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평구(구청장 차준택)가 2021년 1월 1일부터 부평구에서 태어난 출생아에게 출산지원금을 지원합니다.

현재 전국적으로 출산율은 물론 다자녀 출산율이 매년 감소함에 따라 적극적인 출산 친화 사회분위기 조성을 위한 정책·경제적 지원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에 부평구는 ‘인천광역시 부평구 출산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전부 개정하여 그동안 출산 축하용품으로 지급했던 온누리상품권(10만 원) 지원을 폐지합니다.

2021년부터는 첫째아 30만 원, 둘째아 50만 원, 셋째아 이상 100만 원을 출산가정에 일시금으로 지급합니다.

지원대상은 2021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로 부평구에 출생신고를 하고, 출생일 기준으로 보호자(부, 또는 모)가 부평구에 1년 이상 거주한 출산가정입니다.

만약 자녀 출생 시 부평구 거주기간이 1년 미만인 가정이라도, 거주기간 충족 이후 신청하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차준택 구청장은 “구의 재정 형편이 넉넉지 않아 그동안 고심이 깊었던 출산지원금을 첫째 아이부터 지급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아이 키우기 행복한 도시 부평’을 만들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출처 : 인천광역시 부평구

반응형
반응형

인천 서구(구청장 이재현)의 친환경 둘레길 ‘서로이음길’이 하나 둘 조성을 마무리하며 구민들의 일상 속 쉼터가 되고 있습니다.

서구는 민선 7기 공약사항인 ‘10대 서로이음길 조성사업’을 실천하기 위해 2020년도에 4개 구간(코스)의 서로이음길 조성을 완료했다고 2020년 12월 30일 밝혔습니다.

2019년 조성된 2개 구간까지 포함, 현재까지 총 6개 구간 조성이 완료되었습니다.

2020년 조성을 마친 서로이음길은 계양산(검암), 꽃메산, 가현산, 승학산 4개 구간(35.3킬로미터(㎞))입니다.

서구는 총 9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안전로프 및 이정표 설치, 노폭 확대, 계단 및 보행매트 설치 등을 통해 등산객들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하고, 보행환경 증진과 편익향상을 위한 시설을 갖추었습니다.

구간별 주요노선은
 계양산(4구간, 4.5㎞): 서곶공원~서부교육청~공촌천~은지초교
 꽃메산(5구간, 7.3㎞): 은지초교~꽃뫼길~검암역~시천교~드림파크
 가현산(8구간, 16.8㎞): 검단롯데마트~왕길배수지~금곡초교~세자봉~묘각사~삼보주유소
 승학산(9구간, 7.7㎞): 봉오재공원~철쭉동산~생태통로~아시아드경기장~마실거리~서구청까지 입니다.
 
2020년까지 조성한 서로이음길은 2019년 조성한 골막산(6구간, 2.1㎞)과 할메산(7구간, 4.4㎞) 2개 구간을 포함하여 총 6개 구간(41.8㎞)입니다. 

2021년에는 총 13억 원의 사업비를 들여 나머지 구간인 원적산, 천마산, 호봉산, 세어도, 청라노을길 등 5개 구간(38.0㎞)를 조성해 ‘서로이음길 조성사업’의 전체 구간을 마무리하게 됩니다.

 ‘서로이음길 조성사업’은 애초에 10개 구간(총 연장 67.8㎞)으로 계획됐으나, 11구간인 청라노을길(12㎞)이 추가되면서 11개 구간으로 확대된 바 있습니다.

이재현 서구청장은 “서로이음길이 하나씩 개통할 때마다 구민 여러분이 크게 호응해 주셔서 너무 기쁘게 생각한다”며 “기대에 보답하기 위해 2021년엔 서구 전 지역과 한남정맥을 잇는 서로이음길 조성을 마무리하고, 걷기 좋은 길을 발굴해 서로이음길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출처 : 인천광역시 서구

반응형
반응형

우리군은 비싼 여객선 운임으로 도서지역 방문을 주저하는 인천시민, 타 시도민, 군장병 면회객, 출향민들에게 옹진군 섬을 홍보하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2021년도 옹진군 여객운임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 옹진군 월별 여객선 시간표 보기 www.ongjin.go.kr/open_content/main/community/board/ship.jsp

● 국내 연안여객선 예약 사이트 - 가보고싶은섬 홈페이지 island.haewoon.co.kr/

 

상세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인천시민 여객운임 지원사업

(사업기간) 2021.01.01. ~ 12.31.(연중시행)

(대상지역) 6개면(북도,연평,백령,대청,덕적,자월)

(지원대상) 인천시민, 인천거주 외국인

(지원규모) 인천시민 여객운임 80% (자부담 20%)

※ 단, 인천시민 1인당 운임지원금은 도서민에 대한 1인당 운임지원금 초과 불가.

 인천시민 터미널 이용료 지원 제외.

타시도민 여객운임 지원사업

(사업기간) 2021.01.01. ~ 12.31.(연중시행 / 예산 소진 시까지)

 특별수송기간 및 주말 지원 제외(평일만 가능)

(대상지역) 5개면(연평,백령,대청,덕적,자월)

(지원대상) 서해5도 및 근해도서 관광을 목적으로 한 타 지역민

※ 1박2일 이상 4박5일 이내 / 1인당 年 3회 (왕복기준)

※ 입도일 기준 전일까지 인터넷 예매사이트로 사전 예매만 가능

(지원규모) 타시도민 여객운임 50% (자부담 50%)

 단, 타시도민 터미널 이용료 지원 제외.

※ 예매사이트 : 가보고싶은섬 홈페이지에서 방문도서 팝업창 예매하기 접속

군장병 면회객

여객운임 지원사업

 

(사업기간) 2021.01.01. ~ 12.31.(연중시행 / 예산 소진 시까지)

(대상지역) 5개면(연평,백령,대청,덕적,자월)

(지원대상) 관내 주둔 군장병 면회를 목적으로 한 타 지역민

※ 1박2일 이상 6박7일 이내

※ 장병 1인당 年 5회(사용 제한 상반기3회/하반기2회 이내) / 1회당 5명 이내

(지원규모) 軍장병 면회객 여객운임 70% (자부담 30%)

 단, 군장병 면회객 터미널 이용료 지원 제외.

※ 예매사이트 : 가보고싶은섬 홈페이지에서 방문도서 팝업창 확인 후 예매

출향민 여객운임 지원사업

(사업기간) 2021.01.01. ~ 12.31.(연중시행 / 예산 소진 시까지)

※ 출향군민 모집 : 2018. 1. 1 ~ 계속

(대상지역) 5개면(연평,백령,대청,덕적,자월)

(지원대상) 최초 등록기준지(舊(구) 본적지)가 옹진군인 자

               또는 옹진군 실거주 기간이 10년 이상인 자

※ 1인당 年 5회

(지원규모) 옹진군 출향민 여객운임 70% (자부담 30%)

※ 최초 신청 시 출향민 서류접수 필요(옹진군청 고시공고 참조)

 단, 출향민 터미널 이용료 지원 제외.


 ※ 2021년도 옹진군 여객운임 지원사업에 대하여 궁금하신 사항은 군청 경제교통과(전화번호 032-899-2522~5)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 인천광역시 옹진군

반응형
반응형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인천 도시철도망구축계획 변경(안)'을 확정하여 국토교통부에 승인을 신청했다고 2020년 12월 30일 밝혔습니다.

이번 변경(안)은 계획 수립(기준연도 : 2016년) 이후 변화된 사회‧경제적 여건을 반영하고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B) 수혜를 극대화하기 위한 연계 네트워크 구축과 함께 원도심 재생 지원에 중점을 두었고, 국토교통부 및 10개 군‧구 등 관계기관(부서) 협의, 시민‧전문가 및 시의회 등 폭넓은 의견을 청취하여 확정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대상노선은 6개에서 2개 노선이 추가된 8개 노선이며, 총연장은 87.79킬로미터(km)로 1.12km가 감소하고, 총사업비는 1조4,754억 원이 줄어든 2조8,620억 원으로 계획했습니다.

경제성이 낮은 인천남부순환선을 ‘주안송도선’과 ‘인천2호선 논현 연장’으로 재기획하여 사업성을 높이고 GTX-B(인천대입구) 및 인천발 KTX(송도)와의 접근성도 강화했습니다.

송도트램은 기존의 단계별 건설에서 전 구간 동시 건설로, 영종트램 1단계는 인천국제공항 활주로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일부 노선(공항신도시∼제2여객터미널)을 제외했습니다.

부평역(GTX-B, 경인선, 인천1호선)∼캠프마켓∼가좌역(인천2호선)∼송림동∼인천역(경인선․수인선)∼연안부두를 잇는 ’부평연안부두선’을 포함하여 인천1호선 송도8공구 연장, 제물포연안부두선 등 3개 노선을 신규로 반영했습니다.

특히‘부평연안부두선’은 투자 순위를 한 단계 높여 2순위로 조정하는 등 '민선 7기' 주요 시책인 원도심 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시재생에 선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습니다.

한편 현재 예비타당성조사 중인 ‘인천2호선 검단 연장’은 투자 1순위로기존계획을 그대로 반영하고 ‘IN-Tram(인트램)’은 S-BRT 시범사업(인하대∼서인천, 2020년 1월 2일 국토부 선정) 및 주안송도선(인하대∼송도국제도시)과의 노선 중복 등을 고려하여 제외하였습니다.

장래 여건 변화 등에 따라 추진을 우선 검토할 수 있는 후보노선은 인천1호선 국제여객터미널 연장, 동인천청라선, 영종트램 전 구간, 자기부상철도 장래 확장 등 4개 노선을 제시하였습니다.

이번에 승인을 신청한 변경(안)은 전문 연구기관(국토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적정성 검토, 관계 행정기관 협의 및 국가교통위원회 심의를 거쳐 승인·고시하게 됩니다.

이정두 인천시 교통국장은 “이번 계획은 사업 실현 가능성을 높이고 시민의 교통편의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수립하였다.“면서 “국토부로부터 조속히 승인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 인천 도시철도 계획 노선 개요

 

투자

순위

노선명

구 간

연 장

(km)

총사업비

(억원)

1

인천2호선 검단 연장

독정역(인천2호선)~검단신도시(인천1호선)~불로지구

4.45

4,126

2

부평연안부두선

부평역(경인선․인천1호선․GTX-B)~캠프마켓~3보급단~가좌역(인천2호선)~인천역(경인선․수인선)~연안부두

18.72

3,935

3

송도트램

달빛축제공원역(인천1호선)~인천대입구역(인천1호선․GTX-B)

~글로벌캠퍼스~달빛축제공원역(인천1호선)

23.06

4,429

4

인천2호선 논현 연장

남동구청역(인천2호선)~서창1․2지구~도림지구~인천논현역(수인선)

7.43

5,772

 

5

주안송도선

인천대입구역(인천1호선․GTX-B)~송도역(수인선․KTX)~주안역(경인선․인천2호선)

14.73

3,016

6

영종트램 1단계

영종하늘도시~운서역(공항철도)~공항신도시

10.95

2,835

7

인천1호선 송도8공구 연장

달빛축제공원역(인천1호선)~송도8공구(해양중학교)

1.46

3,303

8

제물포연안부두선

제물포역(경인선)~숭의역(수인선)~연안부두

6.99

1,204

8개 노선

 

87.79

28,620


  ※ 후보노선 : 인천1호선 국제여객터미널 연장, 동인천청라선, 영종트램 전 구간, 자기부상철도 장래 확장

● 전체 노선도


출처 : 인천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매년 연말연시에 해넘이 해맞이 인파가 몰리는 인천지역 주요 명소들을, 올해는 코로나19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해 일제히 폐쇄 조치한다고 밝혔습니다.

인천시에 따르면 관내 각 군.구에서는 해넘이.해맞이 명소로 잘 알려진 주요 해수욕장과 산(등산로) 등을 연말연시(2020년 12월 25일 ~ 2021년 1월 3일) 동안 폐쇄해 방문객들의 출입을 막기로 했습니다.

이번 조치는 정부의 연말연시 코로나19 방역 강화 특별대책에 따라 코로나19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먼저, 시는 지난 12월 15일부터 시작된 월미공원 폐쇄 조치를 계속 이어갈 방침입니다.

 

또한, 문학산 정상부(문학산성)를 새해 첫 날인 2021년 1월 1일 새벽(오전) 5시부터 오전 8시까지 폐쇄해 해맞이 방문객의 출입을 막기로 했습니다.

 

각 군·구에서도 자체적으로 주요 명소를 폐쇄합니다.


중구는 영종도 해수욕장, 용유도 해수욕장을 비롯해 백운산 등 주요 등산로 16개소,

계양구는 계양산과 천마산,

서구는 정서진을 지난 12월 25일부터 내년 1월 3일까지 폐쇄할 예정이며,

강화군은 마니산, 고려산 등 주요 산 8곳과 동막해변, 장화리 낙조마을,

옹진군은 십리포해수욕장 등 23개소를 지난 25일부터 1월 3일까지 폐쇄해 출입을 막을 예정입니다.

박찬훈 시 문화관광국장은 “코로나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부득이 해넘이 해맞이 명소를 폐쇄하게 된 점을 널리 이해해 주시고, 이번 연말연시 만큼은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 가지 말고 가족들과 함께 차분하게 보내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습니다.

◎ 인천 각 지역별(자치구별) 명소 폐쇄 계획표 

 

지역별

폐쇄되는 관광명소

폐쇄기간

비고

중구

영종도 해수욕장, 용유도 해수욕장

‘20.12.25. ~ ‘21. 1. 3.

 

백운산 등 주요 등산로 16개소

‘20.12.25. ~ ‘21. 1. 3.

 

월미공원

‘20.12.25. ~ ‘21. 1. 3.

 

미추홀구

문학산 정상

(문학산성)

‘21. 1. 1.

05:00 ~ 08:00

일출시간

폐쇄

계양구

계양산, 천마산

‘20.12.25. ~ ‘21. 1. 3.

 

서구

정서진

‘20.12.25. ~ ‘21. 1. 3.

 

강화군

장화리 낙조마을

‘20.12.25. ~ ‘21. 1. 3.

 

동막해변

‘20.12.25. ~ ‘21. 1. 3.

마니산, 고려산, 혈구산, 해명산, 진강산, 덕정산, 정족산, 봉천산

‘20.12.25. ~ ‘21. 1. 3.

옹진군

십리포해수욕장 등 23개소

‘20.12.25. ~ ‘21. 1. 3.

 


출처 : 인천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코로나19바이러스 특별방역 강화 조치에 따라 중구 관할지역에서 해넘이‧해맞이 집합을 금지하오니 ​지역사회의 코로나 확산방지를 위하여 주민 여러분의 적극 협조 부탁드립니다.

○ 기간 : 2020년 12월 31일(목) ~ 2021년 1월 1일(금)

○ 대상 지역 및 시설 : ​영종‧용유‧무의 지역 내 모든 산림 및 전망대 

​○ 사유 : 코로나19 특별방역 강화 조치에 따른 해넘이‧해맞이 집합금지 실천

○ 문의처  : 중구청 도시공원과 산림팀 전화번호 032-760-7774

 

※ 단, 용유하늘전망대는 2020년 12월 21일부터 별도 공지시까지 계속 폐쇄


출처 : 인천광역시 중구

반응형
반응형

강화군(군수 유천호)이 연말연시 코로나19바이러스의 지역 내 확산을 막기 위한 방역 강화 특별대책을 마련하고 내년도(2021년) 1월 3일까지 강력하게 시행합니다.
  
이번 방역 강화 특별대책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의 연말연시 특별방역에 적극 동참하고, 해넘이‧해맞이 행사 등의 대규모 방문객으로 인한 관내 일상감염을 차단하기 위한 특단의 조치입니다.
  
방역 강화 특별대책에는 식당을 비롯해 5인 이상의 사적 모임·회식·파티 등은 일체 금지됩니다.
 특히 식당에 5인 이상으로 예약하거나 5인 이상이 동반 입장하는 것을 금지하며 이를 위반하는 경우 운영자에는 300만 원 이하, 이용자에는 1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하고 확진자 발생 등으로 방역 활동에 피해를 입힐 경우 구상권이 청구될 수 있습니다.
  
또한, 해넘이‧해맞이 장소로 유명한 마니산 참성단의 등산로는 모두 폐쇄됩니다.
 그 외 평화전망대, 역사‧자연사박물관, 갑곶돈대 등 주요 관광시설 운영이 중단됩니다.
 눈놀이터‧눈썰매장 등 겨울 스포츠 시설 등도 이 기간 운영을 중단하도록 강력하게 권고했습니다.

종교시설에 대해서는 정규예배·미사·법회·시일식 등은 필수 인원을 제외하고 비대면이 원칙이며, 종교시설 주관의 모임·식사 등은 금지합니다.
  
유천호 군수는 “최근 수도권의 코로나19 감염경로나 감염원은 더 이상 예측이 불가능하다”며 “모임이나 약속, 여행 계획을 취소하고 집에 머물며 안전한 연말연시를 보내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아울러 “증상 유무와 관계없이 코로나19 검사를 무료로 받을 수 있는 만큼 의심증상이 있을 경우 임시선별지료소를 방문해 검사를 받으시기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 입산 통제, 관광시설 운영 중단 안내 

 ★ 마니산 함허동천 등산로 입산 통제

 ☆ 이 외 운영 중단 관광시설

   ▶ 2020년 11월 21일부터 추후 공지시까지
      평화전망대 전화번호 032-930-7062
      평화빌리지 032-930-7058
      역사 자연사 박물관 032-930-7084~5
      석모도 미네랄온천 032-930-7051
      전쟁박물관 032-930-7076

   ▷ 2020년 12월 15일부터 추후 공지시까지
      마니산 관리사무소  : 032-930-7068
      갑곶돈대 032-930-7076
      고려궁지 032-930-7078
      광성보 032-930-7070
      덕진진 032-930-7074
      초지진 032-930-7072
      함허동천 야영장 032-930-7066
      덕산 국민여가 캠핑장 032-930-7056

출처 : 인천광역시 강화군

반응형
반응형

인천의 해묵은 난제였던 (인천시내 - 영종도 간을 연결하는) 제3연륙교가 사업 추진 14년 만에 첫 삽을 뜨며 본격적인 공사에 착수했습니다.
  ※ 2006년 12월 : 영종하늘도시·청라 토지 조성원가에 건설비(5천 억 원) 반영하면서 시작

인천경제자유구역청(IFEZ 청장 이원재)은 2020년 12월 22일 서구 청라동 제3연륙교 종점부에서 ‘제3연륙교 건설공사 착공식’ 행사를 개최했습니다.

이 자리에는 박남춘 인천광역시장을 비롯해 정세균 국무총리, 지역 국회의원, 이원재 인천경제청장 등 주요인사 및 주민대표 30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이날 행사는 코로나19 관련 2.5단계 방역지침 준수를 위해 참석인원을 최소화해 진행했으며, 유튜브를 통해 온라인으로 생중계했습니다.

박 시장은 이 자리에서 “오늘 제3연륙교 건설공사 착공식을 개최함으로써 인천시민 모두가 10년 넘게 기다려온 염원이 드디어 현실이 되었다”며 “인천시장 후보 시절부터 제3연륙교 문제를 반드시 풀겠다고 시민 여러분과 약속했는데 이렇게 지킬 수 있어서 기쁘고 감개무량하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제3연륙교는 송도·영종·청라국제도시 등 인천경제자유구역을 연결하고 영종-청라-루원시티-여의도로 이어지는 거대한 금융·상업 클러스터를 잇는 핵심 앵커시설이자 인천시민을 하나로 이어주는 ‘이음의 다리’라고 소개하고 싶다”며 “오래 기다린 만큼 모든 분들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인천시는 다리가 개통되는 그날까지 꼼꼼하게 공사를 챙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세균 국무총리 또한 기념사를 통해 “300만 인천시민의 숙원사업인 ‘제3연륙교’착공을 진심으로 축하 드린다”며 “문재인 대통령님의 ‘인천 10대 공약’ 중 하나인 제3연륙교가 완성되면 주변도시의 교통과 생활 인프라가 개선돼 개발과 투자유치과 활발해지고, 공항경제권이 활성화되며 동북아 중심도시로의 인천의 위상이 한층 높아져 대한민국의 도약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제3연륙교는 중구 중산동에서 서구 청라동을 연결하는 총 연장 4.67킬로미터(㎞)(해상교량 3.5㎞, 육상 1.1㎞), 폭 29~30미터(m)에 왕복 6차로 규모로 건설되며, 2025년 준공될 예정입니다.

또한, 영종국제도시를 연결하는 3개 교량중에 유일하게 보도, 자전거도로, 전망대 등이 설치되어 바다 위에서 낭만을 느낄 수 있는 체험 관광형 문화공간으로 건설될 예정입니다.   

제3연륙교는 안전하고 신속하게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다차로 하이패스시스템을 비롯해 영상분석, 운행정보와 도로기상정보 등을 제공하는 지능형 교통관리시스템이 도입되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스마트한 교량으로 건설될 예정입니다. 

인천시는 제3연륙교 착공 과정에서 제3연륙교 건설 사업 협약을 통한 사업비 부담 관련 LH·인천도시공사와의 합의(2020년 10월), 공사 설계(2020년 8월) 및 3공구 시공사 선정(2020년 11월), 손실보전금 관련 국토부 및 민자 사업자와의 합의(2020년 12월) 등 난제들을 해결하고 공사 착공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오는 2025년 제3연륙교 건설이 완공되면 영종국제도시의 정주여건 개선 및 수도권 서부권역의 균형발전(개발촉진), 영종하늘도시와 청라국제도시의 개발 및 투자유치 활성화, 인천국제공항의 정시성 확보 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인천 영종도 간 제3연륙교 조감도


출처 : 인천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코로나19바이러스로 디지털(온라인 비대면) 환경이 일상화됨에 따라 정보화 이용격차 해소를 위해 디지털 접근성이 취약한 농어촌 마을에 초고속 통신망 고도화 사업을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농어촌 통신망 고도화 사업’은 소규모 가구 농어촌 마을의 인터넷 수요가 적어 초고속망 설치가 곤란한 지역에 인천시·과학기술정보통신부·통신사가 협약하여 마을 중심부까지 통신 광케이블과 통신주, 마이크로웨이브(무선장비) 등 통신 설비를 구축함으로써 농어촌 주민의 디지털 이용환경을 쉽게 하는 사업입니다.

이번 2020년에는 옹진군 연평면 소연평리, 백령면 가을1리, 진촌6,7리와 대청면 3개리, 덕적면 6개리, 자월면 3개리의 총 16개 행정리에 설치를 완료했습니다.

이로써 인천시는 2014년부터 사업을 추진해 강화군 188개, 옹진군 78개 행정리 전체에 대하여 초고속 인터넷망 구축을 완료, 소규모 농어촌 마을에서도 고품질 음성·영상통화, 고화질 IPTV(아이피티비) 시청,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를 받게 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시는 '비대면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아 행정에도 포용적 디지털 환경 조성'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공공 청사에 공공 와이파이(WiFi)를 구축 중입니다.

공공청사를 방문하는 시민의 디지털 서비스 이용에 불편함이 없도록 인천시청 및 시 의회, 경제자유구역청, 상수도사업본부, 중구청, 남동구청, 서구청, 옹진군청의 8개 기관에 대하여 2021년 1월부터 서비스를 시행할 예정입니다.

뿐만 아니라 시는 지난 2019년 5월 271대 버스에 무료 와이파이를 설치·서비스를 시작했으며, 현재 2,467대의 버스에 공공 와이파이를구축하고 시 홈페이지에 공공 와이파이 지도 서비스를 하는 등 시민 누구나 통신복지를 누릴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습니다.

김경아 시 정보화담당관은 “시민들의 이용편의 증진과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인프라를 지속 확충해, 시민 누구나 부담 없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출처 : 인천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인천시에서는 2020년 11월말까지 관내에서 설치.운영중인 여성안심 무인택배함의 명칭(이름)과 규모, 상세 주소, 관리책임자(구청.군청 실과), 관리업체 전화번호, 각종 변경사항을 아래와 같이 정리해서 공지했습니다.

○ 중구 : 중구청 여성보육과 032-760-7914
       시설관리업체 : ㈜새누 02)865-8384 / 1899-4711
  - 도원지하보도 4열18칸 인천광역시 중구 참외전로 지하244 (도원동)
  - 중구제1청 교통운수과 옆(구.인천중구청) 4열18칸 인천광역 중구 신포로 27번길 80 (관동1가) 
  - 중구제2청 해송관 옆(구.영종복합청사) 4열18칸 인천광역 중구 운남서로 100(운남동)
  - 이마트24 영종넙디점 앞 4열18칸 인천광역시 중구 넙디로 13(운서동)

● 동구 : 동구청 여성정책과 032-770-6493
       시설관리업체 : ㈜새누 02)865-8384 / 1899-4711
  - 송현3동 행정복지센터 6열2칸 인천광역시 동구 인중로 635-20
  - 송림 아뜨렛길 6열3칸 인천광역시 동구 송림로 지하 82-1
  - 만석동 행정복지센터 체력단련실 앞 6열3칸 인천광역시 동구 제물량로 394

☆ 미추홀구 : 미추홀구청 여성가족과 032-880-7396
       시설관리업체 : ㈜새누 02)865-8384 / 1899-4711
  - 염전골 마을센터 5열24칸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길파로 41번길 3 (주안동)
  - 숭의1·3동행정복지센터 4열18칸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석정로 92번길 21-17(숭의동)
  - 주안3동 행정복지센터 4열18칸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주승로  31번길 28-10(주안동)
  - 용현1·4동 행정복지센터  4열18칸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인주대로 198 (용현동)
  - 학익2동 행정복지센터 3열12칸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한나루로 444 (학익동)
  - 삼호어린이공원 옆 도로 4열18칸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소성로293번길 15 앞 도로
  -학산소극장 4열18칸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인하로 126 (용현동)

★ 연수구 : 연수구청 여성아동과 032-749-6735
  ▷ 시설관리업체 : ㈜새누 02)865-8384 / 1899-4711
      연수1동 행정복지센터 3열18칸 인천광역시 연수구 함박뫼로 127
      연수구보건소 3열18칸 인천광역시 연수구 함박뫼로 13
      연수도서관 3열18칸 인천광역시 연수구 함박뫼로 52번길  96
      함박종합사회복지관 4열19칸 인천광역시 연수구 함박안로 217

  ▶ 시설관리업체 : (주)이온누리 042-331-5136
      선학별빛도서관  2열10칸 인천광역시 연수구 넘말로 30
      한국전력남인천지사 버스정류장 2열10칸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학동 514-3도로 
      함박마을 좌측 입구 2열10칸 인천광역시 연수구 비류대로 461-2(연수동)
      길마산사거리 버스정류장 2열10칸 인천광역시 연수구 비류대로 555-2(선학동)
      송도역 맞은편 버스정류장 2열10칸 인천광역시 연수구 비류대로 212-2(옥련동)

◇ 남동구 : 남동구청 여성가족과 032-453-5863
    시설관리업체 : (주)이온누리 042-331-5136
  - 만수119안전센터  4열21칸 인천광역시 남동구 백범로 209
  - 간석3동 행정복지센터 4열21칸 인천광역시 남동구 용천로 186
  - 만수3동 행정복지센터 4열21칸 인천광역시 남동구 서판로 11
  - 도림 어울림센터  4열21칸 인천광역시 남동구 도림로 46
  - 구월4동행정복지센터 2열10칸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말로 7
  - 간석역 북광장사거리 2열10칸 인천광역시 남동구 석정로 523
  - 구월1동행정복지센터 2열10칸 인천광역시 남동구 독점로30번길 15
  - 간석1동 행정복지센터 2열10칸 인천광역시 남동구 구월로137번길 39
  - 남동구도시관리공단 2열10칸 인천광역시 남동구 만수로 19번길 10
  - 구월3동 행정복지센터 2열10칸 인천광역시 남동구 문화서로 84

◆ 부평구 : 부평구청 여성가족과 032-509-3973
    시설관리업체 : (주)이온누리 042-331-5136
  - 부개2동 행정복지센터 4열21칸 인천광역시 부평구 동수천로 104
  - 부평구 보건소별관 4열21칸 인천광역시 부평구 부흥로 287
  - 청천2동 행정복지센터 4열21칸 인천광역시 부평구 마장로 410번길 5
  - 부개1동 행정복지센터 4열21칸 인천광역시 부평구 동수로 162번길 11
  - 동암역 교통광장  2열10칸 인천광역시 부평구 열우물로 34
  - 십정1동 열우물 놀이공원 2열10칸 인천광역시 부평구 열우물로 101번길 13-2
  - 일신동 행정복지센터 2열10칸 인천광역시 부평구 경인로 1148번길 6
  - 백운역 남광장 2열10칸 인천광역시 부평구 마장로36번길 35
  - 금성아파트 앞(부평역 남부사거리 부근) 2열10칸 인천광역시 부평구 경인로962번길 16
  - 부평힘찬병원 앞  2열10칸 인천광역시 부평구 장제로 78-1
  - 갈산1동 행정복지센터 4열21칸 인천광역시 부평구 주부토로 254

□ 계양구 : 계양구청 여성보육과 032-450-5126
    시설관리업체 : (주)이온누리 042-331-5136
  - 효성체육문화센터 4열22칸 인천광역시 계양구 마장로  544번길 13
  - 계산2동 행정복지센터 4열22칸 인천광역시 계양구 주부토로 559
  - 작전2동 행정복지센터 4열22칸 인천광역시 계양구 봉오대로  677번길 23
  - 계양여성회관  4열22칸 인천광역시 계양구 봉오대로 628번길10
  - 계양3동 행정복지센터 4열22칸 인천광역시 계양구 양지로 31
  - 작전서운동 행정복지센터 3열17칸 인천광역시 계양구 효서로 361
  - 계양2동 행정복지센터 3열17칸 인천광역시 계양구 장제로 853
  - 효성1동 이촌경로당 2열11칸 인천광역시 계양구 봉오대로 531번길 27

■ 서구 : 서구청 가정보육과 032-560-5733
    시설관리업체 : (주) 위드락 1688-7125
  - 검암경서동 행정복지센터 4열25칸 인천광역시 서구 승학로 480
  - 간촌어린이공원 4열25칸 인천광역시 서구 간촌로 13
  - 석남1동 행정복지센터 4열25칸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로 294번길 17 
  - 가좌1동 행정복지센터 4열23칸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로 112-10
  - 천마산거북이마을 커뮤니티센터 4열23칸 인천광역시 서구 길주로 142-52
  - 검단2지구2호어린이공원 4열23칸 인천광역시 서구 완정로 45번길 3-2
  - 경서동 쑥공원 4열25칸 인천광역시 서구 경서동 745
  - 원당지구제4호공원 4열23칸 인천광역시 서구 원당동 805-3
  - 서구자원봉사센터 4열25칸 인천광역시 서구 도요지로202번길 6
  - 서구국민체육센터 4열23칸 인천광역시 서구 승학로 525
  - 대평공원 4열25칸 인천광역시 서구 대평로56번길 25-1

◎ 강화군 : 강화군청 사회복지과 032-930-3587
    시설관리업체 : ㈜새누 02)865-8384 / 1899-4711
  - 베이힐아파트 앞 자전거보관대 6열18칸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강화대로 234-12

출처 : 인천광역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