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종로구(구청장 김영종)는 2021 종로한복축제 전시 프로그램 ‘한복 업사이클링 작품전시회’ 우수 작품 기획전을 4월 18일까지 전통문화공간 '무계원'에서 개최합니다.

 

종로구청 홈페이지 www.jongno.go.kr/
 
‘업사이클링’이란 쓸모없거나 버려지는 물건에 디자인이나 활용도를 더하여 본래 물건의 가치를 높인 것으로, 작년(2020년)에 구에서는 쓰임새가 낮아진 한복을 기부 받아 예술가들의 손을 통해 재탄생한 작품으로 전시회를 개최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큰 호응을 얻은 바 있습니다.
 
이에 힘입어 구는 올해에도 종로구 예술가 11명(장미경, 서희성, 김난향, 김형미, 고민경, 한경숙, 윤명진, 송은영, 안희숙, 강성희, 홍영신)이 참여하여 기부 받은 한복을 이용한 다양한 퀼트 작품을 선보입니다.

이번 전시회에서는 지난해 10월 ‘한복 업사이클링 작품전시회’ 당시 관람객에게 많은 관심을 받은 우수 작품 68점과 종로구 예술가들이 새롭게 디자인한 작품 58점을 함께 감상할 수 있습니다.
 
관람료는 무료이며, 정기 휴관일인 월요일을 제외하고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관람할 수 있습니다.
 
한편 구에서는 오는 10월에 코로나19바이러스 유행 상황을 고려하여 온.오프라인 형식으로 종로한복축제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지난해에는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온라인 형식으로 진행하였습니다.
 
김영종 구청장은 “자칫 버려질 뻔한 한복을 예술가들을 통해 다양한 작품으로 만들어 활용하는 것은 어느 때보다도 친환경이 대두되는 시대에 아주 의미 있는 시도라고 생각한다.”면서 “이번 전시회를 통해 일상 속에서 한층 더 가까이 한복을 즐기고 한복의 새로운 가치를 재발견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한복을 느낄 수 있는 문화를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고 말했습니다.

출처 : 서울특별시 종로구

반응형
반응형

서울시는 코로나 19바이러스 장기 대유행으로 일시 중단했던 운현궁(사적 제257호)과 남산골한옥마을(서울시 민속문화재 소재)에서의 전통혼례를 다시 시작합니다.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실내 모임의 우려가 커졌지만 운현궁과 남산골한옥마을 전통혼례는 야외에서 진행되는 만큼 최소 보증인원 없이 비교적 안전하게 예식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입니다.

조선후기 왕실문화의 전당이자 고종과 민비(명성황후)의 가례가 치뤄졌던 ‘운현궁’에서는 평소 일반 관람객은 접근할 수 없는 내외부 공간을 두루 사용하여 혼례를 진행하기 때문에 한층 더 특별함을 맛볼 수 있습니다.

 
운현궁 노락당은 조선 고종이 즉위하기 전까지 살았던 곳으로, 1866년 명성황후가 삼간택 후 왕비로서의 수업을 받은 곳이자 고종과 명성황후의 가례가 치러진 곳이기에 전통혼례의 장소로서 더욱 의미 있는 공간입니다.

 

‘노락당과 하늘 사이가 한 자 다섯 치 밖에 안 된다’ 라는 옛말이 있을 정도로 큰 규모를 자랑하며 왕실의 품위를 보여주었던 특별한 공간입니다.

‘남산골한옥마을’은 남산자락의 고즈넉하고 푸르른 자연경관 아래에서 사대부가 전통혼례를 재현하며 두 사람이 하나의 인연으로 ‘처음’ 발을 내딛기 안성맞춤인 전통혼례 장소입니다.

 
예부터 대례(大禮)라 불렸을 만큼 중대하고 큰 의식이었던 혼례. 남산골한옥마을 전통혼례는 원삼과 활옷, 사모관대를 차려입고 백년해로를 기약하는 사대부가 혼례의 전통방식으로 치루어집니다.


인생의 중대사인 결혼을 남들과는 사뭇 다른 특별한 예식으로 계획하고 있다면, 서울을 대표하는 남산자락에서 이색적인 전통혼례를 치루는 것도 평생 잊지 못할 추억이 될 것입니다.

혼례의 주인공은 신혼부부뿐만 아니라 결혼 60년을 해로하고 긴 세월을 함께 살아온 부부의 장수를 기념하기 위한 ‘회혼례’ 속 노부부, 10년 주기의 결혼기념일마다 ‘리마인드 웨딩’을 꿈꾸는 중년부부, 단순한 전통혼례 체험을 원하는 연인들도 가능하니 차별화된 결혼식을 꿈꾼다면 운현궁과 남산골한옥마을의 전통혼례를 추천합니다.

전통혼례는 100여 년 전 사대부가 혼례 방식을 따라 올립니다.

 

신랑이 신부 집에 찾아가 신부의 주혼자에게 기러기를 바치는 전안례, 신랑과 신부가 서로 인사 교배례를 합니다.

이어서 하늘과 땅에 부부로서 맹세하는 서천지례, 서로에게 좋은 배우자가 될 것을 서약하는 서배우례가 이어집니다.

표주박에 담긴 예주를 마시면 근배례를 치루면 비로소 혼례가 성사됩니다.

기본 혼례사항은 혼례복 대여, 초례상 차림, 진행 인력으로 110만 원에 이용할 수 있으며, 남산골한옥마을은 혼례자 편의를 고려하여 사진 및 미용 등의 부가서비스도 폭넓게 제공하고 있고, 운현궁에서는 추가선택을 통해 축하공연 및 폐백실 이용도 가능합니다.

운현궁과 남산골한옥마을의 전통혼례는 4월~11월까지(7~8월 제외) 매주 주말에 가능하며, 자세한 사항은 운현궁 홈페이지(www.unhyeongung.or.kr/) 및 남산골한옥마을 홈페이지(www.hanokmaeul.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궁금한 사항은 운현궁(전화번호 02-766-9090) 및 남산골한옥마을(전화번호 02-2263-0854)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 : 서울특별시

반응형
반응형

서울 중구(구청장 서양호) '을지 유니크 팩토리(Eulji Unique Factory)'가 더 많은 주민이 체험하고 즐길 수 있도록 시설 이용시간을 평일 저녁 및 주말 시간대로 확대하여 운영합니다.

을지유니크팩토리는 을지트윈타워(주소 : 서울 중구 을지로 170) 지하 2층에 645평방미터(㎡; 구. 195평) 규모로 조성된 중구의 창업 인큐베이터 및 메이커 스페이스(Makespace, 열린제작실)입니다.

 

이곳은 인쇄·영상 인력을 양성하고 창업 인큐베이팅, 시제품 제작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시설 등 제반사항은 구청에서, 운영 전반은 동국대학교 창업원이 맡았습니다.

을지로 일대에 집적된 도심제조업과 크리에이터들의 역량을 결합, 4차 산업시대에 걸맞은 창업생태계를 조성하고 도심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자 창업자들의 시제품을 만들어 볼 수 있는 제작실 6개소와 47종의 장비, 교육실, XR랩 등을 갖추고 2020년 10월에 개관하였습니다.

이용시간은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7시까지, 토·일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다.

사전 예약제로, 팩토리 공식 홈페이지(euf.or.kr/) 또는 전화(070-4266-5500)로 예약  후 이용 가능합니다.

 

교육실, VFX(시각적 특수효과) 워크숍 등은 평일 뿐 만 아니라 주말에도 무료로 대관할 수 있으며, 소그룹 모임이나 동아리 활동이 가능합니다.

누구나 이용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이 가득합니다.

먼저 4차 산업을 경험할 수 있는 시제품 제작실은 돌잔치 현수막과 커플 티셔츠를 만들 수 있는 디지털 프린팅 룸, 가게의 브랜드(상표)를 새길 수 있는 레이저 워크숍 룸, 주얼리(보석.장신구)와 인공관절까지 만들 수 있는 3D 프린팅 워크룸,  영화에 나오는 특수효과를 만들어 감상하는 VFX 워크숍과 XR랩, 사물인터넷을 체험할 수 있는 IOT 워크룸이 있습니다.

또한, 평소 체험하기 힘든 도심산업과 4차 산업 관련 진로체험 프로그램을 관내 초·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하여 관련 직업군 소개 및 장비를 활용한 체험활동 및 키트 제작을 진행합니다.

그 밖에도 도심산업 관련 작품, 창업기업 시제품, 청년예술인 작품 등을 정기적으로 전시합니다. 

앞으로 일반주민 또는 학부모, 학생을 대상으로 주민체험단을 꾸려 '을지로 여행'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선보일 예정입니다.

아울러 온라인상 VR과 같은 실감기술로 공간·장비·전시작품 등을 영상화하여 을지유니크팩토리를 실감나게 구현하는 트윈스페이스(가상공간)를 올해(2021년) 하반기 구축해 주민 접근성을 높일 예정입니다.

서양호 중구청장은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도심산업과 4차 산업을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다"며 "많은 주민들이 을지유니크팩토리에서 VR, 3D 프린팅 등 특별한 경험을 즐길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출처 : 서울특별시 중구

반응형
반응형

서울시가 코로나19바이러스 감염 위험 해소와 시민 이동 편의 증진을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로 시행되고 있는 시내버스 평일 야간 (22시 이후~)감축 운행을 정상화 합니다.

시는 2021년 4월 5일(월)부터 시내버스 혼잡도에 따라 선별적으로 평일 야간 시간(22시 이후~)의 정상 운행을 시행하며, 혼잡도 개선 및 승객 증가에 따른 이동 수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서울대중교통 버스정보시스템 홈페이지 bus.go.kr/

그 동안은 야간 통행량 감소를 통한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지난 2020년 11월 24일(화)부터 평일 22시(오후10시) 시내버스 운행을 최대 20퍼센트(%)까지 감축 운영하여 왔으며, 코로나19 확산시기·계절적·시기적 요인 등도 세심하게 고려해 강화된 방역, 대응을 실시하여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3월부터는 영업제한 완화 등으로 인해 평일 심야시간대의 일부 노선의 이용객수 및 혼잡도가 증가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 감축운행하고 있는 서울 시내버스 356개 노선 중 '22시 이후 차내 혼잡도 80% 이상이 1주간 3일 이상 발생'하는 71개 노선에 대해 선별적, 순차적으로 운행 정상화를 시행합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적용으로 30% 감축 운행이 시행되었던 시기와 비교해, 2단계 적용 시기의 22시 이후 평일 심야시간대 평균 이용객과 혼잡도는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운행 정상화 기준은 감축운행 시간대 혼잡율이 80%(승객 36명) 이상이며, 혼잡이 1주간 3일 이상 발생했을 경우입니다.

시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해 혼잡이 발생하는 노선에 대한 선별적, 순차적인 운행 정상화를 검토할 예정입니다.

 

또한 서울시의 대표적 수요대응형 대중교통 서비스인 올빼미버스, 다람쥐 버스 운행을 통하여 심야시간 및 출근시간 이동을 적극 지원합니다.

노병춘 서울시 버스정책과장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조정과 경제 활동 정상화로 시내버스의 평일 야간 이용객도 점차 증가 추세로 이어지고 있는 만큼,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시민 이동 편의 증진을 위해 운행을 정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여전히 조기 귀가, 불요불급한 이동 자제 등 방역 지침에 대한 협조가 필요하므로,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습니다.

○ 평일 야간 정상 운행 대상 버스노선표

 

혼잡도 80%이상 3일

(26개노선)

혼잡도 80%이상 4일

(18개노선)

혼잡도 80%이상 5일

(27개노선)

1014번

1132번

1142번

102번

1167번

1154번

110A번 고려대

145번

1155번

1141번

3012번

1224번

1162번

320번

152번

142번

3313번

160번

2112번

5413번

2415번

2115번

5522A번 난곡

301번

2412번

5522B번 호암

3417번

2413번

571번

3425번

272번

641번

360번

3216번

643번

402번

3315번

6514번

420번

340번

6515번

421번

4319번

6627번

4212번

4412번

753번

461번

472번

7720번

501번

5513번

774번

5515번

5627번

 

5617번

603번

 

5621번

604번

 

6513번

654번

 

6628번

6640B번

 

6635번

6716번

 

6638번

7715번

 

702A번 서오릉

773번

 

7612번

 

 

7734번


출처 : 서울특별시

반응형
반응형

서울시설공단(이사장 조성일)은 광진구 능동 서울어린이대공원 내에 위치한 놀이동산을 2021년 4월 1일(목)부터 재개장한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시설공단 홈페이지 www.sisul.or.kr/


공단은 지난해에 일부 노후된 놀이시설물을 철거하고, 올해 초 공개경쟁입찰을 통해 새 운영사를 선정하였습니다.


이후 공단은 새 운영사와 합동으로 놀이기구 시운전과 안전점검을 수행하여 왔고, 최근 전문기관으로부터 안전성을 검증 받았습니다.

놀이동산의 운영시간은 종전과 동일하게 평일 10시~18시, 주말 및 공휴일은 10시~19시 30분까지 운영합니다.


인기 기종인 패밀리코스타, 슈퍼바이킹, 드롭타워를 비롯한 기존 14종의 놀이기구를 중심으로 1일 3회 이용권을 신설하여 이용 시민의 선택 폭도 넓혔습니다.


단, 후룸라이드는 계절적 요인과 부품 정비 기간을 고려하여 오는 5월부터 운영할 예정입니다.

정식개장에 앞서 2021년 3월 29일(월) 임시개장을 통하여 방역대책 작동 여부와 시민 서비스를 꼼꼼히 살펴 볼 예정입니다.

 

놀이동산 정문을 통해서만 입장이 가능하고, 거리두기를 위하여 동시 입장객을 2,000명 이내로 제한합니다.


또한, 입장객 전원에 대하여 체온을 측정하며,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을 경우 입장을 금지합니다.


공단은 새 운영사와 협의하여 동시 입장객 초과, 방역대책 미준수 등 사전 운영중단 기준도 마련하였습니다.


새 운영사측은 2021년 3월 29일(월) ~ 3월 31일(수) 기간 중에는 매표나 식음료점 이용이 다소 원활하지 않을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요금 할인도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시설공단 조성일 이사장은 “철저한 방역 하에 개장하는 만큼 시민의 안전을 위하여 방역에 협조하여 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말했습니다.

○ 서울어린이대공원 놀이동산 안내도 


○ 각종 시설 요금표 (단위 : 원)

 

구분

이용요금

비고

종일권

어른

27,000

-

청소년

23,000

-

어린이

23,000

-

5회

이용권

어른

19,000

-

청소년

16,000

-

어린이

16,000

-

3회

이용권

어른

11,000

 

(신설)

 

청소년

11,000

어린이

9,000

1회

이용권

어른

5,000

-

청소년

4,000

-

어린이

3,500

 

 ※ 놀이기구 이용요금 이외에 입장요금은 없음

 

○ 놀이시설 현황표

 

연번

기종 명

이용 대상

비고

1

패밀리코스타

키 130cm 이상

 

2

드롭타워

키 130cm 이상

 

3

회전그네

키 125cm 이상

 

4

슈퍼점프

키 130cm 이상

 

5

후룸라이드

키 110cm 이상

2021년 5월 경 운행 예정

6

슈퍼바이킹

키 110cm 이상

 

7

매직스윙

키 120cm 이상

 

8

개구리점프

키 90cm + 36개월 이상

 

9

스윙베어

유아

 

10

범퍼카

키 120cm 이상

 

11

회전목마

키 130cm 이상

 

12

스윙거

키 90cm + 36개월 이상

 

13

회전컵

유아

 

14

디노기차

유아

 


출처 : 서울특별시

반응형
반응형

서울대공원은 블로그, 유튜브, 웹툰 등 다양한 분야의 재능을 가진 20인을 2021년 서울대공원 기자단으로 선발하여 운영할 계획입니다.

 

컨텐츠 작성에 자신이 있고 동·식물에 관심이 있다면 누구나 지원 가능하며 4월 12일까지 모집합니다.

 

코로나 장기화로 인해 우울감을 느끼기 쉬운 요즘, 서울대공원의 다양한 소식과 숨은 이야기들을 더욱 친근하게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기자단은 본인의 블로그를 운영중이거나 컨텐츠 작성, 웹툰 등 서울대공원 홍보 가능한 재능이 있다면 지원할 수 있습니다.

 

또 직접 방문하여 취재할 수 있어야하기 때문에 월 1회 이상 서울대공원 방문이 가능하여야 합니다.

취재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콘텐츠를 작성해야 하며 무엇보다 성실한 활동이 필요합니다.

서울대공원 기자단으로 선발이 되면 2021년 4월부터 11월까지 활동하게 되고 종료 후에는 수료증이 수여됩니다.

 

기자단 활동 중에는 서울대공원을 무료입장할 수 있으며 다양한 행사에 우선 초청되거나, 컨텐츠를 미리 경험할 수 있습니다.

 

박제사, 사육사 등 다양한 직업과 동·식물을 취재할 수 있으며 취재 내용에 따라 그에 맞춰 다양한 교육도 함께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또한, 서울대공원 홍보팀장에게 직접 컨텐츠 홍보와 보도자료 작성에 대한 교육도 받을 수 있습니다.

홍보 실무에 대해서도 미리 체험해볼 수 있어 기자나 홍보 업무를 꿈꾸는 이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서울대공원 기자단 신청을 원한다면 서울대공원 공식 블로그(blog.naver.com/finezoos/222283670991) 에서 구글폼(forms.gle/pba8kVtW2Gjm1xCj9)을 통해  4월 12일(월)까지 신청하면 됩니다.

서울대공원 홍보팀은 “언론보도와 뉴미디어,유튜브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활발한 홍보를 하고 있으며, 올해에는 온라인으로 더 친근하고 다양한 소식을 알릴 수 있도록 기자를 꿈꾸거나 홍보에 관심이 많은 이들을 기자단으로 선발한다.”고 말하며 “서울대공원 기자단 활동을 통해 자연속의 힐링과 서울대공원만의 다양한 이야기들을 더 많은 시민에게 전하며 체계적인 글쓰기와 홍보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는 의미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출처 : 서울특별시

반응형
반응형

서울시특별시 한강사업본부는 식목월(月)인 2021년 4월을 맞이하여, 천만 시민의 휴식공간인 한강공원에 시민이 직접 나무를 심는 '나무 심으러 한강 가요'캠페인을 진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캠페인은 한강의 자연성을 회복하기 위해 2014년부터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온 ‘시민참여 한강숲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해(2020년)까지는 단체 위주로 진행하였으나, 올해는 개인․소수의 단체도 참여할 수 있게 대상을 확대하였습니다.


'2030 한강자연성 회복 기본계획'에 따라 2014년부터 추진 중인 ‘시민참여 한강숲 사업’을 통하여 현재까지 총 21개 단체에서 20,591명이, 10개 한강공원에 나무 157,498그루를 심었습니다.


또한, 나무를 심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숲 가꾸기 활동을 독려하여 일회성 행사가 아닌 지속가능한 사업으로 추진하여 오고 있습니다.

나무 심기는 누구나 신청을 통해 참여할 수 있으며, 2021년 4월부터 11월까지, 매주 목(木)요일(희망 시 휴일도 가능) 뚝섬·여의도·이촌·잠실한강공원의 지정구역에서 진행합니다.


단, 7~8월은 혹서기로 나무가 뿌리 내리고 자라는데 어려움이 있어 나무 심기를 잠시 중단합니다.


나무를 심을 수 있는 구역은 뚝섬한강공원 영동대교 북단 인근, 여의도한강공원 여의교 인근, 이촌한강공원 한강철교 인근, 잠실한강공원 어도 인근에 마련하였습니다.

희망 공원과 날짜 등을 작성하여 신청하면, 참여 대상자는 적합한 수종과 구매․식재방법을 안내받을 수 있으며, 활동 당일에는 삽․물조리개 등 도구도 지원할 예정입니다.


참가신청 및 기타 자세한 내용은 서울시 한강사업본부 누리집(hangang.seoul.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활동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따라 단체 인원을 제한하는 등 탄력적으로 운영할 계획입니다.

김상국 한강사업본부 공원부장은 “한강에 직접 나무를 심으며 자연의 소중함을 느끼고 특별한 추억을 쌓을 수 있기를 바란다”며, “‘한 사람의 한 그루 나무 심기가 한강을 더욱 푸르게 만든다’는 취지의 이번 나무 심기 활동에 시민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습니다.


출처 : 서울특별시

반응형
반응형

서울시가 역세권 청년주택을 타 지역 대학생들에게 공급하는 ‘기숙사형 역세권 청년주택’이 문을 열었습니다.

연세대, 이화여대, 홍익대, 서강대 등 다수의 대학이 인접한 마포구 창전동에 들어선 ‘마포공공기숙사’입니다(구. 이랜드 신촌 본사 건물터에 신축).

○ 위치.주소 : 서울 마포구 서강로 75-16 (창전동 19-8) 이랜드 피어(PEER) 신촌아파트

서울시가 역점사업으로 추진 중인 역세권 청년주택 중 공공임대 물량 전체를 공공기숙사로 공급하는 첫 사례입니다.
 
‘역세권 청년주택’은 서울시가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완화, 절차 간소화, 건설자금 지원 등을 제공하면 민간사업자가 대중교통이 편리한 역세권에 주거면적 100퍼센트(%)를 임대주택(공공‧민간)으로 지어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에게 우선 공급하는 주거사업입니다.

서울시는 속초시, 창녕군 등 시와 협약을 체결한 9개 지방자치단체(지자체) 출신 대학생 총 120명이 2021년 3월 7일(일) 입주를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보증금과 월세 부담 없이 월 약 10만원의 관리비만 부담합니다. 

서울시는 지난 2017년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하였고, 공공기숙사에 참여를 희망하는 9개 지자체와 4년여에 걸쳐 협약을 맺었습니다.

 

참여한 9개 지방자치단체는 강원 철원군, 강원 삼척시, 강원 속초시, 강원 인제군, 강원 정선군, 강원 평창군, 경북 고령군, 경북 상주시, 경남 창녕군입니다. 

 

시와 참여 지자체는 협의회를 구성하여 임대료 등 기숙사 운영방안을 마련했습니다.

 

입주자는 각 지자체별 공모를 통해 선정하였습니다. 

서울시가 청년주택의 일부를 공공기숙사로 제공하고 참여 지자체는 기숙사 운영비(연 100만원/실)와 임대보증금(3,324만원/실)을 부담해 대학생들의 주거비를 경감하는 방식입니다. 

시는 가용택지 부족과 지역 주민들의 반대 등으로 건설형 기숙사 공급이 정체된 가운데 대중교통 중심인 역세권에 대학생들이 저렴한 비용에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도록 이번 사업을 추진했다고 취지를 밝혔습니다.

‘마포공공기숙사’는 광흥창역(6호선)과 서강대역(경의중앙선) 인근에 지상2층~지상7층 규모로 지었습니다.

(지하5층~지상16층 규모의 창전동 역세권청년주택 총 681실 중 공공임대 물량 120실 활용)

 

청년 전용 거주공간인 만큼 개인 사생활을 보장하고 다양한 공동이용시설을 갖춰 ‘청년 맞춤형 주거 플랫폼’으로 운영하여 나아갈 계획입니다. 

구조는 2명이 한 개의 호(방 2개)를 함께 사용하는 공유(셰어)형입니다.

‘1인 1방’의 개별 공간이 갖추어져 있어 개인별 사생활이 보장됩니다.

실내에는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붙박이 옷장 등이 기본 제공됩니다. 

 

건물 내부엔 입주 학생들이 멀리 나가지 않아도 취미활동이나 학업활동을 할 수 있도록 북카페, 체력단련실, 공동세탁실, 게스트하우스 같은 다양한 공동이용시설도 갖추고 있습니다.

입주자 이00 학생은 “지방에서 서울로 와 원룸에서 자취할 생각을 하다가 마포공공기숙사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 서울생활의 가장 큰 부담인 주거비를 경감하게 돼 기쁘다.”고 말하였습니다.

 

또, 김00 학생은 “이곳이 학교 기숙사보다 임대료가 훨씬 저렴하고 학교에서도 가까워서 신청하게 됐다. 2인 기숙사지만 각자 방이 따로 있어서 생활하기 편리하다”면서 만족하고 있다고 전하였습니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건축본부장은 “기숙사형 역세권 청년주택은 서울의 주거난으로 힘들어하는 타 지역 출신 대학생들의 주거 부담을 크게 낮추고, 대중교통이 편리한 역세권에서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새로운 시도”라며 “이번 1호 ‘마포공공기숙사’를 시작으로 역세권 청년주택을 활용한 공공기숙사를 점차 확대하겠다. 대학생들이 부담가능한 양질의 주거공간을 공급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 마포공공기숙사 조감도


출처 : 서울특별시

반응형
반응형

덕수궁 뒤편 미대사관저 인근 ‘덕수궁길’은 도심 속에서 고즈넉한 돌담길의 정취를 느끼며 느긋한 산책을 즐길 수 있어 관광객과 근처 직장인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덕수초등학교와 교회도 있어 평상시에도 유동인구가 많습니다.

 

그러나 보행로가 협소해서 걷기 불편하고, 많은 사람이 몰릴 땐 차도까지 내려와 걷는 경우도 있어 보행자 안전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서울시는 ‘덕수궁길’을 근대사의 다양한 흔적이 깃든 정동의 역사성을 살리면서 안전하고 걷기 편한 탐방로로 정비한다고 밝혔습니다.

 

덕수궁 후문 ‘고종의 길’ 입구에서 시작해 덕수초등학교 앞 원형로터리를 지나 동화면세점 앞 삼거리까지 이어지는 총 320미터(m) 구간입니다.

 

2021년 3월 15일 착공하여 오는 6월 완공이 목표입니다. 

이 구간은 서울시가 '정동 일대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으로 조성 중인 '정동 근대역사길(총연장 2.6km)' 5개 구간(코스) 중 제2코스(옛 덕수궁역: 구 러시아공사관~동화면세점 앞)의 일부 구간입니다.

 
서울시는 대한제국에서 대한민국으로 이어지는 근대 한국의 역사를 간직한 원공간인 정동과 덕수궁 일대 약 60만 평방미터(㎡)의 역사적‧장소적 가치 회복을 위한 '정동 일대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동 근대역사길’은 구 러시아공사관, 정동교회, 배제학당, 환구단 등 정동 내 대표적인 근대역사유산과 옛 길을 아우르는 총연장 2.6km의 역사보행탐방로입니다.

5개 경로로 구성되며, 모두 걸으면 약 2시간이 걸립니다.

일제가 훼손한 덕수궁 선원전(조선시대 임금의 초상화(어진)를 봉안하던 곳)이 있던 곳이자 지난 2018년 60년 만에 완전히 연결된 ‘덕수궁돌담길’과 문화재청이 복원한 ‘고종의 길’과도 인접해 있어 이 일대 산재된 역사자원과의 연결성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덕수궁길 정비 구간(고종의길~덕수초 앞 원형로터리~동화면세점 앞 삼거리)


정비는 크게 덕수궁길 구간(고종의길~덕수초등학교 앞 원형로터리, 연장 240m)과 동쪽으로 이어지는 새문안로2길 구간(덕수초등학교 앞 원형로터리~동화면세점 앞, 연장 80m) 2개로 나누어 추진합니다.

좁고 불편한 보행환경을 물리적으로 개선하는 동시에 지역의 정체성을 담아내기 위한 노력을 병행합니다. 

덕수궁길 구간은 관광객, 직장인, 덕수초등학교 학생 등이 집중되는 주요 보행로인 만큼, 보행 편의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불편하고 노후한 보행환경 개선에 중점을 둡니다. 

폭이 2m에 불과해 협소한 양측보도를 편측보도로 조성하고, 보도 폭을 최대 4.4m까지 2배로 확장(폭 2m→3.7~4.4m)합니다.

보행자 안전펜스를 설치하고, 덕수초등학교의 담장경관을 개선해 걷기 편안하고 안전한 쾌적한 거리로 새 단장합니다. 

 

이 구간은 기존 양측 보행로가 협소해 보행통행에 장애가 많고 덕수초가 위치하고 있어 어린이 통학로 안전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했던 곳입니다.

 

시는 일방통행 도로인 점을 고려해 기존 선원전 측 보도를 철거하고 덕수초측 편측보도를 확대 조성해 보행 편의성과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습니다. 

또, ‘정동 근대역사길’ 탐방로의 분위기를 살릴 수 있도록 차분한 색채의 보도포장재(포천석)를 사용하고, 덕수초등학교 탐방로변 담장에는 인접한 구세군 역사박물관의 벽돌 색상 타일을 사용해 통일감을 줄 예정입니다. 

새문안로2길은 도로 다이어트를 통해 기존 보도 폭을 6m까지 확장(폭 3.3m→폭 6m)합니다.

공원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덕수 소공원’에는 가로수를 심고 휴게공간을 만듭니다.

이곳에 ‘정동 근대역사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도록 안내판도 설치합니다. 

서울시는 공사구간에 교회와 초등학교가 있고 평소에도 보행로를 이용하는 시민이 많은 만큼 공사기간을 최대한 단축할 계획입니다.

 

또, 공사로 인한 안전 및 교통혼잡 최소화를 위해 보행안전 도우미를 곳곳에 배치하고 교통안내 표지판을 통해 공사진행 상황을 사전에 안내할 예정입니다.

양용택 서울시 재생정책기획관은 “덕수궁길을 정비해 시민 누구나 안전하고 편안하게 걸으면서 정동이 지닌 역사의 숨결을 느끼고 근대 역사문화자원들을 향유할 수 있는 명소로 만들어가겠다”며 “공사기간 중에는 공사장 주변의 교통혼잡과 보행불편이 예상되는 만큼 우회경로를 활용하는 등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습니다. 

☆ 참고 : 정동 근대역사길 5개 구간(코스) 지도


출처 : 서울특별시

반응형
반응형

새학기가 시작되는 2021년 3월 8일.
 맞벌이 부부나 한부모 가정 등의 초등학생 자녀 방과 후, 방학, 휴일 ‘틈새보육’을 메우기 위한 보편적 초등돌봄시설인 서울시 ‘우리동네키움센터’ 150호점이 관악구에 개소하면서 서울시 전체 자치구에서 키움센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날 관악 2호점, 은평 4호~7호점 등 5개소도 함께 문을 열어 우리동네키움센터는 총 154개소로 늘었습니다.

지역사회 돌봄 기관의 거점(허브) 역할까지 하는 ‘거점형 우리동네키움센터’ 2호도 동작구 '스페이스 살림(서울지하철 1호선 대방역 직결)' 내에 문을 열고, 2021년 3월부터 단계별 프로그램 운영에 들어갑니다.
 
거점형은 기존 초등돌봄시설보다 더 넓고 좋은 공간에서 ‘문화‧예술‧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권역별 키움센터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돌봄 기관을 통합 지원하는 지역대표형으로 조성되었습니다.
   
지난해(2020년) 10월, 서울시 최초 아난딸로형 초등돌봄 특화모델인 ‘제1호 거점형 키움센터(노원구)’가 시범 운영을 시작한 이후 두 번째 개소입니다.

서울시는 2019년 본격 시작한 우리동네키움센터가 빠르고 촘촘하게 확장되면서 마을 돌봄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며, 올 연말까지 총 254개소까지 확충한다는 계획입니다.
 
키움센터는 거점형 뿐만 아니라 규모 및 성격에 따라 일반·융합형 키움센터가 있습니다.

일반형 키움센터는 소규모(66평방미터(㎡) 이상)로 집 학교에서 걸어서 10분 거리에서 방과 후 틈새 돌봄을 책임집니다.

융합형은 중규모(210㎡ 이상)으로 일반형과 돌봄 역할 수행은 동일하나, 마을돌봄 자원 연계 등 역할이 추가됩니다.

특히, 코로나19로 입소문이 나면서 키움센터의 인기가 매우 높아지고 있는 것도 확충에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키움센터 돌봄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 90.6%가 만족하고, 학부모의 81.2%가 경제 활동 참여에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습니다.   

시는 올해는 돌봄 수요 반영과 자치구별 균형 있는 설치를 목표로 5개소 미만 설치 구에 우선 물량 배치하고, 철저한 공정 관리로 기존 확정된 키움센터를 빠르게 개소한다는 계획입니다.

밀집도를 완화하고, 아동의 놀이와 쉴 수 있는 충분한 공간 확보를 위해 일반형 키움센터의 최소 설치 면적을 기존 66㎡(아동 1인당 3.3㎡이상)에서 80㎡(아동 1인당 4㎡이상)로 확대합니다.

아울러 우리동네키움센터의 운영 내실화도 중점 추진합니다.

코로나 블루, 온라인 수업 등으로 지친 아이들이 쉬고 놀 수 있도록 놀이 중심의 활동 콘텐츠(PBL, Project Based Learning) 매뉴얼을 현장에 안착시킵니다.
 
예를 들어, 구로구 9호점에서는 요가 프로그램, 과학 T로보 활동, 연극 연습, 컵타 음악 활동 등 다양한 문·예·체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함께 운영되는 거점형 2호는 여성의 창업 지원을 위해 조성한 스페이스 살림 내 지상 1,2층(면적 596㎡) 규모로 조성되어 일과 돌봄을 병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1층 활동실은 아이들이 다양한 신체 활동을 할 수 있는 4개의 공간(꿈키움, 상상키움, 활기찬, 마당)으로 꾸몄습니다.
 창작실(창작스튜디오, 창의메이커실)에서는 문화예술 체험활동 및 PBL활동 등을 다양하게 체험할 수 있습니다. 스페이스 살림과 연계한 4차 산업 교육 등 다양한 특화 프로그램도 운영할 계획입니다. 

2층 상담실(이야기방, 마음튼튼방)에서는 코로나 블루 등으로 지친 아이들의 마음을 치유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지난 1월 코로나19가 수도권에 광범위하게 확산되면서 시범으로 긴급 돌봄과 비대면 프로그램만으로 운영을 시작했고, 새 학기가 시작되는 3월부터는 철저한 방역지침 준수 하에 소규모 대면 프로그램 운영을 시작하는 등 상황에 맞게 단계별로 확대해나갈 계획입니다.

특히, 코로나19 장기화로 지친 아동들을 위한 집단 마음 치유프로젝트 '맛있는 힐링! 행복한 소통!'등 심리·정서 지원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진행합니다.

키움센터를 이용하려면 우리동네키움포털 홈페이지(icare.seoul.go.kr/)에서 예약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입소 서류 100% 온라인 접수 등 우리동네키움포털 개선으로 온라인 이용 편의성을 높일 계획입니다.
 
홈페이지 회원가입 후 예약 및 이용 신청서를 작성하면 됩니다.

현재 일부 센터별로 대기아동이 있는 곳이 있는 만큼, 직접 센터에 전화로 이용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송다영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새학기 시작과 함께 우리동네키움센터를 25개 모든 자치구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더욱 촘촘한 초등돌봄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며, “키움센터 뿐만 아니라 지역아동센터 법인화를 통한 공공성 강화, 아이돌보미 서비스 질 향상을 통한 가정돌봄 부담 완화, 열린육아방 확충 등 다양한 돌봄 지원으로 서울시에서는 더 이상 맞벌이부부가 아이 맡길 곳이 없어 고민하는 일은 없도록 더욱 힘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서울시 전체 우리동네키움센터 운영 현황 (2021년 3월 8일 기준)

 

연번

자치구

행 정 동

시 설 명

주소

정원

연락처
전화번호(02)

개소일

1

종로구

(4) 

청운효자동

종로1호점

 필운대로 86

20

 739-6704

‘20.3.

2

부암동

종로2호점

 세검정로  259

20

 394-1028

‘20.11.

3

혜화동

종로3호점

혜화로 3

20

743-5515

‘21.1

4

숭인1동

(융합형)

종로4호점

지봉로 12길  16

30

742-6699

‘20.12.

 

5

중구

(6)

신당동

중구1호점

 다산로 29길 10

28

2231-3019

‘19.11.

6

중림동 

중구2호점

서소문로 6길 16

36

362-8788

‘19.12.

7

중림동

중구3호점 

봉래초등학교 본관3층으로 임시 이전(기존:손기정로 101)

34

362-9854

‘19.12.

8

약수동

중구4호점

동호로 5길 19

81

070-4261-8910

‘20.3.

9

신당5동

중구5호점

다산로 44길 85

30

070-4420-8290

‘20.5.

10

다산동

중구6호점

동호로11길 22, 5층

17

070-4353-3005

‘21.1.

 

11

용산구

(8)

원효1동

용산1호점

 원효로64길 25

25

713-1024

‘19.12.

12

이촌2동

용산2호점

이촌로 2가길 75

20

713-0019

‘19.12.

13

한남동 

용산3호점

 이태원로 36길 7

20

749-0025

‘19.12.

14

청파동

용산4호점

효창원로 160

40

704-2112

‘19.12.

15

원효2동

용산5호점

효창원로 39

20

717-1112

‘20.7.

16

한강로동

용산6호점

서빙고로 17

40

2199-7022

‘20.10.

17

서빙고동

용산7호점

서빙고로 279

30

790-6665

‘21.1

18

이태원1,2동

용산8호점

 녹사평대로40나길 37,B1

20

792-9229

‘20.12.

 

19

성동구

(11)

 

왕십리
제2동

성동1호점

 무학봉길 35

20

2292-7722

’19.3.

20

왕십리도선동

성동2호점

 마장로 141

15

2286-7215

’19.7.

21

마장동

성동3호점

 마장로 39길 33

27

2297-9783

’19.8.

22

응봉동

성동4호점

 독서당로 381

20

2297-9736

’19.8.

23

성수1가1동

성동5호점

 뚝섬로 1길 43

23

463-6669

’19.10.

24

성수1가2동

성동6호점

 상원길 63 쌍용아파트

 105동 101호

15

3409-5529

’19.10.

25

옥수동

성동7호점

 한림말길 16-5

20

2297-9450

‘19.12.

26

마장동

성동8호점 

 청계천로 506

20

6015-0048

‘19.12.

27

사근동

성동9호점

 사근동길 37

15

2286-7278

‘20.2.

28

금호4가동

성동10호점

 독서당로 272

20

2281-2234

‘20.2.

29

금호1가동

성동11호점

행당로 6

20

2297-9717

‘21.1

 

30

광진구

(7)

자양3동

광진1호점

 자양번영로35 

20

458-0612

’19.8.

31

자양2동

광진2호점

 자양로3가길 28

20

3437-9439

‘20.5.

32

자양1동

(융합형)

광진3호점

자양로 71-7

30

3437-2876

‘20.11.

33

광장동

광진4호점

아차산로 66길  8, 3층

18

2201-8020

‘20.12.

34

중곡1동

광진5호점

능동로 347, 2층

23

6951-0405

‘20.12.

35

중곡2동

광진6호점

능동로 338, 2층

29

455-7990

‘20.12.

36

구의3동

광진7호점

구의강변로 79, 2층

20

6956-5078

‘20.12.

 

37

동대문구

(3)

용신동

동대문1호점

 무학로 133

30

926-5616

’19.7.

38

장안동

동대문2호점

 답십리로 63길 73

20

6368-5503

’19.8.

39

전농2동

동대문3호점

전농로16길  15

20

2216-7731

‘20.12.

 

40

중랑구

(2)

신내1동

중랑1호점

 신내역로 1길 145

22

435-2157

‘20.2.

41

묵1동

중랑2호점

신내로25가길 2

26

972-6633

‘21.2

 

42

성북구

(5)

장위1동

성북1호점

 돌곶이로 37길 32-4

29

912-3233

’18.6.

43

석관동

(융합형)

성북2호점

화랑로214

42

968-0813

‘20.12.

44

장위2동

성북4호점

장위로40다길 10

41

942-8889

‘21.3.

45

길음2동

성북8호점

숭인로 50, 래미안센터피스

26

985-1388

‘21.3.

46

정릉4동

성북9호점

보국문로16길 2, 2층

29

909-1050

‘21.3.

 

47

도봉구

(3)

도봉1동

도봉2호점

도봉로 175길 10

20

3492-6161

‘19.10.

48

창1동

도봉3호점

마들로 859-19

20

954-2801

‘20.5.

49

도봉2동

도봉4호점

해등로 50

20

997-5474

‘20.5.

 

50

강북구

(2) 

수유2동

(융합형)

강북1호점

삼양로136길 30, 2~3층

30

993-1318

‘20.11.

51

인수동

강북2호점

인수봉로48길  11-3, 1층

20

903-1388

‘20.12

 

52

 

 

 

 

 

 

 

 

노원구

(24)

월계동

노원1호점

 월계로 42길 9

20

909-3273

’18.7.

53

상계8동

노원2호점

노원로 564 1021동 104호

20

070-

4245-1172

’19.1.

54

상계5동

노원3호점

 한글비석로 49길 36

28

931-8437

’19.1.

55

월계1동

노원4호점

 광운로 13길 9

20

943-0045

’19.4.

56

상계6▪7동

노원5호점

 동일로 215길 48

23

930-8669

’19.5.

57

공릉2동

노원6호점

 공릉로 34길 62

 태강 1002동 101호

20

948-9084

’19.6.

58

하계2동

노원7호점

 섬밭로 229

 극동아파트 3동 111호

25

3296-6412

’19.7.

59

월계3동

노원8호점

 마들로 31

 월계그랑빌 115-104

24

972-1252

’19.7.

60

상계10동 

노원9호점

 동일로 1456

 주공 718-0106

20

6227-0101

’19.9.

61

공릉1동 

노원10호점

 섬밭로 123 관리동 2층

23

979-5650

’19.10.

62

중계본동

노원11호점

 중계로 14바길 43

35

3392-5481

‘19.11.

63

상계1동

노원12호점

동일로 245길  162

21

939-1918

‘19.12.

64

월계2동 

노원13호점

덕릉로 60길 266

28

994-7177

‘19.12.

65

상계8동

노원14호점

 동일로 227길 26

28

932-1510

‘20.1.

66

상계3,4동

노원15호점 

 덕릉로 780

32

951-1102

‘20.1.

67

상계5동

노원16호점

 한글비석로 426-12

25

935-1110

‘20.3.

68

상계 6,7동

(상계6단지)

노원17호점

 노원구 노해로 508

35

939-8015

‘20.5.

69

상계6.7동

노원18호점

 노원구 동일로213길 21

25

936-1101

‘20.6.

70

중계2.3동

노원19호점

 노원구 동일로208길 19

21

3296-5265

‘20.6.

71

상계1동

(상계두산)

(융합형)

노원20호점

 동일로 241길 53

40

6956-9480

‘20.4.

72

상계9동

노원21호점 

 한글비석로 530

21

3392-0010

‘20.7.

73

상계9동

노원22호점

한글비석로 480 208동 102호

21

934-0208

‘20.10.

74

상계 6,7동

(융합형)

노원23호점

덕릉로 70길 100 노원아이돌봄센터 2층

40

939-1129

‘20.10.

75

공릉2동

노원24호점

 화랑로51길 78

23

973-7373

‘21.2

 

76

은평구

(7)

진관동

은평1호점 

 통일로 1045

 이룸채 사회적기업1

20

6952-1045

‘20.2.

77

갈현2동

은평2호점

 연서로 25길 22

20

 357-6751

‘20.2.

‘20.2.

2135-4669

20

백련산로 38 백련산힐스테이트 2차

은평3호점

응암2동 

78

79

역촌동 

은평4호점

진흥로 7나길 12-5

역촌안심마을경로당2층

20

070-5001-1674

‘20.3.

80

진관동

은평5호점

진관4로 78-7, 은평뉴타운상림마을, 1층

20

356-6695

‘21.3.

81

녹번동

은평6호점

녹번로7길 36, 지하1층

20

2088-5065

‘21.3.

82

구산동

은평7호점

서오릉로17길 19-1, 1층~2층

30

2088-4254

‘21.3.

 

83

서대문구

(4)

북가좌제2동

서대문1호점

 거북골로 195-1

20

303-7779

’19.6.

84

연희동

서대문2호점

연희로  139-5, 2층

25

336-7970

‘20.11.

85

홍제3동

(융합형)

서대문3호점

간호대로 35-12, 1~4층

40

396-2384

‘21.1.

86

홍은동

서대문4호점

 모래내로 334, 3층

25

379-0709

‘21.2

 

87

마포구

(3)

성산2동

마포1호점

 월드컵로 36길 52

25

070-

8638-9779

’18.6.

88

망원1동

마포2호점

 희우정로 77

25

336-1770

’19.8.

89

용강동

마포3호점

신월 6동 595-21

20

2088-1956

‘20.12.

 

90

양천구

(3)

신정3동

양천1호점

 신정로 11길 20

동일하이빌1단지(관리동앞)

25

2683-5553

’19.9.

91

목2동

(융합형)

양천2호점

목동중앙본로 86

35

2061-2202

‘21.1

92

신월6동

양천3호점

신월로 20길 26

25

2065-0612

‘21.1

 

93

강서구

(2)

방화3동

강서1호점

 금낭화로 162

25

6949-4921

‘20.2.

94

염창동

강서2호점

양천로 67길 93-22

20

6953-5661

‘20.2.

 

95

구로구

(13)

개봉3동

구로1호점

개봉로 11나길  23

20

2615-0191

‘19.10.

96

구로5동

구로2호점

구로중앙로 34길 67

20

866-1695

‘19.11.

97

구로2동

구로3호점 

구로중앙로27나길 9

25

6925-5290

‘20.1.

98

구로1동

구로4호점

구일로4길 46

25

6949-4921

‘20.2.

99

천왕동

구로5호점

천왕로 21

30

2614-9200

‘20.3.

100

고척1동

구로6호점

중앙로1길 18-19

20

6346-1419

‘20.3.

101

구로3동

(융합형)

구로7호점 

디지털로32가길 50

30

837-7942

‘20.4.

102

고척2동

구로8호점

중앙로15길  80, 2층

30

2060-0924

‘20.10.

103

신도림동

구로9호점

신도림로 20, 4층

30

2068-7642

‘20.10.

104

오류2동

구로10호점

서해안로24길 27 (2층)

20

2617-6286

‘20.11.

105

오류2동

구로11호점

오리로 1102-6 (1층)

25

2617-7286

20.11

106

온수동

구로12호점

부일로 875 (2층)

25

2617-3956

20.11

107

항동

구로13호점

항동로 3길 4 (2층)

25

2616-4956

20.11

 

108

금천구

(2)

독산1동

금천1호점

벚꽃로 30,  3층

20

6407-1231

‘20.12.

109

시흥1동

금천3호점

시흥대로39길 46

25

2627-2087

‘21.1.

 

110

영등포구

(8)

영등포본동

영등포1호점

 신길로 60길 31-2

20

070-8808-8816

’19.9.

111

당산1동

영등포2호점

 당산로29길 9

25

2670-1612

‘20.4.

112

대림1동

영등포3호점

 시흥대로 183길 9-2

20

842-1612

‘20.4.

113

문래동

영등포4호점

선유로 63,  2층

25

070-8834-1612

‘20.10.

114

여의동

영등포5호점

여의대방로 386, 4층

25

070-8872-1612

‘20.10.

115

영등포본동

영등포6호점

도림로112길 21-15, 2층

20

070-8822-1612

‘20.10.

116

당산2동

영등포7호점

국회대로37길 19

25

2068-2550

’21.1

117

신길1동

영등포8호점

 도신로54길 15-12

20

835-2572

‘21.1

 

118

동작구

(9)

노량진2동

동작1호점

 장승배기로 19길 50

30

812-7942

‘19.6.

119

신대1동

동작2호점

 신대방 2길 42-10

30

6959-0750

‘20.1.

120

사당5동

동작3호점

 사당로 154

20

585-0406

‘20.4.

121

 노량진1동

동작4호점 

장승배기로  142-1, 2층

42

6953-9090

‘21.2

122

 상도1동

동작5호점 

상도로53길 41, 2층

33

6956-7723

‘21.2

123

 상도4동

동작6호점 

성대로29길 53, 3층

45

2088-2298

‘21.2

124

 사당2동

동작7호점 

동작대로 29가길 30,  2층

25

070-7204-3006

‘21.2

125

 사당3동

동작8호점 

사당로 261, 1층

25

593-1215

‘21.2

126

 대방동

동작9호점 

알마타길 28, 1층

27

2135-2477

‘21.2

 

127

관악구

(2)

신림동

관악1호점

참숯5길 38, 1층

20

3285-1009

‘21.3.

128

신원동

관악2호점

문성로32길 18, 3층

20

861-5515

‘21.3.

 

129

서초구

(3)

우면동

서초1호점

 양재대로2길 116-19

20

573-7942

’19.5.

130

우면동(양재1동)

서초2호점

형촌길 15

20

577-7943

‘20.10.

131

내곡동

서초3호점

청계산로9길  70, 3층

25

576-7946

‘20.10.

 

132

강남구

(5)

수서‧세곡
‧일원본동

강남1호점

 광평로 185

45

2040-1735

’19.4.

133

역삼2동

강남2호점

 논현로 64길 7

20

6207-7942

‘19.11.

134

청담동

강남3호점

 영동대로131길 26

20

3444-3113

‘20.7.

135

세곡동

강남4호점

 밤고개로 231

25

070-

7620-1080

‘20.8.

136

역삼동

강남5호점

역삼로 52길  14, 304호

20

6203-7955

‘20.12.

 

137

송파구

(15)

잠실본동

송파1호점

 올림픽로8길 22 801호

20

6925-7044

‘19.11.

138

가락1동

송파2호점

 양재대로 925

20

443-0813

‘19.12.

139

송파1동

송파3호점

 송파대로 345

20

3432-3331

‘19.12.

140

삼전동

송파4호점 

 백제고분로 32길 35

 삼전사회복지관 3층

20

421-6078

‘19.12.

141

가락본동

송파5호점

 오금로 36길 36

30

3222-3904

‘20.5.

142

문정2동

송파6호점

 중대로4길 4

25

2147-5361

‘20.5.

143

위례동

송파7호점

 위례순환로 477

30

6239-2006

‘20.10.

144

 석촌동

송파8호점 

백제고분로37길  4, 1층

20

6930-5535

‘20.12.

145

 삼전동

송파9호점 

석촌호수로 158, 2층

25

417-3233

‘20.12.

146

 가락2동

송파10호점 

서울특별시 송파구 중대로20길 14

30

443-2021

‘20.12.

147

오금동

(융합형)

송파11호점

동남로 28길  40

45

430-1388

‘20.12.

148

 방이1동

송파12호점 

가락로270, 2층

30

421-5874

‘20.12.

149

 송파2동

송파13호점 

송이로10길 12, 2층

20

421-2021

‘20.12.

150

 장지동

송파14호점 

새말로8길 9

30

402-9395

‘20.12.

151

잠실본동

(융합형)

송파15호점

백제고분로 139

45

3432-9576

‘21.1

 

152

강동구

(3)

암사1동

강동1호점 

올림픽로 98가길  28

20

426-1014

‘19.12.

153

 명일2동

강동2호점 

동남로 67길  21

17

02-426-3581

‘20.12.

154

강일동

(융합형)

강동3호점

아리수로 421

35

070-7708-0308

‘20.12.


출처 : 서울특별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