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기도는 축제 기획 및 운영이 우수하고 발전 역량이 높은 올해 우수 지역축제로 '2024년 경기관광축제' 23개를 선정했다고 2월 4일 밝혔습니다.

선정된 축제는 가평 자라섬 꽃 페스타, 고양 행주 문화제, 광명동굴 대한민국 와인 페스티벌, 광주 왕실 도자기 축제, 광주 남한산성 문화제, 군포 철쭉 축제, 남양주 광릉숲 축제, 남양주 정약용 문화제, 동두천 락 페스티벌, 부천 국제 만화축제, 수원 재즈 페스티벌, 안양 춤축제, 양주 회암사지 왕실축제, 양평 용문산 산나물축제, 여주 도자기축제, 여주 오곡나루 축제, 오산 야맥 축제, 이천 도자기축제, 이천 쌀문화 축제, 파주 헤이리 판페스티벌, 파주 장단콩축제, 포천 산정호수 명성산 억새꽃축제, 화성시 정조 효문화제입니다.

앞서 도는 시군으로부터 30개 지역축제를 추천받아 축제 개최 계획에 대한 발표평가 및 지역축제 심의위원회 심의를 통하여 최종 선정했습니다.

2024년 4월 이천도자기축제를 시작으로 11월 파주장단콩축제까지 총 23개의 축제가 다양한 방식으로 지역문화 및 지역의 가치를 전달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이 가운데 심사위원으로부터 호응이 좋았던 양평 용문산 산나물 축제는 ‘레츠고(Let’s GO(Green Only)) 산나물!’이라는 표어(슬로건) 아래 축제추진위원회를 주축으로 오는 4월 산나물 진상제 재현극, 산나물 골든벨, 산나물비빔밥 나눔 등 행사(프로그램)를 진행하여 청정한 자연환경을 가진 양평만의 지역 특색을 보여줄 계획입니다.

이어 화성시 정조 효 문화제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융건릉을 중심으로 현륭원 천원 재현, 현륭원 제향, 정조대왕 효행음식 시연 및 체험 등의 행사(프로그램)를 구성하여 역사.문화적 가치와 의미를 재조명하는 내용으로 10월에 개최할 예정입니다.

◎ 2024 경기도 선정 관광축제 개최 일정(예정) 

연번 시. 축제 명 개최 시기 (예정)
1 이천시 이천 도자기축제 4월26일 ~ 5월7일
2 양평군 양평 용문산 산나물축제 4월28일 ~ 4월30일
3 군포시 군포 철쭉축제 4월28일 ~ 4월30일
4 광주시 광주 왕실 도자기축제 5월4일 ~ 5.월14일
5 양주시 양주 회암사지 왕실축제 5월5일 ~ 5월7일
6 고양시 고양 행주문화제 5월19일 ~ 5월21일
7 여주시 여주 도자기축제 5월19일 ~ 5월29일
8 가평군 가평 자라섬 꽃페스타 5월20일 ~ 6월18일
9 오산시 오산 야맥축제 6월9일 ~ 6월11일
10 동두천시 동두천 락페스티벌 8월25일 ~ 8월26일
11 수원시 수원 재즈페스티벌 9월8일 ~ 9월9일
12 부천시 부천 국제 만화축제 9월14일 ~ 9월17일
13 광주시 광주 남한산성문화제 9월15일 ~ 9월17일
14 파주시 파주 헤이리 판페스티벌 9월16일 ~ 9월24일
15 안양시 안양 춤축제 9월20일 ~ 9월24일
16 화성시 화성시 정조 효문화제 10월7일 ~ 10월8일
17 남양주시 남양주 광릉숲 축제 10월7일 ~ 10월8일
18 광명시 광명동굴 대한민국 와인페스티벌 10월13일 ~ 10월15일
19 남양주시 남양주 정약용문화제 10월14일 ~ 10월15일
20 포천시 포천 산정호수 명성산 억새꽃축제 10월14일 ~ 10월28일
21 이천시 이천 쌀 문화축제 10월18일 ~ 10월22일
22 여주시 여주 오곡나루축제 10월20일 ~ 10월22일
23 파주시 파주 장단콩축제 11월24일 ~ 11월26일


도는 이번에 선정된 축제 23개를 평가 순위별로 등급을 매겨 상위등급 6개는 1억 원씩, 중위 등급 10개는 7천만 원씩, 하위등급 7개는 5천만 원씩 도비 보조금을 지원할 방침입니다.

또한 축제를 안전하게 개최할 수 있도록 시군과 협조를 강화하고, 축제장 바가지요금 관련 불편 사항을 해결하기 위한 손님맞이 개선에도 힘쓸 계획입니다.

 

★ 참고 사진 : 화성시 정조 효 문화제 모습


박양덕 경기도 관광산업과장은 “지난해 코로나19 엔데믹 전환으로 지역축제가 본모습을 찾아가고 있다”며 “축제는 지역에 중요한 관광자원인 만큼 우수 지역축제가 지속가능하고 지역에 도움이 되는 축제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경기도

반응형
반응형

경기도가 도내 24세 청년들을 위하여 연 100만 원을 지급하는 '청년기본소득 사업'을 지속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청년 기본소득 사업' 대상은 분기별 신청일 기준 경기도에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24세 청년으로,
신청일로부터 3년 이상 계속 거주 또는 합산 10년 이상 거주한 경우라면 취업.졸업 여부, 소득.재산 유무를 불문하고 누구나(거주불명자, 외국인 제외)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청년기본소득은 분기별로 25만 원(연 100만 원)을 주민등록초본상 주소지(신청기간 기준) 시군 지역화폐로 지급하는데, 24세가 유지되는 기간에는 신청 기간을 놓쳐 받지 못한 전분기 미지급분에 대해 소급 신청이 가능합니다.

청년 본인이 경기도일자리재단 통합접수시스템(잡아바 어플라이) 누리집(https://apply.jobaba.net/)에서 분기별로 온라인 신청을 하면 되고,
부득이한 사정으로 본인이 직접 신청 불가능한 경우 부모 등의 대리 신청도 가능합니다.

분기별 신청기간은 1분기 2~3월, 2분기 5~6월, 3분기 8~9월, 4분기 10~11월 등으로 시행하며, 정확한 신청 기간은 차후 공지 예정입니다.

다만 성남시는 지난해(2023년) 7월 청년기본소득 지급 조례를 폐지했고, 의정부시는 재정 위기로 2024년 본예산에 시비를 편성하지 못하여,
성남시와 의정부시 청년들은 2024년 청년기본소득 신청대상에서 제외합니다. 

신청방법 등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 일자리재단 통합접수 시스템(잡아바 어플라이) 누리집의 ‘사업정보’ 탭에 나와 있으며, 기타 궁금한 내용은 해당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도.시군 청년담당 부서, 경기도 콜센터로 문의하면 됩니다.

이인용 경기도 청년기회과장은 “취업.졸업 여부, 소득·재산 유무를 불문하고 지급하는 청년기본소득을 통해 청년들에게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동등한 기회를 제공하여 경기 청년들의 삶의 만족도 증진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경기도

반응형
반응형

경기도가 전세 사기 피해자 지원을 위한 '긴급생계비 지원(신설)'과 '긴급지원 주택 입주자 이주비 지원(변경_사업기간)' 사업에 대한 보건복지부 사회보장제도 협의를 완료함에 따라, 이를 본격 추진한다고 2024년 1월 26일 밝혔습니다.

도는 작년(2023년) 5월 '전세피해 예방 및 지원 대책'을 발표하면서 정부 지원사업을 보완하기 위한 도 차원의 지원 대책으로 ‘긴급생계비 지원’과 ‘긴급지원주택 이주비 지원’ 사업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이어 경기도의회는 동년 7월 ‘경기도 주택임차인 전세피해 지원 조례’를 제정하여 사업 추진 근거를 마련하였습니다.

‘긴급생계비 지원’은 전세사기 피해자가 생활고를 비관하여 극단적 선택을 하는 등 위기 상황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한 사업입니다.

경기도가 전국 최초로 실시하는 것으로, 도는 이 사업에 30억 원의 예산을 확보하였습니다. 

‘긴급지원 주택 입주자 이주비 지원’은 전세 사기피해자 가운데 긴급지원 주택으로 입주를 결정한 사람에게 150만 원 한도 내 이주에 필요한 실비를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작년(2023년) 하반기부터 시행하고 있으며, 이번 사회보장제도 변경(사업기간) 협의 완료로 ‘전세사기피해자법’ 존속 기한인 2025년까지 안정적으로 사업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도는 향후 조속하게 행정절차를 진행하여, 이르면 이주비는 2024년 2월부터, 긴급생계비는 3월부터 지급할 계획입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긴급생계비는 전세피해를 입은 피해자들의 불안한 마음과 상실감을 위로하기 위해 지급하는 것”이라며 “전세 피해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제도개선과 사회적 노력에 대해 지속 논의하고 발전시키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경기도

반응형
반응형

포천시 지역인재 육성을 위해 운영 중인 서울 포천학사 및 행복기숙사의 2024년 입사생 선발계획을 아래와 같이 공고하오니 많은 신청바랍니다.

◎ 서울 포천학사 소개 ※ 포천시에서 직영하는 단독건물 기숙사
 주소(위치) : 서울특별시 강북구 덕릉로 160-1 (지번: 번동 436-65)
 모집 인원 : 총 49명 (1인실 1실, 2인실 24실)
 운영 주체 : 포천시청 교육지원과
 이용료 : 입사료 50,000원(최초납부/반환불가), 월 기숙사비 150,000원
 주요시설 : 기숙실, 휴게실, 식당(회의실), 세탁실 등 

◎ 서울 홍제동 행복연합기숙사 소개 ※ 여러 지방자치단체가 참가하는 공공기숙사
 주소(위치)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송죽길 62 (지번: 홍제동 337-1)
 모집 인원 : 총 10명 (4인실 기준, ※ 여학생만 지원 가능)
 운영 주체 : 한국사학진흥재단
 이용료: 보증금 300,000원(최초납부), 월 기숙사비 237,330원(예정), 식비별도
   - 2024년도 월기숙사비 중 포천시 지원 117,330원/월 자부담 120,000원(예정)
 주요시설 : 기숙실, 휴게실, 식당, 회의실, 세탁실 등

 공식 누리집 → https://happydorm.or.kr/hongje/ko/index

★ 첨부파일 : 모집공고문.입사지원서 등

2024년 서울 포천학사 및 행복연합기숙사 입사생 선발 공고.hwp
0.27MB


◎ 선발일정
 접수기간 : 2024년 1월 17일(수)부터 1월 31일(수) 18시까지
    ※ 점심시간(12:00~13:00) 및 토.일.공휴일 제외

 접수방법: 방문접수 또는 등기우편접수
  - 등기우편 접수의 경우 2024년 1월 31일(수) 소인까지 유효

 접수처: (우편번호 11140)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중앙로 207번길 26, 포천시립중앙도서관 2층 교육지원과 교육지원팀
  - 제출서류 미비 시 추가 제출서류 FAX, 전자메일 등 접수 가능
  - 전자메일 접수의 경우 접수종료일 내 도달 분에 한함
  - 전자메일 주소: pgwj2021@korea.kr (송부 후 확인전화 요망)

 선발 확정 : 2024년 2월 6일(화) 예정 (개별연락 및 홈페이지 게재)

◎ 문의처 : 포천시 교육지원과 교육지원팀 (전화번호 031-538-2036)

출처 : 경기도 포천시

반응형
반응형

연천군에서는 서울 동대문구 소재 '연천군 장학관(대학생 기숙사)'에서 생활할 입사생을 아래와 같이 모집합니다.

◎ 선발 인원
 입사생 : 총 78명 (남 : 00명, 여 : 00명)
 예비후보자 : 00명 (입사 포기 및 중도 퇴사 충원 인원)

◎ 2024년 입사자격
 입사생 선발 공고일 현재 본인 또는 보호자가 연천군에 1년 이상 계속하여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하는 자로서, 「고등교육법」제2조제1호부터 제4호까지의 대학.산업대학.교육대학.전문대 또는 제7호의 각종학교에 입학예정이거나 재학 중인 학생
 ※ 「고등교육법」제2조제5호(방송대학.통신대학.방송통신대학 및 사이버대학등 원격대학), 제6호(기술대학) 제외

◎ 입사생 부담 비용 및 제공 편의
  시설 이용 부담금 월 12만원(식사비 포함), 자치회비 3만원(연 1회 납부)
  숙식 제공, 장학관 시설물 이용, 자치회 참여 활동

※ 참고사항
 서울시지하철 2호선 신설동역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9번 또는 10번 출구에서 도보 3분 정도 거리.
 환승가능 역인 서울지하철1호선 신설동역, 우이신설 경전철 신설동역은 지하통로(개찰구 내)로 연결
 가까이에 서울특별시교육청 동대문도서관, 서울풍물시장, 이마트 청계천점 등이 있으며, 청계천 산책로도 가까워서 이용하기 편함

☆ 첨부파일 : 모집 요강.입사원서 등
 ※ 같은 내용이며, PDF, HWP 양식 중 편한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2024년 연천군 장학관 입사생 선발요강.pdf
0.22MB
2024년 연천군 장학관 입사생 선발요강.hwp
1.17MB


◎ 입사원서 접수기간 및 접수처
 ▶ 연천군 장학관(주소 : 서울 동대문구 난계로30길 27, 전화번호 031-839-4671~2)
  기간 : 2024년 1월 8일(월) ~ 1월 19일(금)
  방법 : 우편 및 방문접수(우편접수는 접수마감일 18:00 우편도착분까지 인정)

 ▶ 연천군 통일평생교육원(경기 연천군 전곡읍, 전화번호 031-839-4439)
  기간 : 2024년 1월 15일(월) ~ 1월 19일(금)
  방법 : 방문접수(09:00 ~ 18:00 / 토.일요일 및 법정공휴일 미접수)

◎ 합격자 발표 : 2024년 2월 8일(목) 예정

출처 : 경기도 연천군

 

반응형
반응형

가평군에서는 지역 출신 대학생들의 주거 및 교육비 부담을 경감하기 위하여 서울 안암동 고려대학교 인근에 '가평장학관(서울소재 대학생 기숙사)'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24년 장학관에 입사할 학생을 아래와 같이 모집합니다.

◎ 모집 공고 기간 : 2024년 1월 2일(화) ~ 1월 22일(월)

◎ 신청 기간 : 2024년 1월 2일(화) ~ 1월 22일(월) 18:00 까지

◎ 선발 인원 : 총 109명 (남00명, 여00명)

◎ 예비인원: 00명 (중도 퇴사생 충원을 위한 상당수 인원)

◎ 신청방법: 가평장학관 누리집(http://www.gp.go.kr/supervisor/index.do)에 게시한 모집요강 등 확인, 입사신청 후 구비서류 제출

★ 첨부파일 : 입사생 선발 요강, 모집 공고문, 입사원서 HWP 양식

2024년 가평장학관 입사생 선발요강.hwp
0.04MB
2024년 가평장학관 입사생 모집 공고.hwp
0.07MB
2024년 가평장학관 입사원서.hwp
0.09MB


◎ 시설 현황 : 희망동과 행복동, 2개 동으로 구성
  생활실 53실 (2인실 51실, 3인실 1실, 4인실 1실), 식당, 정보화실 등

◎ 부담비용: 입사료 5만원 / 월 사용료 15만원(식비 포함)
  ※ 입사료는 등록 시에 납부하고 사용료(6개월분)는 학기시작 전월에 선납하여야 함

◎ 사용기간 : 2024년 3월 1일 ~ 2025년 2월 15일
 ※ 금년도 입사는 2월 24일 토요일 부터 가능

◎ 소재지(주소) : 서울시 성북구 안암로9가길 73, 가평장학관

◎ 문의처 : 전화번호 02-927-7190, 팩스 02-927-7191

출처 : 경기도 가평군

 

반응형
반응형

경기 화성시에서는 서울 동작구와 서울 도봉구에 위치한 '직영 대학생 기숙사'에서 생활할 입사생을 아래와 같이 모집합니다.

◎ 기숙사 시설 개요

구분 동작나래관 도봉나래관
위치
(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성대로 1160(상도동)
※ 서울지하철7호선 신대방삼거리역 1번출구에서 도보 10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로 10630(창동)
※ 서울지하철4호선 쌍문역 2번출구에서 도보 10
시설 규모 부지면적 2,406평방미터(㎡)
연 면 적 4,356
(지하 1/ 지상 3)
부지면적 960평방미터(㎡)
연 면 적 5,380
(지하 2/ 지상 9)
관일 2019년 3월 1일 2009년 3월 14일
수용 인원 219(: 85/ : 134) 219(: 60/ : 159)
주요 시설 사생실(생활실), 휴게실, 컴퓨터실, 세탁실, 식당 등 사생실(생활실), 휴게실, 프린터실, 독서실, 식당 등
입사생
부담금
매월 200,000 매월 200,000


◎ 선발 예정 인원 (단위 : 명)

동작나래관 도봉나래관
구분 합계 구분 합계
정원 219 85 134 정원 219 60 159

※ 입사생은 동작나래관․도봉나래관, 신입생․재학생, 남․여로 각각 구분하여 선발

● 일반 선발 외에 별도 선발하는 인원
 ▷ 고시생
   - 선발인원 : 정원의 2% 이내 선발
   - 선발자격 : 5급 공채(행정, 기술, 외교, 입법, 법원)를 준비하는 고시생
    ※ 2023년도 1차 시험에 합격한 자에 한함

 ▷ 자매결연 체결 도시 출신 학생 (강원 평창군, 경남 합천군, 전남 완도군)
   - 선발인원 : 정원의 2% 이내 선발
   - 선발자격 : 「화성시와 국내외 도시 간 자매결연 등에 관한 조례」에 따라 자매결연을 체결한 국내도시 중, 수도권 외 지역에 한정하여 해당 지역에 등록기준지 또는 주민등록이 1년 이상인 학생 중에서 그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추천을 받은 자

◎ 접수기간 : 2024년 1월 4일(목) 10:00 ~ 1월 18일(목) 17:00, 15일간

◎ 접수 방법 :
  온라인으로만 접수 (방문접수 불가)
  화성시 인재육성재단 누리집 접속 (https://www.hstree.org/) 후 회원가입 → 입사 신청

★ 보다 상세한 사항은 아래 첨부파일(모집공고문) 참조

2024년 화성시장학관 입사생 선발 공고(안).hwp
0.13MB


◎ 장학관 문의처(전화번호)
  동작나래관 (02-584-1082)


  도봉나래관 (02-998-3631)


출처 : 경기도 화성시

반응형
반응형

경기 평택시(시장 정장선)는 장학관(대학생 기숙사) 입사생을 2024년 1월 1일부터 15일까지 15일간 모집한다고 밝혔습니다.

서울 강북구 수유동에 2018년 3월 개관한 평택시 장학관(대학생 기숙사)은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고 학생들이 숙식에 대한 부담 없이 학업에 정진할 수 있도록 시에서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는 시설입니다.

장학관 입사 자격은 서울 소재 2년제 이상 대학에 입학 예정이거나 재학 중인 학생으로, 모집 공고일(2023년 12월 23일) 현재 본인 또는 보호자가 평택시에 1년 이상 계속하여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사람이면 누구나 가능합니다.

입사 인원은 총 150명으로, 사회적 약자 30퍼센트(%), 일반 선발은 70퍼센트 비율로 선발합니다.

★ 첨부파일 : 모집 공고문 HWP 양식

2024년도 평택시장학관 입사생 모집공고문.hwp
0.06MB

 

◎ 시설 개요

구분 내용
위치(주소) 서울특별시 강북구 도봉로 287 (지번: 수유동 95-15)
 서울지하철 4호선 수유역 4번출구 도보 10분, 우이신설 경전철 화계역 1번출구에서 도보 10분 정도 거리
시설 규모 1개 동 (지하1층, 지상10층 규모)
대지면적 : 548.00평방미터(㎡), 연면적 : 2,883.24평방미터
정원 150
주요 시설 생활실 총 46(342, 64)
부대시설 : 식당, 휴게실, 독서실, 세탁실 등
부담금 200,000(식비 포함), 매월 납부

 

평택시 장학관은 서울지하철4호선 '수유역'과 우이 신설 경전철 '화계역'에서 도보 10분 정도 거리에 있으며, 학교와의 접근성이 용이하여 입사생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장학관 입사 신청 관련 문의 사항은 평택시장학관 공식 누리집(http://www.pyeongtaek.go.kr/ptjhk/)을 확인하거나

시청 교육청소년과 장학관팀(전화번호 02-983-7900~2)으로 연락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 : 경기도 평택시

 

반응형
반응형

경기도 대학생과 청년을 위한 공공기숙사인 '경기도기숙사'가 2024년도 정기입사생을 2023년 12월 26일부터 2024년 1월 26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습니다.

'경기도 공공 기숙사'는 수원시 권선구 서둔동에 위치하며, 총원 278명에 3인실 91실, 1인실 5실 구성입니다.

 → 주소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호로16 (지번 : 서둔동 92-6)


이번 정기입사생 모집 인원은 재입사생 선발을 확정한 후 결정할 예정입니다.
 

☆ 경기도립 '경기도기숙사' 전경

 

입사 지원 자격은 공고일 기준 1년 이상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경기도이거나, 공고일 이전 도에 주민등록 되었던 기간의 합산이 10년 이상인 대학생 또는 청년입니다.

입사 지원은 경기도기숙사 공식 누리집(http://www.ggdorm.or.kr/)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대학생은 소득기준(100점)과 가산점(해당자에 한함), 청년은 소득(30점)과 독립 계획서(20점)와 면접(50점)을 기준으로 선발합니다.

선발 일정은 2024년 1월 29일~2월 1일 서류심사, 2월 6일 면접을 거쳐 2월 13일 최종 대상자를 발표합니다.

입주 대상자는 2024년 2월 23일부터 2025년 2월 10일까지 1년간 거주할 수 있습니다.

입사보증금은 20만 원이며, 월 부담금 20만 원만 납부하면 조식과 석식을 포함한 입사 생활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과 제출 서류 등은 경기도기숙사 누리집을 확인하거나, 경기도기숙사(전화번호 031-217-7671)로 연락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박상응 경기도 교육협력과장은 “경기도기숙사 입주를 통해 경기 대학생과 청년들이 저렴한 비용으로 쾌적하고 안전한 주거생활을 누리며 미래를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얻기를 기대한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경기도

 

반응형
반응형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탑승하여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는 신개념 대중 교통수단인 경기 '똑버스'가 파주시 탄현면, 광탄면, 운정4동에서 운행을 시작합니다.

경기도와 경기교통공사는 2023년 12월 18일부터 파주 똑버스에 대한 시범 운행을 진행한 뒤, 2023년 12월 27일부터 차량 총 9대로 정식 운행을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운행에 투입하는 차량은 13인승 현대 쏠라티 차종으로, 탄현면, 광탄면, 운정4동에 각각 3대씩 운행합니다.

운행 시간은 매일 오전 5시 30분부터 자정(24시)까지입니다.

파주 똑버스는 지난 2021년 파주 운정.교하에서 시범 운행을 시작한 후, 이용 수요 증가에 따라 올해(2023년) 10월 5대를 증차한 바 있습니다.

탄현, 광탄, 운정4동으로 운행 지역을 확대하면 총 24대가 운행하는 것입니다.

‘똑버스’는 경기도형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 Demand Responsive Transport)의 고유 상표(브랜드)로, ‘똑똑하게 이동하는 버스’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똑버스는 신도시나 교통 취약지역에서 정규 노선과 기본 운행계획표 없이, 승객의 호출에 대응하여 탄력적으로 승객을 수송하는 맞춤형 대중교통수단입니다.

기존 버스와 달리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최신 정보통신(IT) 기술을 활용하여 승객의 수요에 맞추어 실시간으로 최적의 이동 경로를 만들어 운행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경기교통공사에서 운영하는 통합교통플랫폼 '똑타' 앱(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똑버스 호출과 결제가 가능합니다.

승객이 가고자 하는 출발지와 도착지를 앱에 입력하면 가장 가까운 곳에서 운행 중인 똑버스 차량을 기준으로 노선이나 승차지점, 승차․하차 시간을 실시간으로 안내합니다.

승객은 안내받은 승차지점과 승차 예상 시간에 맞추어 똑버스에 탑승하면 됩니다.

같은 시간대에 경로가 유사한 승객이 예약하면 자동으로 우회 노선을 생성하여 합승하는 식으로 운행하는 체계입니다.

이용 요금은 1천450원, 교통카드 이용 시 수도권 통합환승 할인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앞서, 도는 똑버스 확대 도입 계획에 따라 현재까지 11개 시군에서 119대를 운행 중이며, 누적 총 이용객은 약 150만 명입니다.

도는 파주에 이어 2023년 12월 중 이천 장호원읍.율면 지역에 똑버스를 8대 확대 도입하여 똑버스 총 136대를 운행할 예정입니다.

엄기만 경기도 광역교통정책과장은 “이번 똑버스 운행 지역 확대로 더 많은 파주시민들이 쉽고 자유롭게 원하는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면서 “교통 취약지역에 대한 맞춤형 교통서비스인 똑버스를 도내 전 시군으로 계속 확대할 계획이다”라고 말하였습니다.

민경선 경기교통공사 사장은 “신교통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똑버스를 통해 운정역, 헤이리 예술마을 등 지역 거점 및 관광지 연계로 시민들의 교통 불편 해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말처럼 도민분들께 1시간의 여유를 드릴 수 있도록 똑버스가 경기도 내 여러 지역으로 확대해 더욱 편리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경기도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