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3월, 해양수산부에서 이 달의 수산물로 선정한 ‘임연수어’는 ‘이면수’라고도 불리며, 겨울에서 봄까지 동해에서만 잡히는 한류성 바닷물고기입니다.
따뜻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봄철이면 살이 찌고 기름이 올라 맛이 가장 좋습니다.
특히 ‘임연수어 껍질 쌈밥만 먹다가 배까지 말아 먹는다’, ‘임연수어 쌈 싸먹다 천석군도 망했다‘라는 옛말이 있을 정도로 껍질 맛이 일품인 생선입니다.
‘임연수어’에 풍부한 오메가-3 지방산(DHA, EPA)은 혈관 건강과 뇌 기능 강화에 도움이 되고, 철분은 빈혈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임연수어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춰 심혈관계 질환을 예방하는 데 좋은 비타민B3(니아신)와 타우린도 다량 함유하고 있습니다.
또 다른 3월, 이달의 수산물인 '동죽'은 조개 중에서도 감칠맛을 내기로 유명하여 ‘맛의 감초’라고 불립니다.
특히, 찌개나 탕, 칼국수 등 국물요리 육수를 낼 때 많이 쓰이는데, 동죽 육수를 활용하면 국물의 풍미를 훨씬 높일 수 있습니다.
동죽은 부드러우면서도 쫄깃한 식감과 담백하면서도 고소한 맛으로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고, 특히 봄철에 입맛이 없을 때면 달래 등 채소와 동죽을 갖은 양념으로 버무려 먹으면 입맛을 되찾을 수 있습니다.
동죽은 열량(kcal;칼로리)이 낮아 다이어트(체중조절)와 성인병 예방에 좋은 식품입니다.
아미노산인 류신, 라이신, 아르기닌이 풍부해 원기회복, 간 기능 개선뿐만 아니라 면역력 향상에도 도움이 됩니다.
칼슘과 철분도 많아 골다공증과 빈혈 예방에도 효과가 있습니다.
임태훈 해양수산부 유통정책과장은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국민 모두가 힘든 겨울을 보냈지만, 시간은 흘러 어김없이 따뜻한 봄이 다가왔다.”라며, ”자칫 입맛을 잃기 쉬운 봄철이지만 임연수어와 동죽으로 몸과 마음에 활력을 되찾으시길 바란다.”라고 말하였습니다.
◎ 최근 5년간 임연수어 및 동죽 생산량 및 수출입량
★ 생산량 (단위 : 톤)
구분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임연수어 |
3,507 |
172 |
740 |
2,226 |
628 |
동죽 |
1,009 |
1,929 |
1,227 |
737 |
2,061 |
※ 자료출처 : 국가통계포털(KOSIS)
☆ 수출량.수입량 (단위 : $ / kg)
구분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임연수어 |
수출 |
1,999,048 |
3,167,927 |
3,480,240 |
1,424,590 |
1,260,498 |
수입 |
8,263,991 |
9,913,791 |
11,726,671 |
8,674,791 |
9,978,500 |
|
동죽 |
수출 |
. |
. |
. |
. |
. |
수입 |
. |
. |
. |
. |
. |
※ 자료출처 : 수산물수출정보포털
출처 : 해양수산부
'정부 지자체 공공 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양수산부 '2021년 5월 이달의 수산물'에 병어, 다시마 선정 (0) | 2021.05.02 |
---|---|
해양수산부 2021년 4월 '이달의 수산물'로 바지락과 멸치 선정 (0) | 2021.04.04 |
문화재청, 무령왕릉 발굴 50주년 맞아 '무령왕의 해' 기념행사 개최 (0) | 2021.02.24 |
해양수산부 2021년 2월 '이달의 수산물'에 송어와 새조개 선정 (0) | 2021.02.13 |
2021년도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34만대 지원, 보조금 상한액 6백만원으로 상향 (0) | 2021.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