학교(등교) ▸교육부(부산교육청) 방침 우선 적용
▸밀집도 1/3~2/3(고등학교 2/3) 이내 준수
시험 ▸수험생 간 1.5m 이상 간격 좌석배치, 대기자 공간마련, 시험관계자, 응시자 외 시험장 출입통제
* 기타 국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주관시험은 해당시험 방역수칙 준수
미인가 대안
교육시설
▸시민단체, 법인, 개인 등이 학생,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전일제 수업의 형태 또는 기숙형으로 운영하는 미인가 교육시설 * 학원 방역수칙 적용
종교시설에서 운영하며 학생,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보충형
  수업의 형태 또는 통학형으로 운영하는 미인가 교육시설
  * 종교시설 방역 수칙 적용, 교습·소모임 등 모든 대면활동 금지
직장근무  50인상 사업장(제조업 제외)시차 출퇴근제, 점심시간 시차제, 재택근무 20% 권고


출처 : 부산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부산시(시장 박형준)가 2021년 9월 1일부터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모든 출산가정에 산모·신생아를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이번 사업은 박형준 부산시장의 공약사항으로, 출산가정에 전문교육을 수료한 건강관리사를 파견해 산모의 산후 회복(영양·부종·체조 지원 등)과 신생아의 양육(아기목욕·수유 지원 등)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보건복지부의 '2018 산후조리 실태조사'에 따르면, 출산 후 6주 동안(산욕기) 본인 집에서 산후조리를 하는 경우는 70.2퍼센트(%)에 달했으며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16.0%)’은 ‘가사·육아도우미 지원(64.0%)’에 이어 두 번째로 필요한 정책으로 꼽힌 바 있습니다.

현행 정부 지원은 둘째 아이부터는 소득과 무관하게 지원되나 첫째 아이 출산가정의 경우,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에 대해서만 국가지원금이 지급됩니다.

 

이에 부산시는 현재 국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기준중위소득 150% 초과자 가운데 출산(예정)일 현재 부산시 6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산모에게도 건강관리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이렇게 되면 부산시의 모든 출산가정에는 소득 기준과 관계없이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업이 지원되며 이번 사업 대상자 확대로 부산지역 서비스 대상자는 한 해 8천여 명에서 1만600여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합니다.

 

구분 (현재) 국가 지원 + (확대) 부산시 자체 지원
지원대상 소득 기준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첫째아 출산가정
(둘째아부터 소득무관)
기준중위소득 150% 초과
첫째아 출산가정
거주 기준 - 출산(예정)일 현재 6개월 이상 부산시에 거주
서비스 기간 단축 5일, 표준 10일,
연장 15일
단축 5일, 표준 10일
정부지원금 460천~1,070천원 36만8천원~63만3천원
시행일 시행 중 2001년 9월 1일(수)

 
신청은 출산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주소지 관할 구·군 보건소나 온라인(복지로 홈페이지 http://www.bokjiro.go.kr/ )에서 신청하면 됩니다.

 

서비스는 단축형(5일) 기준 36만8천 원, 표준형(10일) 기준 63만3천 원이 지원되며, 기타 상세한 사항은 거주지 관할 보건소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부산시는 이번 사업이 산모의 산후 회복과 신생아 건강관리는 물론,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뿐만 아니라, 건강관리사 양성으로 사회적 일자리도 늘어날 것으로 내다 봤습니다.

특히, 시는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에 앞서 건강관리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제공인력 교육기관으로 12곳을 선정·운영하였으며, 교육과정에 아동학대 예방 교육을 포함하는 등 산모·신생아 방문 서비스 제공인력 전문교육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도시를 만드는 초석은 출산친화적 환경을 조성함과 동시에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저출생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극복하고, 내게 힘이 되는 행복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라고 말했습니다.

★ 부산광역시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교육기관 명단.연락처(전화번호)

1 봄소리교육센터 부산진구 거제대로 46, 102호 051-852-9535
2 참사랑어머니회 북부산지점 동래구 아시아드대로 197, 2층 051-505-6247
3 (사)부산돌봄사회서비스센터 연제구 거제천로 89, 6층 051-852-0540
4 반석센터 남구 용호로 222 051-621-1480

 

5 동구여성인력개발센터 동구 중앙대로 319, 3층 051-464-9882
6 사상여성인력개발센터 사상구 사상로 196, 5~6층 051-326-7600
7 다온교육원 수영구 수영로 765-1, 4층 051-645-5077
8 뉴,하이브레인 해운대구 해운대로469번가길 91, 3층 051-731-7001

 

9 사하여성인력개발센터 사하구 낙동대로 319, 3층 051-804-9982
10 엘림평생교육원 동구 중앙대로 312, 2층 051-463-2288
11 해운대여성인력개발센터 해운대구 해운대로 575, 6~8층 051-702-9199
12 (사)단미교육원 부산진구 새싹로 36 051-804-1366

※ 지정기간 : 2021년 2월 1일 ~ 2023년 1월 31일(2년간)



○ 부산광역시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인력 제공기관 명단.연락처 (2021년 7월 기준)

 

1  중구 주식회사 아이맘케어 051-928-8338
2  동구 엘림평생교육원 051-463-2288
3
굿맘스 051-1588-4854
4
닥터맘산모도우미 051-636-7222

 

5 부산진구 참사랑어머니회 서부산점 051-244-3577
6 봄소리 동부산점 051-852-9535
7 바우처 베스트맘 051-919-3710
8 조은맘산후도우미 부산지점 051-808-3554
9 엔젤스맘 진구점 051-818-2577
10 맘스웰 051-741-3375

 

11  동래구 해와달 출장산후조리 051-645-5033
12 참사랑어머니회 북부산지점 051-505-6247
13 이레아이맘 051-553-2243

 

14  남구 반석센터 051-621-1480
15 새로미 아이돌봄 051-635-3579
16 마미맘 출장산후도우미 051-623-1241
17
아가맘스마일케어 남부산지점 051-612-3071

 

18  북구 엔젤스맘 051-343-2293
19 다온 북부점 051-752-5077

 

20 해운대구 봄소리 본점 051-747-9535
21 아가맘스마일케어 051-702-3070
22 마이홈 산모도우미 051-545-3575
23 맘스웰동부점 051-852-3375
24 (부산)베스트맘 051-727-3712

 

 

25 해운대구 마담스완 051-747-1583
26 아가조아 051-711-2717
27
사하구 봄소리 서부산점 051-206-9535
28
부산돌봄가사간병(아가마지서부산점) 051-201-3543
29 다온 서부점 051-645-5097
30 금줄 베이비시터코리아 서부산점 051-207-8810
31 이레아이맘 산후도우미 서부산점 051-201-2243
32 금정구 산모도우미119(부산점) 051-805-3519

 

33 강서구 산모도우미119(서부산점) 051-292-3639
34 명지 엔젤스맘 010-7504-2347
35 맘스웰 서부산지사 051-208-3375
36 연제구 아가마지부산지사 051-851-3544
37 아가누리 051-852-2388
38 드림가 010-5880-1363

 

39 수영구 금줄베이비시터코리아 051-621-8810
40 다온 051-645-5077
41
참사랑어머니회동부산지점 051-925-8355
42 친정맘 산후도우미 051-507-0607
43 사상구 맘스매니저 (휴업중) 051-323-7325
44 온정 산모도우미 051-312-6213

 

45 기장군 행복한 부산맘 051-724-7052
46 엄마랑아가랑센터 051-721-5655
47 다온 동부점 051-751-5077
48 아가누리동부산점 051-723-3323


출처 : 부산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지난 10여 년 간 사업 추진이 지지부진하다가 공원 실효 위기상황까지 처한 '영종도 오성산'에 그간 지역주민들이 바라왔던 대규모 근린공원이 조성됩니다.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영종도 오성산 지역에 공원을 조성하기 위하여 신청한 ‘오성근린공원 조성사업 실시계획’을 2021년 8월 17일자로 승인·고시했다고 밝혔습니다.

 

인천시청 홈페이지 https://www.incheon.go.kr/

 

이번 실시계획 승인에 따라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중구 덕교동 산37-4번지 일원 816,015평방미터(㎡)를 2025년까지 근린공원으로 조성할 계획입니다.

 

공원에는 산책로, 초화원, 초지원, 습지원, 호수, 어린이 놀이시설, 야영시설(캠핑장), 체험텃밭을 비롯해 야구장, 다목적구장 등이 들어설 예정입니다.

주차장, 화장실, 음수장 등 부대시설도 설치됩니다.

 

오성산은 지난 2001년 8월 27일 88만㎡의 면적이 공원으로 지정되었습니다.

 

하지만, 인천국제공항이 건설되면서 이착륙 항공기의 시야 확보와 안전을 위해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산 정상부터 절개작업이 이뤄져 당초 해발 172미터(m)였던 산이 현재는 해발 52m 이하만 남은 상태입니다.

 

인천시는 공항 건설이 완료되면 잘라낸 지역을 공원으로 복원하는 조건으로 공원지역에 대한 점용허가 및 토석채취허가를 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2009년부터 인천국제공항공사와 공원조성계획을 협의해 왔으며, 자동차 경주장, 경마장 설치 등 여러 시설 조성방안이 논의되다가 중단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습니다.

 

그러던 중, 지난해(2020년) 8월, 오성공원의 실효를 1년 남짓 남겨둔 상황에서 공원조성계획을 마무리했고,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실시계획인가 준비가 시작되었습니다.

 

공항공사는 올해 8월 26일까지 오성공원의 실시계획인가를 받지 못하면 공원이 실효되는 만큼 서둘러 환경영향평가 등 사전 행정절차를 진행했고, 관련 절차를 모두 마친 후 지난 6월 25일 시에 실시계획인가를 신청하였습니다.

 

인천시도 제출된 실시계획에 대해 조속한 관계기관 협의 등을 거쳐 이날 실시계획인가를 고시함으로써 오성공원의 실효를 해소하였습니다.

 

향후 인천시는 인천국제공항공사와 협력해 사업을 적극 추진하는 한편, 지역주민들에게 보다 많은 수혜를 제공하고 주민·공항공사·인천시가 상생할 수 있도록 사업계획을 변경하는 방안도 검토할 계획입니다.

 

유광조 시 공원조성과장은 “오성산이 절개되면서 인근 주민들에게 많은 환경적 피해를 끼쳤던 만큼 오성공원이 지역주민들에게 휴식과 여가공간을 제공하는 기능에 더해 지역 관광자원으로서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기반시설(인프라)이 되기를 기대한다”면서, “그동안 공원 실효 방지를 최우선으로 사업을 추진했지만, 실시계획 승인이 난 만큼 이제는 사업이 원활히 추진되고, 더 나은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공항공사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 오성산 전경 항공사진

○ 오성근린공원 조감도

출처 : 인천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2021년 8월 17일, 부.울.경 메가시티 ‘광역교통망’ 구축을 위한 핵심사업인 '부산 양산 울산 광역철도'가 국토교통부의 비수도권 광역철도 선도사업에 선정되었다고 밝혔습니다.

 

부산시청 홈페이지 http://www.busan.go.kr/


비수도권 광역철도 선도사업은 지난 2021년 7월, 국토부가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반영한 11개의 노선 중 국가균형발전,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및 기존 사업과의 연계성이 우수한 노선을 선정해 우선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부산시는 부산 양산 울산 광역철도가 선도사업에 선정됨으로써 사전·예비타당성조사 등의 행정절차를 국가 주도로 추진하게 되어, 사업의 조기 착수가 가능하고 부울경 메가시티 구축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부산 양산 울산 광역철도는 부산·울산·경남을 하나의 생활·경제권으로 묶는 부울경 메가시티 ‘광역교통망’ 구축의 핵심적인 사업입니다.

 

부산 노포에서 양산 웅상, 울산 무거 및 KTX울산역을 잇는 총연장 50킬로미터(km), 25개 정거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업비는 1조 631억원이 투입됩니다.

사업이 완공되면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반영된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와 현재 공사 중인 도시철도 양산선과 연계된 순환철도망이 형성됩니다.

 

부산 울산 간 통행 시간이 기존 72분에서 60분으로 단축되어, 부·울·경을 1시간 생활권으로 묶을 수 있는 실질적인 광역교통망이 구축될 전망입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사업의 시급성과 필요성에 대해 국토부를 지속 설득하여 부산 양산 울산 광역철도가 이번 선도사업에 선정되는 쾌거를 이루었다”며 “사업이 본궤도에 오를 수 있도록 울산, 경남과 긴밀히 협업하는 등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한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하였습니다.

 

또한, “특별지방자치단체 설치 등 부울경 메가시티 구축을 위한 관련 사업들도 차질없이 추진해 부울경이 수도권에 대응하는 남부권의 새로운 성장축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하였습니다.

한편, 행정안전부 등 중앙정부 차원에서도 권역별 특성을 반영한 초광역 협력사업 지원 등을 위하여 '메가시티 지원 범부처 TF(태스크포스)*」에 지역 맞춤형 지원반을 신설(8.12.)하였고, 앞으로 부울경 메가시티 관련 주요 정책 및 협력사업 등이 해당 지원반에서 논의되고 구체화 될 전망이다.
  * 분권위원회‧균형위원회 주관. 기획재정부, 행정안전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 참여

○ 노선도


출처 : 부산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지역 내 코로나19 감염병 확진자 급증에 따라 지난 2021년 8월 8일, 사회적 거리두기를 최고 단계인 4단계로 격상하였습니다.

부산시청 홈페이지 http://www.busan.go.kr/

이에 따라, 해수욕장 발 지역감염을 차단하고 외부 관광객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2021년 8월 10일(화) 0시부터 8월 22일(일) 24시까지 관내 7개 해수욕장(다대포, 송도, 광안리, 해운대, 송정, 일광, 임랑)을 모두 일시폐장한다고 밝혔습니다.

 

단, 수상안전요원과 방역단속원은 계속 운영하여 안전과 방역을 철저히 할 계획입니다.

해수욕장 일시폐장에 따라 시와 구·군에서는 파라솔 등 피서용품 대여소, 샤워탈의장 등 물놀이 편의시설은 모두 운영을 중단합니다.

반면, 소방‧민간수상구조대‧여름경찰 등 수상안전관리는 당초 계획대로 운영합니다.

시와 구‧군은 지속적인 방역 관리를 위하여 마스크 상시착용과 야간 음주취식 제한은 그대로 유지하되, 해수욕장 내 사적모임을 18시(오후 6시) 이전에는 4인, 18시 이후에는 2인까지만 허용한다고 밝혔습니다.

박형준 시장은 “부산은 현재 코로나19 방역의 중대한 위기를 맞이하고 있으며, 델타바이러스 확산과 휴가철 풍선효과의 철저한 차단이 불가피해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격상과 동시에 해수욕장을 일시폐장하게 되었다”라며, “시민 여러분들과 관광객께서도 불편하시겠지만 해수욕장 일시폐장에 적극 협조해주시고 방역수칙 또한 철저히 준수해 주시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습니다.

출처 : 부산광역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