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울 동작구(구청장 박일하)가 아이는 행복하고 부모는 맘편히 일할 수 있는 보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동작형 육아도우미 '동작맘' 사업을 내년(2024년)부터 확대하여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구는 맞벌이 가정의 야근, 늦은 퇴근 등 현실 여건을 반영하여 기존 오전 7시 30분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하던 돌봄의 마감시간을 오후 8시까지로 2시간 연장할 예정입니다.

특히 이용 시간 연장에 따른 야간 요금은 구비 지원을 통하여 할증 없이 주간 요금과 동일하게 적용합니다. 

‘동작맘’은 정부의 ‘아이돌봄 서비스’를 보완.확대하여 2023년 8월부터 시범 운영하고 있는 사업으로, 육아돌봄이 필요한 가정을 방문하여 육아(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최초로 구비를 투입하여 신청 대상의 소득.재산의 제한 기준을 없앴고, 돌봄 인력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베이비시터 자격증을 소지한 전문 인력 170여 명을 배치하였습니다. 

단순한 돌봄서비스를 넘어 방문 가정과 동작구 육아종합 지원센터 소속 돌보미(코디네이터)를 연결하여 육아 정보 제공, 상담 등의 사후 관리도 병행합니다.

신청 대상은 소득 및 재산 여부와 관계없이 12개월 ~ 7세 영유아가 있는 관내 거주 가정입니다.

시간당 1만 1080원에 하루 최대 4시간, 월 최대 100시간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내년도 이용 신청은 2023년 12월 18일부터 동작구 육아종합지원센터 누리집(http://dccic.go.kr/)에서 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육아종합지원센터(전화번호 070-7163-1473)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한편, 동작맘은 지난 3개월간 동작구민 363명이 총 973시간(일 평균 18시간)을 이용하였습니다. 

동작맘 이용자 A씨는 “자격 기준이 까다롭지 않고 시간당 이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며 “무엇보다 돌봐주는 분이 전문 인력이어서 믿음직스럽다”고 말하였습니다. 

박일하 동작구청장은 “동작맘은 부모의 양육 부담을 덜고 시설보육의 사각지대를 보완하기 위해 마련됐다”며 “안심하고 아이를 맡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동작형 복지’를 실현할 것”이라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서울특별시 동작구

 

반응형
반응형

경기 광주시는 지난 2023년 3월 국공립어린이집 1개소를 개원한 데 이어, 7월 3일부터 2개소를 추가로 개원.운영에 들어갔다고 7월 11일 밝혔습니다.

500가구 이상 공동주택단지인 삼동 소재 힐스테이트삼동역과 초월읍 소재 초월역 한라비발디에 조성된 어린이집 2개소는 지난해(2022년) 사업 주체로부터 20년간 무상임대 받는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시공사와 어린이집 특화설계 협의, 위탁운영자 선정, 교사 채용 및 입소 신청 등의 절차를 거친 후 6월 한 달간 총 2억8000여만원을 들여 내장(인테리어) 공사와 주방용품, 교재교구 등의 기자재 등을 구입하여 개원절차를 마쳤습니다.

이로써 광주시의 국공립어린이집은 총 33개소로, 정원은 2,228명 규모입니다.

여기에 올해 9~10월 문형내안애 공동주택단지 내 1개소와 광남행정복합문화시설 내 광남너른나래 어린이집 1개소를 각각 추가로 개원하면 총 35개소의 국공립어린이집을 운영하게 됩니다.

방세환 광주시장은 “부모가 믿고 맡길 수 있는 안전하고 쾌적한 공보육 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시 관계자는 “아이, 부모, 교사가 모두 행복할 수 있는 쾌적하고 안전한 공보육 환경 조성을 위해 책임감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에서 어린이집 찾기

 → https://www.childcare.go.kr/


○ 참고 사진


출처 : 경기도 광주시

반응형
반응형

서울 중랑구(구청장 류경기)가 2023년 7월 5일, 중랑구에서 14번째 공동육아방인 '누리봄 공동육아방'의 개소식을 거행하였습니다.

누리봄 공동육아방은 지난 3월에 개소한 면목3.8동 사가정 마중 마을활력소 2층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주소 : 중랑구 면목로45길 3-2(지번: 면목동 496-12) 2층
 → 서울지하철7호선 사가정역 1번출구 바로 옆

연 면적 85.54평방미터(㎡) 규모로 볼풀장, 역할놀이존, 북카페, 수유실 등을 갖추어 아이들과 부모들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놀이 및 편의시설로 구성하였습니다.

이용 대상은 만 5세 이하 영유아와 보호자로,

화요일~토요일 오전 10시에서 오후 5시 30분까지 운영하며며,
일요일과 월요일은 휴관합니다.

중랑구 육아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https://www.jccic.or.kr/2018/index_re.php)에서 예약 후 이용할 수 있으며, 문의는 누리봄 공동육아방으로 전화(02-493-1124)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한편 구는 아이들이 맘껏 놀 수 있고 지역이 함께 키우는 육아 공간을 만들기 위해 공동육아방을 지속적으로 설치하고 있습니다.

현재 '누리봄 공동육아방'을 포함하여 공동육아방 총 14곳을 운영 중이며, 지난해(2022년)에는 4만 명의 주민들이 이용할 만큼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구는 실내놀이터 1곳, 우리동네키움센터 5곳, 지역아동센터 22곳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류경기 중랑구청장은 “이번에 개소하는 14호점 공동육아방이 아이들의 놀이공간 부족을 해소시키고 돌봄·육아 부담을 경감시키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라며, “앞으로도 아이 키우기 좋은 중랑을 만들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서울특별시 중랑구

 

반응형
반응형

부산시(시장 박형준)가 2021년 9월 1일부터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모든 출산가정에 산모·신생아를 위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이번 사업은 박형준 부산시장의 공약사항으로, 출산가정에 전문교육을 수료한 건강관리사를 파견해 산모의 산후 회복(영양·부종·체조 지원 등)과 신생아의 양육(아기목욕·수유 지원 등)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보건복지부의 '2018 산후조리 실태조사'에 따르면, 출산 후 6주 동안(산욕기) 본인 집에서 산후조리를 하는 경우는 70.2퍼센트(%)에 달했으며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16.0%)’은 ‘가사·육아도우미 지원(64.0%)’에 이어 두 번째로 필요한 정책으로 꼽힌 바 있습니다.

현행 정부 지원은 둘째 아이부터는 소득과 무관하게 지원되나 첫째 아이 출산가정의 경우,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에 대해서만 국가지원금이 지급됩니다.

 

이에 부산시는 현재 국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는 기준중위소득 150% 초과자 가운데 출산(예정)일 현재 부산시 6개월 이상 거주하고 있는 산모에게도 건강관리 서비스를 지원합니다.

 

이렇게 되면 부산시의 모든 출산가정에는 소득 기준과 관계없이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업이 지원되며 이번 사업 대상자 확대로 부산지역 서비스 대상자는 한 해 8천여 명에서 1만600여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합니다.

 

구분 (현재) 국가 지원 + (확대) 부산시 자체 지원
지원대상 소득 기준 기준중위소득 150% 이하 첫째아 출산가정
(둘째아부터 소득무관)
기준중위소득 150% 초과
첫째아 출산가정
거주 기준 - 출산(예정)일 현재 6개월 이상 부산시에 거주
서비스 기간 단축 5일, 표준 10일,
연장 15일
단축 5일, 표준 10일
정부지원금 460천~1,070천원 36만8천원~63만3천원
시행일 시행 중 2001년 9월 1일(수)

 
신청은 출산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까지 주소지 관할 구·군 보건소나 온라인(복지로 홈페이지 http://www.bokjiro.go.kr/ )에서 신청하면 됩니다.

 

서비스는 단축형(5일) 기준 36만8천 원, 표준형(10일) 기준 63만3천 원이 지원되며, 기타 상세한 사항은 거주지 관할 보건소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부산시는 이번 사업이 산모의 산후 회복과 신생아 건강관리는 물론,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줄 뿐만 아니라, 건강관리사 양성으로 사회적 일자리도 늘어날 것으로 내다 봤습니다.

특히, 시는 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추진하기에 앞서 건강관리 서비스의 질을 높이기 위해 제공인력 교육기관으로 12곳을 선정·운영하였으며, 교육과정에 아동학대 예방 교육을 포함하는 등 산모·신생아 방문 서비스 제공인력 전문교육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도시를 만드는 초석은 출산친화적 환경을 조성함과 동시에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저출생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극복하고, 내게 힘이 되는 행복도시를 조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라고 말했습니다.

★ 부산광역시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교육기관 명단.연락처(전화번호)

1 봄소리교육센터 부산진구 거제대로 46, 102호 051-852-9535
2 참사랑어머니회 북부산지점 동래구 아시아드대로 197, 2층 051-505-6247
3 (사)부산돌봄사회서비스센터 연제구 거제천로 89, 6층 051-852-0540
4 반석센터 남구 용호로 222 051-621-1480

 

5 동구여성인력개발센터 동구 중앙대로 319, 3층 051-464-9882
6 사상여성인력개발센터 사상구 사상로 196, 5~6층 051-326-7600
7 다온교육원 수영구 수영로 765-1, 4층 051-645-5077
8 뉴,하이브레인 해운대구 해운대로469번가길 91, 3층 051-731-7001

 

9 사하여성인력개발센터 사하구 낙동대로 319, 3층 051-804-9982
10 엘림평생교육원 동구 중앙대로 312, 2층 051-463-2288
11 해운대여성인력개발센터 해운대구 해운대로 575, 6~8층 051-702-9199
12 (사)단미교육원 부산진구 새싹로 36 051-804-1366

※ 지정기간 : 2021년 2월 1일 ~ 2023년 1월 31일(2년간)



○ 부산광역시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인력 제공기관 명단.연락처 (2021년 7월 기준)

 

1  중구 주식회사 아이맘케어 051-928-8338
2  동구 엘림평생교육원 051-463-2288
3
굿맘스 051-1588-4854
4
닥터맘산모도우미 051-636-7222

 

5 부산진구 참사랑어머니회 서부산점 051-244-3577
6 봄소리 동부산점 051-852-9535
7 바우처 베스트맘 051-919-3710
8 조은맘산후도우미 부산지점 051-808-3554
9 엔젤스맘 진구점 051-818-2577
10 맘스웰 051-741-3375

 

11  동래구 해와달 출장산후조리 051-645-5033
12 참사랑어머니회 북부산지점 051-505-6247
13 이레아이맘 051-553-2243

 

14  남구 반석센터 051-621-1480
15 새로미 아이돌봄 051-635-3579
16 마미맘 출장산후도우미 051-623-1241
17
아가맘스마일케어 남부산지점 051-612-3071

 

18  북구 엔젤스맘 051-343-2293
19 다온 북부점 051-752-5077

 

20 해운대구 봄소리 본점 051-747-9535
21 아가맘스마일케어 051-702-3070
22 마이홈 산모도우미 051-545-3575
23 맘스웰동부점 051-852-3375
24 (부산)베스트맘 051-727-3712

 

 

25 해운대구 마담스완 051-747-1583
26 아가조아 051-711-2717
27
사하구 봄소리 서부산점 051-206-9535
28
부산돌봄가사간병(아가마지서부산점) 051-201-3543
29 다온 서부점 051-645-5097
30 금줄 베이비시터코리아 서부산점 051-207-8810
31 이레아이맘 산후도우미 서부산점 051-201-2243
32 금정구 산모도우미119(부산점) 051-805-3519

 

33 강서구 산모도우미119(서부산점) 051-292-3639
34 명지 엔젤스맘 010-7504-2347
35 맘스웰 서부산지사 051-208-3375
36 연제구 아가마지부산지사 051-851-3544
37 아가누리 051-852-2388
38 드림가 010-5880-1363

 

39 수영구 금줄베이비시터코리아 051-621-8810
40 다온 051-645-5077
41
참사랑어머니회동부산지점 051-925-8355
42 친정맘 산후도우미 051-507-0607
43 사상구 맘스매니저 (휴업중) 051-323-7325
44 온정 산모도우미 051-312-6213

 

45 기장군 행복한 부산맘 051-724-7052
46 엄마랑아가랑센터 051-721-5655
47 다온 동부점 051-751-5077
48 아가누리동부산점 051-723-3323


출처 : 부산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모의 보육·교육 부담을 해소하고 아동의 복지를 증진하고자, 만3~5세 아동을 대상으로 재난지원금을 지급한다고 밝혔습니다.

 

부산시청 홈페이지 http://www.busan.go.kr/


지난 2021년 6월 30일, 부산시의회 2021년 제1회 추경안 의결에서 교육청 소관 유치원 재원 아동과 동일연령대에 있는 아동에게도 재난지원금이 지급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됨에 따라, 부산시는 신속한 검토를 거쳐 재난지원금 지급을 최종적으로 결정하였습니다.

재난지원금 지급대상은 2015년 1월 1일생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출생한 만3~5세 아동으로, 어린이집 재원 아동과 가정에서 양육 중인 아동 등 38,000여 명(2021년 6월 기준)입니다.

 

한편, 교육청 교육재난지원금 지급대상인 유치원 재원 아동 38,800여 명과 재외국민, 장기해외체류아동, 외국인 등은 제외됩니다.

부산시는 교육청 교육재난지원금 지급대상자와 중복되지 않도록, 2021년 7월 중순부터 만3~5세의 아동 재난지원금 대상자를 선정하고, 구·군별로 관련 예산을 배부할 예정입니다.

 

이후, 7월 말 지급대상자를 확정하고, 아동 1명당 각 10만 원의 재난지원금을 8월 9일에 지급할 계획입니다.

 

재난지원금 지급은 개별신청에 의한 불편을 해소하고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 신청 없이 아동수당 보호자 지급계좌를 통해 직권으로 이루어집니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재난지원금이 코로나19 장기화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는 만3~5세 아동과 부모님에게 조금이나마 위안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며, “특히, 교육청과 협력해 같은 시기에 부산시 내 만3~5세의 모든 아동에게 재난지원금을 지원하게 돼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고 말했습니다.

출처 : 부산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경기도가 올해 기존 민간․가정어린이집을 장기 임차하는 방식으로 국공립어린이집 26개소를 확보합니다.


경기도는 보건복지부로부터 ‘2021년 국공립어린이집 장기 임차사업 물량’을 26개소 배정받았다고 2021년 6월 24일 밝혔습니다.

이는 전국(총 110개소)에서 가장 많은 물량입니다.

 

경기도청 홈페이지 https://www.gg.go.kr/


국공립어린이집을 단순 신축하면 개소당 약 17억원의 예산이 필요한 반면, 정부가 추진하는 장기 임차사업을 활용하면 개소당 1억6,000만~2억2,000만원 규모의 시설개선(리모델링) 비용만 지급하면 됩니다.

 

5~10년 임대차 기간 민간 자원(인프라)을 활용하여 비교적 저렴하게 국공립어린이집을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도내 31개 시·군은 2021년 7월 6일까지 도내 민간․가정어린이집으로부터 사업 참여 신청을 받습니다.

 

특히 올해부터는 농어촌(행정구역상 읍·면) 지역도 신청 대상에 추가하였습니다. 

 

도는 일반 전형 10개소, 농어촌 전형 16개소를 모집·확보합니다.

 

시·군으로부터 접수한 민간·가정어린이집은 보건복지부 국공립 장기 임차 심의위원회를 거쳐 리모델링 등 국공립어린이집 전환 절차를 밟게 됩니다.


경기도 관계자는 “도내 어린이집이 장기 임차에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시·군의 적극적인 홍보와 안내를 협조하고 있다”며 “이번 장기 임차 전환 추진으로 국공립어린이집이 더 늘어나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도는 민선 7기 공약에 따라 매년 국공립어린이집 150개소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올해 150개소는 확보 유형별로 신축 6개소, 공동주택 리모델링 83개소, 장기 임차 26개소, 기타 시·군 협의(추가 예정) 등이 있습니다.

출처 : 경기도

반응형
반응형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2021년 인천시 저출산 대응 시행 계획’을 수립하여,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 인천’ 조성을 위하여 공공영역 서비스 확대와 민간영역 서비스 질 개선을 위한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2021년도 시행계획은 중장기 계획인 ‘제1차(2018~2022) 저출산 대응 중장기 기본계획’의 방향성과 기본 틀을 유지하고, 정부의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2021~2025)을 반영하였습니다.

 

인천시청 홈페이지 www.incheon.go.kr/

인천시는 저출산 정책의 범위가 출산 장려에서 ‘전 생애 삶의 질 제고’를 위한 종합적 대응으로 확장됨에 따라, ‘임신.출산.양육 친화적 환경 조성’을 목표로 5대 분야, 147개 사업에 대하여 전년대비 18.8퍼센트(%) 증가한 1조 9,873억 원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특히 청년 일자리 지원정책 청년과 신혼부부에 대한 주거대책, 일.생활 균형 문화 확산을 위한 남성육아활동 지원 등의 사업 등을 중점 보완하였습니다.

취업.창업 재직청년에게는 월세를 월 10만원까지 지원하고,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한 공공임대주택 공급도 작년 380호에서 1,764호로 대폭 늘어납니다.

또한 임신, 출산지원을 위하여 올해 최초로 ‘인천형 산후조리원’을 지정하여 우수한 산후조리원을 대상으로 부모교육 및 기능 보강비를 지원함으로써 민간산후조리원의 공공성을 강화하고 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계획입니다.

돌봄서비스 분야에서는 공공성 확대에 초점을 두고 국공립.공공형.인천형 어린이집을 660곳으로, ‘다함께 돌봄센터’를 24개소로 늘려 초등학생 돌봄 수요에 대응합니다.

 

또한, 인천형 공동육아시설인 ‘아이사랑꿈터’를 36곳으로 늘려 부모들이 안심하고 맞길 수 있도록 합니다.

아울러 남성의 돌봄권 보장을 위하여 '인천아빠 육아천사단' 사업을 확대하여 남성들이 육아정보를 공유하고 네트워크(연계망)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남성육아 휴직 활성화 방안 연구를 통해 남성육아휴직 활성화 제도를 마련하여 함께 일하고 함께 돌보는 사회 조성에도 힘쓸 예정입니다.

조진숙 시 여성가족국장은 “청년들의 결혼기피 현상과 출생아 수 감소추세인 사회적 현상에 적극 대응하고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는 정책의 마련이 중요한 시점”이라며, “인천시는 다양한 가족의 형태를 수용하고, 청년들의 가치관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정책 추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출처 : 인천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새학기가 시작되는 2021년 3월 8일.
 맞벌이 부부나 한부모 가정 등의 초등학생 자녀 방과 후, 방학, 휴일 ‘틈새보육’을 메우기 위한 보편적 초등돌봄시설인 서울시 ‘우리동네키움센터’ 150호점이 관악구에 개소하면서 서울시 전체 자치구에서 키움센터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날 관악 2호점, 은평 4호~7호점 등 5개소도 함께 문을 열어 우리동네키움센터는 총 154개소로 늘었습니다.

지역사회 돌봄 기관의 거점(허브) 역할까지 하는 ‘거점형 우리동네키움센터’ 2호도 동작구 '스페이스 살림(서울지하철 1호선 대방역 직결)' 내에 문을 열고, 2021년 3월부터 단계별 프로그램 운영에 들어갑니다.
 
거점형은 기존 초등돌봄시설보다 더 넓고 좋은 공간에서 ‘문화‧예술‧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권역별 키움센터 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돌봄 기관을 통합 지원하는 지역대표형으로 조성되었습니다.
   
지난해(2020년) 10월, 서울시 최초 아난딸로형 초등돌봄 특화모델인 ‘제1호 거점형 키움센터(노원구)’가 시범 운영을 시작한 이후 두 번째 개소입니다.

서울시는 2019년 본격 시작한 우리동네키움센터가 빠르고 촘촘하게 확장되면서 마을 돌봄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며, 올 연말까지 총 254개소까지 확충한다는 계획입니다.
 
키움센터는 거점형 뿐만 아니라 규모 및 성격에 따라 일반·융합형 키움센터가 있습니다.

일반형 키움센터는 소규모(66평방미터(㎡) 이상)로 집 학교에서 걸어서 10분 거리에서 방과 후 틈새 돌봄을 책임집니다.

융합형은 중규모(210㎡ 이상)으로 일반형과 돌봄 역할 수행은 동일하나, 마을돌봄 자원 연계 등 역할이 추가됩니다.

특히, 코로나19로 입소문이 나면서 키움센터의 인기가 매우 높아지고 있는 것도 확충에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지난해 12월 키움센터 돌봄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결과, 90.6%가 만족하고, 학부모의 81.2%가 경제 활동 참여에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고 응답하였습니다.   

시는 올해는 돌봄 수요 반영과 자치구별 균형 있는 설치를 목표로 5개소 미만 설치 구에 우선 물량 배치하고, 철저한 공정 관리로 기존 확정된 키움센터를 빠르게 개소한다는 계획입니다.

밀집도를 완화하고, 아동의 놀이와 쉴 수 있는 충분한 공간 확보를 위해 일반형 키움센터의 최소 설치 면적을 기존 66㎡(아동 1인당 3.3㎡이상)에서 80㎡(아동 1인당 4㎡이상)로 확대합니다.

아울러 우리동네키움센터의 운영 내실화도 중점 추진합니다.

코로나 블루, 온라인 수업 등으로 지친 아이들이 쉬고 놀 수 있도록 놀이 중심의 활동 콘텐츠(PBL, Project Based Learning) 매뉴얼을 현장에 안착시킵니다.
 
예를 들어, 구로구 9호점에서는 요가 프로그램, 과학 T로보 활동, 연극 연습, 컵타 음악 활동 등 다양한 문·예·체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함께 운영되는 거점형 2호는 여성의 창업 지원을 위해 조성한 스페이스 살림 내 지상 1,2층(면적 596㎡) 규모로 조성되어 일과 돌봄을 병행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1층 활동실은 아이들이 다양한 신체 활동을 할 수 있는 4개의 공간(꿈키움, 상상키움, 활기찬, 마당)으로 꾸몄습니다.
 창작실(창작스튜디오, 창의메이커실)에서는 문화예술 체험활동 및 PBL활동 등을 다양하게 체험할 수 있습니다. 스페이스 살림과 연계한 4차 산업 교육 등 다양한 특화 프로그램도 운영할 계획입니다. 

2층 상담실(이야기방, 마음튼튼방)에서는 코로나 블루 등으로 지친 아이들의 마음을 치유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합니다.


지난 1월 코로나19가 수도권에 광범위하게 확산되면서 시범으로 긴급 돌봄과 비대면 프로그램만으로 운영을 시작했고, 새 학기가 시작되는 3월부터는 철저한 방역지침 준수 하에 소규모 대면 프로그램 운영을 시작하는 등 상황에 맞게 단계별로 확대해나갈 계획입니다.

특히, 코로나19 장기화로 지친 아동들을 위한 집단 마음 치유프로젝트 '맛있는 힐링! 행복한 소통!'등 심리·정서 지원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진행합니다.

키움센터를 이용하려면 우리동네키움포털 홈페이지(icare.seoul.go.kr/)에서 예약할 수 있습니다.

특히, 올해는 입소 서류 100% 온라인 접수 등 우리동네키움포털 개선으로 온라인 이용 편의성을 높일 계획입니다.
 
홈페이지 회원가입 후 예약 및 이용 신청서를 작성하면 됩니다.

현재 일부 센터별로 대기아동이 있는 곳이 있는 만큼, 직접 센터에 전화로 이용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송다영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새학기 시작과 함께 우리동네키움센터를 25개 모든 자치구에서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더욱 촘촘한 초등돌봄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며, “키움센터 뿐만 아니라 지역아동센터 법인화를 통한 공공성 강화, 아이돌보미 서비스 질 향상을 통한 가정돌봄 부담 완화, 열린육아방 확충 등 다양한 돌봄 지원으로 서울시에서는 더 이상 맞벌이부부가 아이 맡길 곳이 없어 고민하는 일은 없도록 더욱 힘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서울시 전체 우리동네키움센터 운영 현황 (2021년 3월 8일 기준)

 

연번

자치구

행 정 동

시 설 명

주소

정원

연락처
전화번호(02)

개소일

1

종로구

(4) 

청운효자동

종로1호점

 필운대로 86

20

 739-6704

‘20.3.

2

부암동

종로2호점

 세검정로  259

20

 394-1028

‘20.11.

3

혜화동

종로3호점

혜화로 3

20

743-5515

‘21.1

4

숭인1동

(융합형)

종로4호점

지봉로 12길  16

30

742-6699

‘20.12.

 

5

중구

(6)

신당동

중구1호점

 다산로 29길 10

28

2231-3019

‘19.11.

6

중림동 

중구2호점

서소문로 6길 16

36

362-8788

‘19.12.

7

중림동

중구3호점 

봉래초등학교 본관3층으로 임시 이전(기존:손기정로 101)

34

362-9854

‘19.12.

8

약수동

중구4호점

동호로 5길 19

81

070-4261-8910

‘20.3.

9

신당5동

중구5호점

다산로 44길 85

30

070-4420-8290

‘20.5.

10

다산동

중구6호점

동호로11길 22, 5층

17

070-4353-3005

‘21.1.

 

11

용산구

(8)

원효1동

용산1호점

 원효로64길 25

25

713-1024

‘19.12.

12

이촌2동

용산2호점

이촌로 2가길 75

20

713-0019

‘19.12.

13

한남동 

용산3호점

 이태원로 36길 7

20

749-0025

‘19.12.

14

청파동

용산4호점

효창원로 160

40

704-2112

‘19.12.

15

원효2동

용산5호점

효창원로 39

20

717-1112

‘20.7.

16

한강로동

용산6호점

서빙고로 17

40

2199-7022

‘20.10.

17

서빙고동

용산7호점

서빙고로 279

30

790-6665

‘21.1

18

이태원1,2동

용산8호점

 녹사평대로40나길 37,B1

20

792-9229

‘20.12.

 

19

성동구

(11)

 

왕십리
제2동

성동1호점

 무학봉길 35

20

2292-7722

’19.3.

20

왕십리도선동

성동2호점

 마장로 141

15

2286-7215

’19.7.

21

마장동

성동3호점

 마장로 39길 33

27

2297-9783

’19.8.

22

응봉동

성동4호점

 독서당로 381

20

2297-9736

’19.8.

23

성수1가1동

성동5호점

 뚝섬로 1길 43

23

463-6669

’19.10.

24

성수1가2동

성동6호점

 상원길 63 쌍용아파트

 105동 101호

15

3409-5529

’19.10.

25

옥수동

성동7호점

 한림말길 16-5

20

2297-9450

‘19.12.

26

마장동

성동8호점 

 청계천로 506

20

6015-0048

‘19.12.

27

사근동

성동9호점

 사근동길 37

15

2286-7278

‘20.2.

28

금호4가동

성동10호점

 독서당로 272

20

2281-2234

‘20.2.

29

금호1가동

성동11호점

행당로 6

20

2297-9717

‘21.1

 

30

광진구

(7)

자양3동

광진1호점

 자양번영로35 

20

458-0612

’19.8.

31

자양2동

광진2호점

 자양로3가길 28

20

3437-9439

‘20.5.

32

자양1동

(융합형)

광진3호점

자양로 71-7

30

3437-2876

‘20.11.

33

광장동

광진4호점

아차산로 66길  8, 3층

18

2201-8020

‘20.12.

34

중곡1동

광진5호점

능동로 347, 2층

23

6951-0405

‘20.12.

35

중곡2동

광진6호점

능동로 338, 2층

29

455-7990

‘20.12.

36

구의3동

광진7호점

구의강변로 79, 2층

20

6956-5078

‘20.12.

 

37

동대문구

(3)

용신동

동대문1호점

 무학로 133

30

926-5616

’19.7.

38

장안동

동대문2호점

 답십리로 63길 73

20

6368-5503

’19.8.

39

전농2동

동대문3호점

전농로16길  15

20

2216-7731

‘20.12.

 

40

중랑구

(2)

신내1동

중랑1호점

 신내역로 1길 145

22

435-2157

‘20.2.

41

묵1동

중랑2호점

신내로25가길 2

26

972-6633

‘21.2

 

42

성북구

(5)

장위1동

성북1호점

 돌곶이로 37길 32-4

29

912-3233

’18.6.

43

석관동

(융합형)

성북2호점

화랑로214

42

968-0813

‘20.12.

44

장위2동

성북4호점

장위로40다길 10

41

942-8889

‘21.3.

45

길음2동

성북8호점

숭인로 50, 래미안센터피스

26

985-1388

‘21.3.

46

정릉4동

성북9호점

보국문로16길 2, 2층

29

909-1050

‘21.3.

 

47

도봉구

(3)

도봉1동

도봉2호점

도봉로 175길 10

20

3492-6161

‘19.10.

48

창1동

도봉3호점

마들로 859-19

20

954-2801

‘20.5.

49

도봉2동

도봉4호점

해등로 50

20

997-5474

‘20.5.

 

50

강북구

(2) 

수유2동

(융합형)

강북1호점

삼양로136길 30, 2~3층

30

993-1318

‘20.11.

51

인수동

강북2호점

인수봉로48길  11-3, 1층

20

903-1388

‘20.12

 

52

 

 

 

 

 

 

 

 

노원구

(24)

월계동

노원1호점

 월계로 42길 9

20

909-3273

’18.7.

53

상계8동

노원2호점

노원로 564 1021동 104호

20

070-

4245-1172

’19.1.

54

상계5동

노원3호점

 한글비석로 49길 36

28

931-8437

’19.1.

55

월계1동

노원4호점

 광운로 13길 9

20

943-0045

’19.4.

56

상계6▪7동

노원5호점

 동일로 215길 48

23

930-8669

’19.5.

57

공릉2동

노원6호점

 공릉로 34길 62

 태강 1002동 101호

20

948-9084

’19.6.

58

하계2동

노원7호점

 섬밭로 229

 극동아파트 3동 111호

25

3296-6412

’19.7.

59

월계3동

노원8호점

 마들로 31

 월계그랑빌 115-104

24

972-1252

’19.7.

60

상계10동 

노원9호점

 동일로 1456

 주공 718-0106

20

6227-0101

’19.9.

61

공릉1동 

노원10호점

 섬밭로 123 관리동 2층

23

979-5650

’19.10.

62

중계본동

노원11호점

 중계로 14바길 43

35

3392-5481

‘19.11.

63

상계1동

노원12호점

동일로 245길  162

21

939-1918

‘19.12.

64

월계2동 

노원13호점

덕릉로 60길 266

28

994-7177

‘19.12.

65

상계8동

노원14호점

 동일로 227길 26

28

932-1510

‘20.1.

66

상계3,4동

노원15호점 

 덕릉로 780

32

951-1102

‘20.1.

67

상계5동

노원16호점

 한글비석로 426-12

25

935-1110

‘20.3.

68

상계 6,7동

(상계6단지)

노원17호점

 노원구 노해로 508

35

939-8015

‘20.5.

69

상계6.7동

노원18호점

 노원구 동일로213길 21

25

936-1101

‘20.6.

70

중계2.3동

노원19호점

 노원구 동일로208길 19

21

3296-5265

‘20.6.

71

상계1동

(상계두산)

(융합형)

노원20호점

 동일로 241길 53

40

6956-9480

‘20.4.

72

상계9동

노원21호점 

 한글비석로 530

21

3392-0010

‘20.7.

73

상계9동

노원22호점

한글비석로 480 208동 102호

21

934-0208

‘20.10.

74

상계 6,7동

(융합형)

노원23호점

덕릉로 70길 100 노원아이돌봄센터 2층

40

939-1129

‘20.10.

75

공릉2동

노원24호점

 화랑로51길 78

23

973-7373

‘21.2

 

76

은평구

(7)

진관동

은평1호점 

 통일로 1045

 이룸채 사회적기업1

20

6952-1045

‘20.2.

77

갈현2동

은평2호점

 연서로 25길 22

20

 357-6751

‘20.2.

‘20.2.

2135-4669

20

백련산로 38 백련산힐스테이트 2차

은평3호점

응암2동 

78

79

역촌동 

은평4호점

진흥로 7나길 12-5

역촌안심마을경로당2층

20

070-5001-1674

‘20.3.

80

진관동

은평5호점

진관4로 78-7, 은평뉴타운상림마을, 1층

20

356-6695

‘21.3.

81

녹번동

은평6호점

녹번로7길 36, 지하1층

20

2088-5065

‘21.3.

82

구산동

은평7호점

서오릉로17길 19-1, 1층~2층

30

2088-4254

‘21.3.

 

83

서대문구

(4)

북가좌제2동

서대문1호점

 거북골로 195-1

20

303-7779

’19.6.

84

연희동

서대문2호점

연희로  139-5, 2층

25

336-7970

‘20.11.

85

홍제3동

(융합형)

서대문3호점

간호대로 35-12, 1~4층

40

396-2384

‘21.1.

86

홍은동

서대문4호점

 모래내로 334, 3층

25

379-0709

‘21.2

 

87

마포구

(3)

성산2동

마포1호점

 월드컵로 36길 52

25

070-

8638-9779

’18.6.

88

망원1동

마포2호점

 희우정로 77

25

336-1770

’19.8.

89

용강동

마포3호점

신월 6동 595-21

20

2088-1956

‘20.12.

 

90

양천구

(3)

신정3동

양천1호점

 신정로 11길 20

동일하이빌1단지(관리동앞)

25

2683-5553

’19.9.

91

목2동

(융합형)

양천2호점

목동중앙본로 86

35

2061-2202

‘21.1

92

신월6동

양천3호점

신월로 20길 26

25

2065-0612

‘21.1

 

93

강서구

(2)

방화3동

강서1호점

 금낭화로 162

25

6949-4921

‘20.2.

94

염창동

강서2호점

양천로 67길 93-22

20

6953-5661

‘20.2.

 

95

구로구

(13)

개봉3동

구로1호점

개봉로 11나길  23

20

2615-0191

‘19.10.

96

구로5동

구로2호점

구로중앙로 34길 67

20

866-1695

‘19.11.

97

구로2동

구로3호점 

구로중앙로27나길 9

25

6925-5290

‘20.1.

98

구로1동

구로4호점

구일로4길 46

25

6949-4921

‘20.2.

99

천왕동

구로5호점

천왕로 21

30

2614-9200

‘20.3.

100

고척1동

구로6호점

중앙로1길 18-19

20

6346-1419

‘20.3.

101

구로3동

(융합형)

구로7호점 

디지털로32가길 50

30

837-7942

‘20.4.

102

고척2동

구로8호점

중앙로15길  80, 2층

30

2060-0924

‘20.10.

103

신도림동

구로9호점

신도림로 20, 4층

30

2068-7642

‘20.10.

104

오류2동

구로10호점

서해안로24길 27 (2층)

20

2617-6286

‘20.11.

105

오류2동

구로11호점

오리로 1102-6 (1층)

25

2617-7286

20.11

106

온수동

구로12호점

부일로 875 (2층)

25

2617-3956

20.11

107

항동

구로13호점

항동로 3길 4 (2층)

25

2616-4956

20.11

 

108

금천구

(2)

독산1동

금천1호점

벚꽃로 30,  3층

20

6407-1231

‘20.12.

109

시흥1동

금천3호점

시흥대로39길 46

25

2627-2087

‘21.1.

 

110

영등포구

(8)

영등포본동

영등포1호점

 신길로 60길 31-2

20

070-8808-8816

’19.9.

111

당산1동

영등포2호점

 당산로29길 9

25

2670-1612

‘20.4.

112

대림1동

영등포3호점

 시흥대로 183길 9-2

20

842-1612

‘20.4.

113

문래동

영등포4호점

선유로 63,  2층

25

070-8834-1612

‘20.10.

114

여의동

영등포5호점

여의대방로 386, 4층

25

070-8872-1612

‘20.10.

115

영등포본동

영등포6호점

도림로112길 21-15, 2층

20

070-8822-1612

‘20.10.

116

당산2동

영등포7호점

국회대로37길 19

25

2068-2550

’21.1

117

신길1동

영등포8호점

 도신로54길 15-12

20

835-2572

‘21.1

 

118

동작구

(9)

노량진2동

동작1호점

 장승배기로 19길 50

30

812-7942

‘19.6.

119

신대1동

동작2호점

 신대방 2길 42-10

30

6959-0750

‘20.1.

120

사당5동

동작3호점

 사당로 154

20

585-0406

‘20.4.

121

 노량진1동

동작4호점 

장승배기로  142-1, 2층

42

6953-9090

‘21.2

122

 상도1동

동작5호점 

상도로53길 41, 2층

33

6956-7723

‘21.2

123

 상도4동

동작6호점 

성대로29길 53, 3층

45

2088-2298

‘21.2

124

 사당2동

동작7호점 

동작대로 29가길 30,  2층

25

070-7204-3006

‘21.2

125

 사당3동

동작8호점 

사당로 261, 1층

25

593-1215

‘21.2

126

 대방동

동작9호점 

알마타길 28, 1층

27

2135-2477

‘21.2

 

127

관악구

(2)

신림동

관악1호점

참숯5길 38, 1층

20

3285-1009

‘21.3.

128

신원동

관악2호점

문성로32길 18, 3층

20

861-5515

‘21.3.

 

129

서초구

(3)

우면동

서초1호점

 양재대로2길 116-19

20

573-7942

’19.5.

130

우면동(양재1동)

서초2호점

형촌길 15

20

577-7943

‘20.10.

131

내곡동

서초3호점

청계산로9길  70, 3층

25

576-7946

‘20.10.

 

132

강남구

(5)

수서‧세곡
‧일원본동

강남1호점

 광평로 185

45

2040-1735

’19.4.

133

역삼2동

강남2호점

 논현로 64길 7

20

6207-7942

‘19.11.

134

청담동

강남3호점

 영동대로131길 26

20

3444-3113

‘20.7.

135

세곡동

강남4호점

 밤고개로 231

25

070-

7620-1080

‘20.8.

136

역삼동

강남5호점

역삼로 52길  14, 304호

20

6203-7955

‘20.12.

 

137

송파구

(15)

잠실본동

송파1호점

 올림픽로8길 22 801호

20

6925-7044

‘19.11.

138

가락1동

송파2호점

 양재대로 925

20

443-0813

‘19.12.

139

송파1동

송파3호점

 송파대로 345

20

3432-3331

‘19.12.

140

삼전동

송파4호점 

 백제고분로 32길 35

 삼전사회복지관 3층

20

421-6078

‘19.12.

141

가락본동

송파5호점

 오금로 36길 36

30

3222-3904

‘20.5.

142

문정2동

송파6호점

 중대로4길 4

25

2147-5361

‘20.5.

143

위례동

송파7호점

 위례순환로 477

30

6239-2006

‘20.10.

144

 석촌동

송파8호점 

백제고분로37길  4, 1층

20

6930-5535

‘20.12.

145

 삼전동

송파9호점 

석촌호수로 158, 2층

25

417-3233

‘20.12.

146

 가락2동

송파10호점 

서울특별시 송파구 중대로20길 14

30

443-2021

‘20.12.

147

오금동

(융합형)

송파11호점

동남로 28길  40

45

430-1388

‘20.12.

148

 방이1동

송파12호점 

가락로270, 2층

30

421-5874

‘20.12.

149

 송파2동

송파13호점 

송이로10길 12, 2층

20

421-2021

‘20.12.

150

 장지동

송파14호점 

새말로8길 9

30

402-9395

‘20.12.

151

잠실본동

(융합형)

송파15호점

백제고분로 139

45

3432-9576

‘21.1

 

152

강동구

(3)

암사1동

강동1호점 

올림픽로 98가길  28

20

426-1014

‘19.12.

153

 명일2동

강동2호점 

동남로 67길  21

17

02-426-3581

‘20.12.

154

강일동

(융합형)

강동3호점

아리수로 421

35

070-7708-0308

‘20.12.


출처 : 서울특별시

반응형
반응형

의정부시(시장 안병용)는 2021년 3월 2일, 의정부시 국공립 빛누리어린이집이 신설 개원하였다고 밝혔습니다.

의정부시는 2021년 2월 말 기준 총 402개의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 중 국공립 어린이집은 33개소에 달하고 있으며, 올 한해 1천180억 원을 관련 사업비로 운영 지원하고 있습니다.

이는 시 전체 예산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는 수치로, 시의 건전한 보육환경 조성의 의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의정부시청 홈페이지 www.ui4u.go.kr/


이번에 개원한 빛누리 어린이집은 '녹양로 34번길 47(의정부 지방법원과 이편한세상 녹양역아파트 사이)'에 위치한 정원 27명 규모의 국공립 어린이집으로,

3개의 보육실, 유희실, 교사실을 갖추고 있으며,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아이들을 돌보게 됩니다.

코로나19 감염병 예방을 위해 개원식과 오리엔테이션 등 별도 행사는 생략하는 대신 보다 철저한 방역 및 소독과 보육프로그램 준비로 신입 유아들을 맞을 준비를 마쳤습니다.

의정부시는 올해에도 고산지구 S3, 송산생활권1구역 GS자이 등 2곳의 국공립어린이집 확충을 계획하는 등 공보육에 힘쓰고 있습니다.

 

영유아 부모들의 선호도가 높은 국공립어린이집 이용의 문턱이 낮아지고 지역 내 공공보육 기반(인프라) 확충으로 보다 많은 시민에게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것입니다.

정효경 보육과장은 "보육서비스의 질 향상, 안전한 보육환경 조성 등은 부모의 보육부담을 경감하고 출산율을 높이며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하는 근본적인 방안이다”며 “부모님이 믿고 맡기며, 유아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든든한 공보육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출처 : 경기도 의정부시

반응형
반응형

동작구(구청장 이창우)가 초등학생 방과후 돌봄교실 ‘우리동네 키움센터’ 6개소를 2월 22일 개원한다고 2021년 2월 3일 밝혔습니다.

 

동작구청 홈페이지 www.dongjak.go.kr/


우리동네 키움센터는 초등학생의 돌봄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방과후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아이들이 안전하게 놀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입니다.

구는 2019년 6월 노량진2동 우리동네키움센터를 시작으로 지난해 신대방1동에 2호점 사당5동에 3호점까지 확대했습니다.

이번에 개소하는 키움센터 4호점 노량진1동(장승배기로 142-1), 5호점 상도1동(상도로53길 41), 6호점 신상도(양녕로29길 50), 7호점 사당2동(동작대로29가길 30), 8호점 사당3동(사당로 261), 9호점 대방동(알마타길 28)은 집.학교 인근에서 도보로 10분이내 거리에 있습니다.

개원에 앞서, 특색있는 공간 및 교구 마련 등 운영준비를 마쳤으며, 키움센터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컨설팅도 추진합니다.

센터 운영시간은 평일 오후 1시부터 저녁 7시, 방학기간에는 평일 오전9시부터 6시까지이며, 관리자와 종일제 교사가 상주하며 일상생활교육, 놀이활동, 체험학습, 방과 후 틈새 돌봄 등을 제공합니다.


돌봄서비스 형태는 ‘종일돌봄’, 원하는 요일과 시간대를 선택해 이용하는 ‘시간제 돌봄’ 코로나19 상황과 같이 학교 휴교시 이용할 수 있는 ‘긴급돌봄’ 등 세가지가 있습니다.

현재 코로나19 대응 일환으로 긴급돌봄만 제공하며, 돌봄아동 발열확인(체크), 센터 방역소독, 방역물품 비치 등 감염예방을 위한 방역수칙 준수에 철저를 기하고 있습니다.

이용료는 간식비 포함 월 5만원이며, 방학중 급식비는 별도입니다.

부모의 소득수준과 무관하게 만6세이상 12세미만 초등학생이 이용할 수 있으며, 우리동네키움포털(icare.seoul.go.kr/)이나 센터 방문을 통해 신청하면 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구청 아동청소년과(전화번호 02-820-9235)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박주일 아동청소년 과장은 “1동 1키움 목표로 촘촘한 돌봄환경을 구축할 계획“이라며, ”부모가 안심하고 자녀를 맡길 수 있는 공간과 양질의 돌봄 서비스로 아이가 행복한 동작을 구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구는 전년도(2020년) 서울시 키움센터 집중구로 선정되어 2024년까지 최대 63억 7600만원의 예산을 확보했고, 올해 하반기까지 융합형 2개소를 포함하여 우리동네 키움센터 13호점까지 확충할 계획입니다.

○ 참고1 : 사당3동 키움센터 외관 사진


○ 참고2 : 대방동 키움센터 내부 사진


출처 : 서울특별시 동작구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