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장관 조승환)는 산란기 어미물고기와 성장기 어린 물고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2023년 7월부터 갈치와 참조기, 붉은대게 등 10개 어종의 금어기★를 시작한다고 밝혔습니다.
★ 수산자원관리법에 따라 총 44종에 대한 금어기를 운영
갈치와 참조기는 2023년 7월 1일(토)부터 31일(월)까지 한 달간 잡을 수 없고, 일부 권역의 특정 어법은 금어기가 달리★ 적용됩니다.
★ 참조기 : 근해 유자망은 4월 22일~8월 10일
또한, 흔히 홍게라고 불리는 붉은 대게의 경우, 암컷은 크기와 상관없이 일년 내내 잡을 수 없으며, 수컷은 7월 10일(월)부터 8월 25일(금)까지★ 잡을 수 없습니다.
★ 붉은대게 수컷 : 강원 연안자망은 6월 1일~7월 10일
이 외에도 개서대, 닭새우, 백합, 오분자기, 옥돔, 키조개, 해삼의 금어기가 2023년 7월부터 시작됩니다.
한편, 금어기가 아닌 기간에도 정해진 크기보다 작은 어린 물고기의 포획은 일년 내내 금지됩니다.
갈치는 항문장(입부터 항문까지의 길이)을 기준으로 18센티미터(cm) 이하, 참조기는 전장 길이 15cm 이하인 개체는 금지 체장에 해당하여 포획할 수 없습니다.
금어기와 금지체장을 위반하여 수산동식물을 포획·채취한 경우 어업인은 2천만 원 이하의 벌금 또는 2년 이하의 징역형에 처하며, 낚시인 등 비어업인에게는 80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합니다.
◎ 2023년 7월 금어기 대상어종 참고 사진
◎ 포획·채취 금지 기간(수산자원관리법 시행령 제6조1항)
수산동식물 | 학명 | 포획.채취 금지 기간.구역 및 수심 |
갈치 | Trichiurus lepturus | 북위 33도00분00초 이북(이북)해역에 한정하여 7월1일부터 7월 31일까지(근해채낚기어업 및 연안복합어업은 제외한다). 다만, 해당 구역에서 해당 기간 중 갈치를 어획량의 10퍼센트 미만으로 포획, 채취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
참조기 | Larimichthys polyactis | 7월1일부터 7월31일까지(근해자망어업 중 유자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4월22일부터 8월10일까지). 다만, 해당 기간중 참조기를 어획량의 10퍼센트 미만으로 포획, 채취하는 경우에는 제외한다. |
붉은대게 | Chionoecetes japonicus | 7월 10일부터 8월 25일까지. 다만, 강원도 연안자망어업은 6월 1일부터 7월 10일까지로 한다. (암컷 붉은대게는 연중 포획금지) |
개서대 | Cynoglossus robustus |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
옥돔 | Branchiostegus japonicus | 7월 21일부터 8월 20일까지 |
해삼 | Stichopus japonicus | 7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
닭새우 | Panulirus japonicus |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
백합 | Meretrix lusoria | 7월 1일부터 8월 20일까지 |
오분자기 | Sulculus diversicolor | 제주특별자치도에 한정하여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
키조개 | Atrina pectinata |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
출처 : 해양수산부
'정부 지자체 공공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양수산부] 정부 비축 천일염 구매 가능 장소 안내 (0) | 2023.07.01 |
---|---|
2023년 여름 전국 264개 '해수욕장' 7월 1일부터 순차 개장, 한적한 해수욕장 52개 선정 (0) | 2023.06.29 |
대게.꽃게.낙지 등 7개 어종, 2023 6월부터 금어기 시작 (0) | 2023.06.02 |
6월 1일, 최대 50% 할인되는 '바다로' 청년 연안여객선 할인이용권 판매 개시 (0) | 2023.05.31 |
[교육부] 2023학년도 2학기 1차 국가장학금 신청 안내 (0) | 2023.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