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산도서관은 지난해(2024년) 수집한 부산학 중요 기록 538건을 '부산의 기억 누리집(부산학 전자 자료 저장고(디지털 아카이브시스템))'에서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부산의 기억'은 부산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중요기록과 생활문화사 관련 기록을 보존하고 공유하는 가상 자료관(공간; 플랫폼)입니다.
현재 낙동문화원을 포함한 43개 기관과 개인의 기록자료 총 3천360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제공하는 부산학 중요기록은 간행물 204건, 지도 2건, 사진 323건, 영상 9건, 총 538건입니다.
 
고(故)홍영철 한국영화자료연구원장이 기증한 부산 관련 영화 사진, 박락호 만덕1동 주민자치회 부회장이 기증한 (부산)북구 사진, 주영택 가마골역사연구원장이 기증한 지도, 마을과 주민의 역사와 생활사에 관한 구술기록, 부산 관련 전시도록과 연구총서, 부산의 지역.생활사 및 해양에 관한 연구보고서와 학술지, 지역별 문화 소식지와 향토문화지 등이 있습니다.

특히, 2024년부터 기존 기관 중심의 자료 수집에서 민간 소장 기록으로 수집 대상을 확대한 결과,
보존, 활용 가치가 높은 사진을 다수 확보하여 온라인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박락호 만덕1동 주민자치회 부회장이 기증한 사진의 경우 1970~80년대 북구의 옛 모습과 새마을운동, 1981년 북구 만덕동 새마을지도자협의회관 건립 관련, 1981년 북구 만덕동 새마을협동유아원 건립 과정, 1970~80년대 북구 새마을운동 관련 행사 모습을 담고 있어, 당시 (부산)북구의 새마을운동 모습을 생생하게 확인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습니다.

아울러, 일반 시민의 접근이 어려운 부산도서관 소장 귀중 자료를 선별,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지역문화를 더욱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부산의 향토사학자 주영택 원장이 기증하여 부산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부산.동래.김해 향토지(釜山.東萊.金海 鄕土誌)'는 부산과 김해 지역의 관광 안내를 위해서 일본인이 제작한 지도로, 100여 년 전 부산을 대하는 일본인의 시각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이 지도의 앞면에는 부산.동래.김해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설명과 각 지역에 산재한 자연관광지 및 역사유적에 대한 소개를 담고 있으며, 뒷면에는 부산.동래.김해 지역의 지도를 수록하고 있어 세 지역의 향토 관련 내용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사료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해당 자료는 '부산의 기억' 공식 누리집(https://library.busan.go.kr/archive/index.do)에서 자유롭게 열람할 수 있습니다.
 
부산학 중요기록 목록과 원문 파일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전자책(e-book) 형태로도 제공하여 이용자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 참고 : 공식 누리집 첫 화면 갈무리



박은아 부산도서관장은 “'부산의 기억'이 부산시민과 지역사회와의 소통을 위한 주요 매체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부산학 중요기록을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체계적으로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며, “부산의 중요한 역사자료를 축적하고, 지역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함으로써 부산학 특화도서관으로서 '부산도서관'의 위상을 확립해 나가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부산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2025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아기를 둔 부산 시민을 대상으로 '부산형 산후조리 경비 지원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부산시에 거주하는 출산 가구의 경제 부담을 덜어주고자, 소득과 무관하게 산후조리 관련 비용을 지원합니다.

출생아 당 최대 100만 원의 현금을 지원하며, 쌍둥이(쌍생아)를 낳은 가구는 최대 200만 원, 삼태아 이상 출산 가구는 최대 30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금은 건강관리사가 직접 가정에 방문해서 산후조리를 도와주는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편의(서비스), '산후조리원' 이용, 산모 본인의 '병.의원 진료'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본인부담금, 산후조리원비, 산후 회복을 위한 병.의원 진료비(한약조제비 포함)까지 지원합니다.

★ 부산형 산후조리 경비 지원 세부 사용처
 ①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서비스 : 지원금 최대 100퍼센트(%) 사용가능
 ② 산후조리원 : 지원금 최대 50퍼센트(%) 사용가능
 ③ 산후조리 관련 질병 치료, 체형관리, 재활 등 목적의 진료 : 지원금 최대 100퍼센트(%) 사용가능 
    - 산후조리 관련 한방 진료(한약 조제비 포함) 

지원 대상은 올해(2025년) 1월 1일 이후 출생해서 부산시에 출생신고를 마친 아이로, 출산일 및 지원 신청일 기준 출생아와 부 또는 모가 부산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으면 소득기준 없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은 2025년 2월 10일부터 정부24 누리집(https://www.gov.kr/yearend_main.html) 출산관련 서비스 통합처리 신청에서 온라인으로, 또는 출생신고한 보건소를 방문하여 산후조리경비 영수증을 제출하면 됩니다.

신청방법과 자격요건에 대한 문의 사항은 출생신고한 관할 보건소로 연락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시는 산후조리와 관련한 폭 넓고 다양한 지원을 통하여 산모와 아기의 건강하고 빠른 회복을 돕고, 경제적 부담 없이 아이를 키울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출산율 증가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와 함께, 시는 저출생 극복을 위하여 올해(2025년) 임신.출산 지원사업도 확대합니다.

임신사전 건강관리를 위하여 20~49세 남녀 가임력 검사비를 생애 주기별 최대 3회(회당 여성 13만 원, 남성 5만 원) 지원합니다.

난임부부 지원 확대를 위하여 난임 시술비를 출산당 최대 25회 지원하고, 공난포 등 난임 시술 실패 시, 시술비를 지원해 난임에 대한 불안감을 사전에 해소하고, 아이를 낳고 싶어 하는 부부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이어갈 예정입니다.

이소라 시 시민건강국장은 “부산형 산후조리경비 지원은 임신과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 산모의 빠른 회복과 신생아의 양육을 지원하기 위한 사업인 만큼, 많은 출산가정에서 적극적으로 신청해 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부산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강화군(군수 박용철)이 2025년 장학관(대학생 기숙사) 입사생 296명을 모집한다고 밝혔습니다.
 
군은 2024년 12월 26일 '강화군 장학관 운영위원회'를 개최하고, 입사생 선발 계획을 확정하였습니다.
 
이번 입사생 모집 인원은 4개 장학관 총 296명입니다.
제1장학관(서울 영등포구) 70명, 제2장학관(서울 중구) 58명, 제3장학관(서울 동대문구) 115명, 제4장학관(인천 연수구) 53명입니다.
 
2025년도에는 재학생, 수시합격자, 정시합격(예정)자 순으로 입사생을 선발하고, 1인 1실로 만족도를 높일 계획입니다.
 
접수기간과 선발일을 살펴보면,
재학생은 오는 1월 6일까지 신청을 받고 1월 13일 선발,
수시합격자는 1월 15일부터 22일까지 신청받고 1월 31일에 선발, 
정시합격(예정)자는 1월 31일부터 2월 7일까지 신청받고 2월 12일에 선발할 예정입니다.

★ 첨부파일 : 장학관 모집공고 및 신청서 등 HWP양식

2025년 강화군 장학관 입사생 선발공고.hwp
0.06MB


입사생 추첨은 모집 인원 초과 시 전자 추첨으로 진행하며,
탈락자는 예비 입사 후보자로 관리하여, 중도 퇴사자 발생 시 추가 입사할 수 있도록 할 방침입니다.
 
입사 자격요건은 수도권 소재 대학(원) 입사생 및 재학생으로, 공고일(2024년 12월 30일; 강화군 공고 제2024 - 2013호) 현재 부 또는 모가 강화군에 2년 이상 계속해서 주민등록을 하고 있어야 합니다.

2025년 입사생 선발부터 기존의 관내 중학교.고등학교 졸업요건을 삭제하며, 입사요건을 완화하였습니다.

○ 입사(재사) 기간은 해당연도(올해는 2025년) 입사일부터 다음연도(올해는 2026년) 1월 31일까지 이며, 장학관 사정상 조정할 수 있습니다.

○ 입사생 사용료(부담금) 및 입사생 수칙 등 안내
 사용료 : 월 10만원 (분기별 납부)
 개관시간 : 05:30 ~ 24:30 (개관시간 이외의 시간에 외부출입 금지)
 휴관기간
  - 설 및 추석연휴 기간 
  - 장학관 시설의 보수 및 유지에 소요되는 기간
  - 방학기간 중 청소 및 시설점검 기간(여름방학 8월 중, 겨울방학 2월 중)
 식사 미제공, 호실 내부에서 취사도구 사용 금지
 전열기, 휴대용 조리기구, 그 밖에 발열이나 화재 우려가 있는 품목 반입 금지

○ 관련 문의 사항 : 강화군청 자치교육과 교육지원팀(전화번호 032-930-3328,3329)
 
※ 참고 사진 : 장학관 개인실 내부 모습


박용철 강화군수는 “강화군은 강화의 미래 학생들이 주거 걱정 없이 학업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로는 최대 규모인 4개의 장학관을 운영하며, 학생들의 복지를 적극지원하고 있다.”며, “또한,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성공운영, 해외어학연수기회 확대 등 청소년들의 교육 환경개선과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인천광역시 강화군

 

반응형
반응형

인천광역시는 2024년 9월 11일 오후 5시부터 캠프마켓 잔디운동장과 오늘&내일 인포센터 일원에서 '2024 캠프마켓 반환 기념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행사는 캠프마켓 전 구역이 인천시민의 품으로 완전 반환된 것을 기념하고 시민들과 함께 그 의미를 나누기 위하여 마련하였으며, 제74회 인천상륙작전 기념주간 행사와 연계하여 진행합니다.

'캠프마켓(Camp Market)'은 지난 80여 년간 군사시설로 사용하여, 일반 시민들이 접근할 수 없던 곳입니다.

2019년 12월 11일에 A, B구역이 먼저 반환된 후, 2023년 12월 20일 D구역이 최종 반환됨으로써 전 구역이 대한민국(국방부)으로 반환되었습니다.
이번 반환은 단순한 토지 반환을 넘어, 인천시의 역사와 미래를 잇는 중요한 전환점으로 보고 있습니다. 

캠프마켓은 도심 속 녹색 휴양(힐링) 공간으로 조성할 예정이며, 인천시는 시민들이 자연과 문화를 즐길 수 있는 새로운 여가 공간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행사는 인천시립 소년소녀 합창단의 공연으로 시작합니다.

이어 캠프마켓 반환 경과보고와 공원 조성 방향에 대한 시민 설명회가 열려, 캠프마켓의 변화와 미래에 대한 계획을 공유할 예정입니다.

캠프마켓 완전 반환을 기념하는 의식(퍼포먼스)을 진행한 후,
대북공연, 가수 조은세.김수찬의 축하공연이 이어집니다.

행사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캠프마켓 누리집(https://www.incheon.go.kr/campmarket/)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철 시 도시계획국장은 “캠프마켓은 인천시민의 자부심이 될 명품 녹색 힐링공원으로 조성될 예정이고, 인천시는 이곳을 자연과 문화가 어우러지는 공간으로 만들어, 시민들이 일상 속에서 힐링할 수 있는 장소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이번 기념행사를 통해 캠프마켓 반환의 의미를 되새기고, 앞으로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인천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인천 강화군에서는 2024년 여름휴가.방학철을 맞이하여 관내 대표 여름 휴양지인 '동막해변'과 '민머루해변'을 7월 1일 정식 개장해 8월 31일까지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세계 5대 갯벌에 속하는 동막해변과 민머루해변은 갯벌.낙조를 한곳에서 볼 수 있는 곳으로, 지난해(2023년)에는 개장 기간동안 총 29만여 명의 피서객이 방문한 바 있습니다.
 
동막해변은 600미터(m)의 백사장이 울창한 소나무 방풍림으로 둘러싸여 있어, 시원한 그늘에서 서해의 다양한 풍광을 즐길 수 있기에 가족 단위 관광객이 많이 찾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갯벌 규모는 1천8백만 평으로, 물이 빠지면 직선 4킬로미터(km)까지 갯벌로 변해, 밀물일 때는 해수욕을 즐길 수 있고 썰물일 때는 갯벌 체험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동막해변 인근 '분오리 돈대'는 넓은 갯벌을 한눈에 담을 수 있는 명소입니다.


 
민머루해변은 아름다운 낙조의 섬 석모도에 위치한 400미터 백사장의 해변으로, 자유로운 야영과 조용한 쉼을 원하는 여행객에게 안성맞춤입니다.

물이 빠지면 맨발로 갯벌에 들어가 부드러운 흙의 감촉을 느낄 수 있고, 낙조가 아름다워 작년 개장 기간에는 8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하였습니다.

 

한편, 군은 올해에도 많은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하여 관내 경찰서와 소방서, 강화시설관리공단 등 관계기관과 협력 체계를 구축해 해변 상시 순찰, 수상 안전요원 및 119 수상구조대 배치, 종합상황실 운영 등 관광객들의 안전에 총력을 기울일 예정입니다.
 
군 관계자는 “방문객이 안전하고 즐겁게 해변을 이용할 수 있도록 안전 체계를 강화하고 불편 사항을 해소하는 데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인천광역시 강화군

반응형
반응형

인천광역시는 2024년 6월 22일부터 관내 해수욕장 11개소, 해변 18개소 등 총 29개소를 순차 개장한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인천의 해수욕장은 6월 22일부터 9월 8일까지 운영할 예정입니다.

6월 22일 중구 왕산.을왕리.하나개 해수욕장을 시작으로, 7월 5일부터 옹진군 장경리, 십리포 해수욕장 등을 순차 개장합니다.
 ※ 개장일정은 지자체 협의 결과에 따라 조정.변경 가능  

◎ 지정 해수욕장 명단(현황)

연번 해수욕장 위치(주소)
총계 인천시 11개소
소계 옹진군 8개소
1 옹암 북도면 장봉리 154-3번지 일대
2 서포리 덕적면 서포리
3 십리포 영흥면 내리 729-127번지 일대
4 장경리 영흥면 내리 1675-1번지 일대
5 수기 북도면 시도리 46번지 일대
6 떼뿌루 덕적면 소야리
7 장골 자월면 자월리 1089-1번지 일대
8 이일레 자월면 승봉리 산135-1번지 일대
소계 중구 3개소
1 왕산 을왕동 810-92번지 일대
2 을왕리 을왕동 717-12번지 일대
3 하나개 무의동 산189번지 일대


◎ 해변 명단

연번 해변 위치(주소)
총계 인천시 18개소
소계 강화군 2개소
1 동막 화도면 동막리 7번지 일대
2 민머루 삼산면 매음리 산367번지 일대
소계 옹진군 15개소
1 진촌 북도면 장봉리 730번지 일대
2 한들 북도면 장봉리 200-4번지 일대
3 구리동 연평면 연평리 906-1번지 일대
4 사곶 백령면 진촌3457-1번지 일대
5 모래울 대청면 대청리 산280번지 일대
6 지두리 대청면 대청리 산269-3번지 일대
7 소청예동 대청면 소청리 산147번지 일대
8 한월리 덕적면 문갑리
9 굴업 덕적면 굴업리
10 밧지름 덕적면 진리
11 큰말 자월면 자월리 1116-21번지 일대
12 작은풀안 자월면 이작1241번지 일대
13 큰풀안 자월면 이작1리 산232번지 일대
14 계남 자월면 이작1리 산166번지 일대
15 벌안 자월면 이작2231-7번지 일대
소계 중구 1개소
1 실미 무의동 768번지 일대


인천의 해수욕장은 수도권에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어으며, 지난해(2023년) 95만여 명이 찾은 데 이어, 올해도 많은 사람들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에 인천시와 옹진군, 중구는 관내 해수욕장 및 해변 29개소에 대해 개장 전 이용객 안전을 위해 백사장, 편의시설, 안전시설, 환경시설, 지원시설 등 해수욕장 시설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으며, 개장 후에도 지속적으로 점검 및 관리할 예정입니다.

또한, 해수욕장 이용객의 안전을 위하여 각 군.자치구에서는 공무원 및 수상안전 관리요원을 투입하고, 해경, 소방서, 경찰 등과 협력해 이용객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할 계획입니다. 

김을수 시 해양항공국장은 “올여름 무더위로 많은 이용객이 인천의 해수욕장을 찾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해수욕장을 찾는 이용객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유관기관과 적극 협력하여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인천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인천광역시는 2024년 5월 7일부터 인천시 지도포털 공식 누리집(http://imap.incheon.go.kr/)을 통하여 인천 관내 8개 자치구와 강화군, 옹진군 남단의 최신 고품질 항공사진을 시민에게 일반 공개한다고 밝혔습니다. 

올해 제공하는 인천시 항공사진은 지난해(2023년) 2월부터 9월까지 촬영한 것으로, 시민들은 ‘인천시 지도포털’에서 최신 항공사진과 결합한 각종 부동산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토지이용과 건축물 현황 확인 등에 들어가는 비용과 시간이 크게 줄 것으로 기대합니다.

인천시는 1985년부터 매년 구축.보유하고 있는 최신 항공사진 자료를 시민에게 공개하여, 재산관리 및 각종 지형.지물관련 정보를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국토지리정보원과 협약하여 '국토정보 플랫폼 누리집(http://map.ngii.go.kr/) 내 항공사진 받기'를 통하여 인천시 항공사진 온라인 무료 발급(서비스)도 시행하고 있습니다.


석진규 시 토지정보과장은 “시민들이 최신의 항공사진을 통해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인천의 모습을 직접 체감하고 생활이나 재산관리 등 여러 분야에 활용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꾸준히 고품질 항공사진 및 다양한 공간정보를 구축해 시민께 제공해, 시민이 편리한 인천광역시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인천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인천광역시가 2024년 4월 17일, 서구 가좌동에 위치한 대한민국 제1호 액화수소충전소 준공식을 열고 액화수소 충전 시대 개막을 알렸습니다.

이날 행사는 임상준 환경부 차관, 박덕수 인천시 행정부시장, 추형욱 SK E&S 대표이사, 정유석 현대자동차 부사장, 강정구 천연가스 수소충전소협회 회장 그리고 안광헌 세운산업 대표를 비롯한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하였습니다.

'인천 가좌 액화수소 자동차 충전소'는 지난 2022년 환경부 수소충전소 보급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시간당 120킬로그램(㎏)의 수소를 충전할 수 있는 시설로, 하루 최대 120대의 수소버스를 충전할 수 있는 규모입니다.

액화수소 충전소의 충전속도는 1분에 2kg으로, 1분에 1㎏을 충전하는 기체 수소충전소에 비하여 빠르고 많은 양의 수소를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주소 : 인천 서구 보도진로30번길 26

 

◎ 전국 수소충전소 위치 찾기 → 무공해차 통합 누리집 https://www.ev.or.kr/


또한 기체수소충전소의 경우, 수도권 지역은 충남 서산, 경기도 평택 등에서 생산한 수소를 공급받는 반면, 액화수소충전소는 인천시 관내인 서구 원창동 액화수소 플랜트에서 생산한 수소를 공급받을 수 있어서, 수소 수급도 안정적입니다.


게다가, 이달 중 남동구 남동농협 수소충전소, 서구 수도권 매립지 수소충전소가 연달아 문을 열어 수소버스 전환을 더욱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한편, 인천시는 그 동안 탄소중립 미래 수소도시를 선도하기 위한 수소대중교통 체계 구축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2020년 순환(셔틀)버스용 수소버스 7대를 처음 도입한 것을 시작으로, 2021년 수소시내버스 8대를 보급하는 등 현재까지 126대의 수소버스를 보급한 바 있습니다.

박덕수 행정부시장은 “대한민국 제1호 액화수소충전소 준공으로 액화수소 충전 시대를 개막하며, 수소대중교통 선도도시로서 인천시가 시민 여러분께 더욱 깨끗하고 쾌적한 교통 환경 제공과 지속적인 수소산업 육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인천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부산의 대표 관광명소인 스카이워크 '청사포 다릿돌 전망대' 확장과 달맞이길 해월정 아래 새로 조성하는 '해월전망대'를 2024년 6월에 준공합니다.

해운대구(구청장 김성수)는 2021년 '해운대 ~ 송정해수욕장 간 연안 정비사업'에 착수하여, 공사비 207억여 원을 들여 1차.2차 공사를 완료한 데 이어, 최종 3차 공사 준공을 앞두고 있습니다.

청사포 다릿돌 전망대는 기존 '일자형'에서 유(U)자형으로 확장하고, 길이 137미터, 폭 3미터 규모의 '해월전망대'를 신설합니다.

★ 다릿돌 전망대 조감도


당초 지난해(2023년) 말 상부 구조물을 설치하고 올해 3월부터 시민에게 개방할 계획이었으나, 해상 공사는 너울, 파도 등 기상 영향이 큰 관계로 공사 추진에 어려움이 많아 일정이 늦어졌습니다.

특히, 해월전망대의 경우 전망대와 해안산책로를 연결하기 위하여 지난해 해안산책로 널판(데크) 일부를 철거했고, 안전을 위해 산책로 일부를 차단하였습니다.

지난해 여름 유독 길었던 장마와 태풍의 영향으로, 공사 계획을 여러 차례 변경하여 해안산책로 차단 기간이 늘어났습니다.
 
이에 따른 시민들의 불편함을 조금이나마 해소하기 위하여 임시통로를 만들었으나, 열차 충돌 등 안전상의 이유로 임시통로를 폐쇄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현재는 우회로 입구부터 차단하던 것을 공사 현장 앞까지 이용할 수 있도록 변경한 상태입니다.

☆ 해월 전망대 조감도


구는 4월 중에 상부 구조물을 설치하여 준공 전이라도 해안산책로 구간을 개통해 민원을 해소할 방침입니다.

김성수 구청장은 “새로운 관광명소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으며, 주민들께서 불편하시더라도 조금만 더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반응형
반응형

부산 남구청에서는 2024년 4월 1일부터 별도의 공지가 있을 때 까지, 남구민이 소장한 비디오테이프를 디지털로 바꾸어주는 사업을 아래와 같이 진행합니다.

○ 신청기간 : 2024년 4월 1일부터 ~ 계속

○ 지원(접수) 대상 : 부산 남구 주민

○ 사업 내용
 결혼식, 돌잔치, 환갑잔치 등 주민들의 추억이 담긴 오래된 비디오테이프.사진.CD 등을 디지털 파일로 변환하는 편의(서비스) 제공

○ 이용(서비스) 비용 : 1만원 (비디오테이프 5,000원(개당) + USB 비용 5,000원)
 ※ CD 5장 : 5,000원 / 사진 20장 : 5,000원
 ※ 단, USB 개별 준비 및 이메일 수신 시 USB 비용 면제

○ 신청방법 : 방문접수만 가능 (우편 접수 불가)

○ 접수처 : 남구청 문화예술과, 남구문화원, 대동골문화센터

○ 주최 / 주관 : 부산광역시 남구, 남구문화원

○ 관련 문의 전화번호 : 051-607-3380

● 유의사항
 1인 기준 최대 비디오테이프 2개, CD 5장, 사진 20장 한정
 신청접수가 몰릴 경우 변환기간이 3주 이상 소요될 수 있음
 신청 매체에 재생불능 등 문제(오류)가 있는 경우 변환 불가
 보관상태 등의 이유로 변환 중 테이프 끊어짐이 발생할 수 있음
 저작권이 있거나, 폭력 및 음란물 등 사회통념상 부합하지 않는 영상물 제외


출처 : 부산광역시 남구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