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춘천시 평생학습관(관장 손덕종; 퇴계동 소재)은 2023년 4월 26일부터 7월 26일까지 '춘천시민 약초학교'를 운영합니다.
수업은 매주 수요일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12시 30분까지, 14회차 과정으로 진행합니다.


춘천시 평생학습관 홈페이지 http://clc. chuncheon. go.kr/

춘천시민 약초학교는 몸에 좋은 다양한 약초의 효능과 안전한 활용 방법을 이론과 현장 체험을 통하여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한 것입니다. 

교육 대상은 '약초'에 관심이 있는 춘천시민 30명이며, 4월 11일부터 19일까지 평생학습관 홈페이지를 통해 선착순으로 모집합니다.
수강료는 1인당 4만 5천 원입니다.

주목할 점은, 본 교육을 50시간 이상 받은 교육이수자에게는 '약초관리사 민간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기회도 주어진다는 것입니다.

지난해(2022년)의 경우 이수자 24명 중 약 70퍼센트(%)인 17명이 약초관리사 민간자격증을 취득한 바 있습니다.

시 관계자는 “약초학교를 통해 시민들이 다양한 약초 지식 및 활용 방법 숙지했으면 한다”라며 “특히 자격증 취득이나 귀농·귀촌을 위한 약초 재배 및 관리 기술 습득으로 이어질 것을 기대한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강원도 춘천시

반응형
반응형

경기도가 지난해(2020년)에 이어 올해도 전국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해 도 온라인평생학습서비스 지식(GSEEK) 콘텐츠를 원격 수업자료로 무상 제공합니다.

 
지식(GSEEK)은 도와 31개 시·군이 함께 운영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평생학습서비스로, 지난해 11월 회원 수 1백만 명을 넘었습니다.

 

현재 1,400여 개의 온라인 강좌를 운영 중이며 회원가입 없이 누구나 무료로 학습할 수 있습니다.

 

올해 제공하는 원격수업 온라인교육 콘텐츠는 청소년 진로·직업분야를 비롯해 IT(정보통신기술), 외국어, 생활취미, 인문교양, 자기개발 등으로 총 432개 과정입니다. 지난해 310개 과정보다 122개가 추가되었습니다.


신규 과정은 10대를 위한 혼공법(혼자서 공부하는 방법), 청소년 스트레스 탈출법, 청소년 대인관계 기술(친구, 가족 편),  나의 길을 찾아서.진로설계, AI시대.미래산업 기술 기본다지기, K-방역을 통해 본 의료산업의 미래, 청소년 노동인권 대처방안, 교실 속 혐오문화와 거리두기 등입니다.

 

지난해 교사와 청소년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수요조사에서 제시된 과정들을 대거 포함하였습니다.

 

초·중·고등학교 교사라면 지역에 관계없이 누구나 간단한 신청 절차를 통해 지식(GSEEK)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지식 누리집(www.gseek.kr/)에 접속해 첫 화면 상단에 있는 ‘원격수업 콘텐츠 신청’ 배너를 클릭한 후 신청서만 작성하면 됩니다.


박준호 도 평생교육과장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코로나19로 인해 등교-원격수업이 병행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새로 추가된 온라인교육 콘텐츠가 일선 교사들의 원격수업에 많은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지난해에는 전국 17개 시‧도 612개 학교 약 22만 명의 학생들이 지식(GSEEK) 콘텐츠를 이용했습니다.

 

지난해 가장 인기가 높았던 콘텐츠는 ‘진로탐색’ 강좌로 연간 콘텐츠 조회 수 약 70만 건을 달성하였습니다.

 

이 밖에 코로나19로 현장수업이 어려운 생활체육, 미술, 음악 등의 예체능분야 콘텐츠가 인기가 높았습니다.

출처 : 경기도

반응형
반응형

경기도가 원격수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위해 원격수업 프로그램과 디지털기기 활용에 필요한 교육을 지원합니다.

 

경기도청 홈페이지 www.gg.go.kr/

 
경기도는 최근 경기도교육청과 이런 내용을 담은 협의를 진행한 결과 도내 우선 교육복지투자대상지역 131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오는 2월 19일까지 수요조사를 통해 2,3학년 진급 예정 학생과 예비 1학년 학생의 디지털 교육을 도와줄 전문 강사를 지원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이들은 2021년 2월 17일~26일까지 1~2회 각 학교별로 찾아가 태블릿PC, 스마트폰, 데스크탑 등 개인 학습기기 활용방법, e학습터, Zoom, 한글보물찾기, 경기함께놀자 등 각 학교에서 사용하는 원격수업 프로그램별 접속방법과 학습방법 등을 교육합니다.


코로나19바이러스 상황을 고려해 1회 집합교육 시 참여 학생은 4명 이하로 제한합니다.

 

강사는 방문 전 자가진단과 학습 전․후 사용 디지털기기 소독 등 철저한 방역지침을 지키며 안전하게 교육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번 지원은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원격수업에 따른 교육격차 해소가 목적입니다.

등교수업과 달리 원격수업은 교육취약계층 학생들이 디지털기기 사용법이나 원격수업 프로그램 활용방법을 몰라 교육에 참여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해 교육격차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2020년) 8월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61.8퍼센트(%)의 응답자가 원격수업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학습격차 심화’를 지적하기도 하였습니다.


이에 도는 도교육청과 실무협의를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에 대한 디지털 교육 지원 방안을 마련하였습니다.

도는 이번 사업이 원격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혼란을 줄이고 학습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걸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박승삼 경기도 평생교육국장은 “원격 수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이 편리하게 공부하고, 선생님들이 학생들을 가르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경기도와 도 교육청이 적극 협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조은옥 경기도교육청 교육과정국장은 “장기화되고 있는 등교-원격수업 병행 상황에서 이번 경기도의 초등 저학년 학생 대상 디지털 교육 지원은 그 필요성이 크다. 앞으로도 원격수업이 원활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현장지원 방안을 지속적으로 협력하여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경기도는 이번 사업의 성과를 검토한 후 도 교육청과 학생들의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다양한 지원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출처 : 경기도

반응형
반응형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2021년도부터 25개 자치구, 교육청과 협력하여 서울 관내 국립.공립.사립 중학교, 고등학교(고등기술학교), 특수학교.각종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입학준비금을 지원합니다. 

 

서울시청 홈페이지 www.seoul.go.kr/


입학준비금은 기존의 무상교복 정책이 서울시교육청의 편안한 교복정책방향과 맞지 않으며 교복 자율학교 학생에 대한 차별 등의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고자 추진되었으며, 서울 관내 학교에 입학하는 학생은 소득에 관계없이 교복 등 의류, 스마트기기를 지원하여 교육의 공공성 강화 및 보편적 교육복지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입학준비금 지급방식은 각 학교에서 학생(학부모)의 신청을 받아 교복구매 지원 또는 제로페이 모바일 포인트를 지급하는 방식이며, 구입범위는 교복, 생활복, 체육복, 일상 의류(등교에 필요한 의류), 원격수업에 필요한 스마트기기입니다.

 

대상인원은 학교로부터 신청을 받아 2021년 2월 경 1인당 30만원씩 예산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서울시에 신고.수리된 56개 비인가 대안교육기관에 입학하는 학교 밖 청소년의 경우에도 공교육 학생들과 같은 방식인 제로페이 포인트로 부모 소득과 관계없이 30만원씩 지급할 예정입니다.


2021학년도 서울시내 국·공·사립 중, 고(고등기술), 특수, 각종학교에 입학하는 신입생은 약 136,700명으로 추계하며 총 소요액은 약 416억으로 서울시.자치구.교육청과 각각 3:2:5의 재원을 부담합니다.

서울시.자치구.교육청은 입학준비금 정책 시행으로 지원 대상에 있어 사각지대 없는 평등한 복지 지원 체계를 구축하고 구매범위를 다양화하여 학생과 학부모의 선택권 확대 및 편의성을 제고하였습니다.

 

입학준비금 정책이 내실 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향후에도 서울시.자치구.교육청은 계속 협력할 것이며 서울학생이 더 행복해지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 사용범위

 

구분

의류

스마트기기

구매범위

교복, 생활복, 체육복,

일상 의류(등교에 필요한 의류)

태블릿 PC (노트북 PC 포함)

원격수업에 필요한 스마트 기기

비고

교복 구매 시 학교별 학칙에서 정한 교복 형태에 따라 추진

온라인 수업, 과제용

등록된 제로페이 가맹점을 방문하여 구매 가능


출처 : 서울특별시

반응형
반응형

교육부에서 12월 8일 기준으로 발표한 참고 자료입니다.

○ 등교수업일 조정 현황 - 12월 8일(화) 10시00분 기준
  - 13개 시·도 885교 등교수업일 조정
   ※ 서울 소재 중․고등학교 706교 원격수업 전환 반영(12월7일 ~ 12월18일) 
     경기 양평군 소재 학교 69교 원격수업 전환 반영(12월8일 ~ 12월11일)

○ 학생 미등교 사유 및 진단검사 현황 - 12월 8일(화) 00시00분(오전12시) 기준
  - 등교 이후 확진자 누계 12월7일(월) 00시 대비 학생 34명, 교직원 12명 증가
    누계 1,911명(학생 1,605명, 교직원 306명)
  ※ (학생) 12.5. 3명, 12.6. 9명, 12.7. 22명
  ※ (교직원) 12.3. 1명, 12.6. 5명, 12.7. 6명 

◎ 등교수업 조정 현황 및 학생 미등교 사유 등

● 등교수업 조정 현황 (단위: 교, 2020.12.8. 10:00 기준)

 

시도

시군구

등교수업 조정 학교 수 현황

각종

기타

서울

서울

9

33

386

320

 

 

 

748

부산

부산

2

 

1

2

1

 

 

6

인천

인천

 

1

1

1

 

 

 

3

대전

대전

 

3

1

1

 

 

 

5

울산

울산

2

2

1

1

 

 

 

6

세종

세종

 

3

1

1

 

 

 

5

경기

경기

34

28

17

9

1

 

 

89

강원

강원

2

3

 

 

 

 

 

5

충북

충북

1

1

1

 

 

 

 

3

전북

전북

3

 

1

 

 

 

 

4

전남

전남

3

3

 

1

 

 

 

7

경북

경북

 

1

 

 

 

 

 

1

경남

경남

 

 

3

 

 

 

 

3

합 계

56

78

413

336

2

 

 

885



● 등교수업 조정 사유
 ㅇ 12.8.(10시 기준) 13개 시·도 885개 학교가 등교 수업일 조정 중
   - 12.7.(10시 기준) 815교에서 70교 증가(95교 등교수업 조정, 25교 등교수업 개시)

● 학생 미등교 사유별 현황(단위: 명, 2020.12.7. 16시 기준)

 

구 분

합 계

보건당국격리*

등교 전 자가진단

등교 후

의심증상

유치원

1,225

461

748

16

초등학교

15,167

2,781

11,740

646

중학교

8,466

3,234

4,783

449

고등학교

5,941

1,780

3,836

325

특수, 각종, 기타

350

154

182

14

31,149

8,410

21,289

1,450

전일 대비

(5,296)

(△40)

(4,639)

(697)


    * 진단검사 결과 확진 판정 또는 확진자와의 접촉으로 인한 보건당국 격리자
     ※ 코로나19와 직접 연관된 경우에 한함

● 등교 이후 진단검사 현황(2020.12.8. 0시 기준)

 

구 분

검사자

양 성

음 성

검사 중

학 생

5.20.~12.6.

  492,219

 1,583*

  296,216

    194,420

12.7.(누계)

  498,071

1,605 

  300,497

    195,969

증감

  5,852

22

   4,281

     1,549

교직원

5.20.~12.6.

  70,096

 300*

   42,678

    27,118

12.7.(누계)

  71,657

306

   43,653

    27,698

증감

  1,561

6

    975

     580


    * (학생) 12.5. 3명, 12.6. 9명 추가 반영(1,571명 → 1,583명)
     (교직원) 12.5. A교 교직원과 B교 교직원이 동일인으로 확인되어 1명 감소(서울교육청)
            12.3. 1명, 12.6. 5명 추가 반영(295명 → 300명)

■ 시.도별 일자별 확진자 발생 현황(2020.12.8. 0시, 확진일 기준)

 

구분

시도

∼12.3.

12.4.∼12.7.

합계

12.4.

12.5.

12.6.

12.7.

학생

서울

490

21

11

15

8

545

부산

72

6

1

 

4

83

대구

37

4

 

1

 

42

인천

60

1

1

3

2

67

광주

35

 

 

 

 

35

대전

38

2

 

 

 

40

울산

8

 

 

 

 

8

세종

5

3

 

 

 

8

경기

475

14

1

14

5

509

강원

61

 

1

 

 

62

충북

22

 

 

 

1

23

충남

45

 

 

 

 

45

전북

20

2

 

3

 

25

전남

31

 

 

 

1

32

경북

23

1

1

 

1

26

경남

50

1

1

 

 

52

제주

3

 

 

 

 

3

소계

1,475

55

17

36

22

1,605

교직원

서울

107

 

3

3

2

115

부산

10

 

 

1

1

12

대구

3

 

 

 

 

3

인천

18

 

1

2

 

21

광주

4

 

 

 

 

4

대전

6

 

 

 

 

6

세종

3

 

 

 

 

3

경기

66

2

3

1

3

75

강원

23

 

 

 

 

23

충북

6

 

1

 

 

7

충남

13

 

 

 

 

13

전북

7

2

 

1

 

10

전남

3

 

 

 

 

3

경북

3

 

 

 

 

3

경남

6

 

 

 

 

6

제주

2

 

 

 

 

2

소계

280

4

8

8

6

306

총 합계

1,755

59

25

44

28

1,911

 
출처 : 교육부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