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양주시(시장 이성호)는 2021년 8월 2일부터 덕정동에서 양주역을 오가는 87번 경기 시내버스 노선을 신설 운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서울시 108번 시내버스 노선 폐선에 따른 대체 노선 신설로, 대중교통 이용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것입니다.

 

양주시청 홈페이지


108번 노선은 양주 덕정동에서 종로5가까지 88.4킬로미터(km) 구간을 운행하는 장거리 노선으로, 1회 운행시간이 5시간 이상 소요되는 등 운송근로자 근무여건 문제로 폐선이 결정되었습니다.

신설된 87번 경기버스는 봉양동 소재 충성아파트를 출발, 덕정역, 덕정주공단지, 덕정고교, 옥정3단지, 옥정고교, 귀율교, 율정마을 13단지, 삼가대삼거리, 삼숭1교차로, 성우·나래아파트, 장거리교차로, 덕현초교, 고읍주공 4단지, 주내파출소, 양주시청 등을 거쳐 양주역까지 왕복 운행합니다.

평일 총 8대의 버스가 15분에서 25분 간격으로 1일 64회를 운행하며,

주말·공휴일에는 평일 대비 2대 감축한 총 6대의 버스가 20분에서 30분 간격으로 1일 48회를 운행할 예정입니다.

시 관계자는 “노선 폐선에 따른 대체 노선을 수유역과 도봉산역행으로 신설하고자 관내 운수업체와 수차례 협의했으나 운수업체 모두 신설 불가 의견을 제기함에 따라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양주역행 노선 신설했다”며 “앞으로도 시민 중심의 편리한 대중교통 편의 증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 87번 양주 시내버스 노선도


출처 : 경기도 양주시

반응형
반응형

강원도 고성군(군수 함명준)은 농어촌버스와 마을버스 노선의 개편 및 확대를 추진합니다.

군은 마을버스 2대를 구입, 운수회사와 협의를 완료하고 5개 읍.면 주민설명회를 개최하여 2021년 7월 19일 운행을 개시할 계획입니다.

 

강원 고성군청 홈페이지 https://www.gwgs.go.kr/kor/index.do


노선개편으로는 죽왕면 및 토성면에 마을버스를 1대 증차하여 도원리(운봉리)에서 천진구간, 백도에서 자작도 구간, 금화정에서 백도 구간을 신설하여 주민의 이동편의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또한, 농어촌버스 노선중 지속적으로 불편을 제기한 가진마을 구간을 편도 11회에서 20회로 확대합니다.

아울러, 고성군은 대중교통(농어촌버스와 마을버스) 운영시스템 개선용역을 통해 농어촌버스와 마을버스간 환승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일부노선에 대한 시간을 조정합니다.

 

이를 통하여 주민 버스 대기시간을 단축하여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며, 마을버스 노선을 읍.면 소재지 중심으로 조정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 할 수 있도록 개편작업을 지속 추진할 예정입니다.

고성군은 마을버스 환승 불편을 최소화하고 교통편리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희망택시를 확대 운영하는 등 대중교통 운영시스템을 강화해 나갈 방침입니다.

군 관계자는 “대중교통 주 이용객이 고령자와 학생들인 만큼 교통복지 차원에서 접근하여 이번 노선개편으로 고성군민을 위한 교통정책을 펼칠 수 있게 된 만큼 군민의 교통편리와 안전을 위해 고성군 대중교통모델을 확립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출처 : 강원도 고성군

반응형
반응형

완주군 이서면 각 마을까지 오가는 전주시내버스가 2021년 6월 26일부터는 이서 종점까지만 운행합니다.

전주시는 전주시내버스 이서방면 지간선제 노선개편으로 이렇게 시내버스 운행 방식이 변경된다고 6월 10일 밝혔습니다.

 

전주시 교통정보센터 홈페이지 http://www.jeonjuits.go.kr/its/bus1.view


노선개편으로 이서면 각 마을까지 운행하던 전주시내버스는 26일부터 이서 종점까지만 운행하고, 각 마을까지는 완주군 마을버스가 운행을 하게 됩니다.

이와 관련, 20번, 21번, 23번, 24번, 25번, 27번 등, 비전대학교에서 이서지역 각 마을까지 운행해오던 6대 버스 노선이 폐지됩니다.

이로써 165번 등 이서방면 운행 버스는 11개 노선, 34대에서 4개 노선, 31대로 개편됩니다. 

165번의 경우 종점이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이서 종점으로 변경되며 15분 배차 간격으로 기존보다 2대가 늘어난 16대가 운행됩니다.

 

220번과 통합되는 200번은 애통리(대농)에서 이서행정복지센터로 단축 운행되며, 기존보다 1대가 늘어난 총 4대가 50분 간격으로 다니게 됩니다.  

완주군 마을버스는 오는 6월 19일부터 임시 운행을 시작합니다.

성인, 학생, 어린이 구분 없이 500원에 이용 가능합니다.

차액 요금을 내면 전주시내버스와 최대 2회 환승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전주시와 완주군은 버스 이용객들의 원활한 환승을 돕기 위해 간선버스와 완주군 마을버스 간 배차시간을 연동하는 데 노력해왔으며, 변경노선 및 변경시간표 등을 홍보하는 데에도 힘쓰기로 하였습니다. 

시는 이번 노선개편으로 감차된 총 6대의 버스 중 3대는 165번과 200번에 증차해 배차간격을 줄여 이용객들의 편의와 운행의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나머지 3대의 감차로 연간 7억5000만 원 정도의 예산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향후 시는 오는 9월 완주군 소양면·상관면·구이면으로, 내년(2022년) 9월에는 삼례읍·봉동읍·용진읍 방면까지 노선개편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강준 전주시 시민교통본부장은 “전주·완주 지간선제는 버스 이용자와 운수업체, 지자체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정책”이라며 “향후 추진될 2·3단계 노선개편도 차질 없이 진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출처 : 전라북도 전주시

반응형
반응형

안산시(시장 윤화섭)는 선부동 땟골마을과 중앙역 사이를 운행하는 9-1번 경기 시내버스 노선을 신설하고 2021년 6월 21일 첫 시동을 건다고 11일 밝혔습니다.

 

경기버스정보시스템 홈페이지 http://www.gbis.go.kr/


시는 이날 선부다목적체육관에서 윤화섭 안산시장, 박은경 시의장을 비롯한 시의원과 민충기 (주)경원여객 대표, 지역주민 등 9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9-1번 오지노선 버스 개통식을 열고 주민숙원 해결을 기념하였습니다.


9-1번 노선은 버스 3대가 25~35분 간격으로 하루 30회 운행하며, 선부동 땟골마을을 출발해 라프리모아파트~군자주공아파트 11·12단지~단원구청·단원보건소~안산시청~중앙역을 경유합니다.

선부동 땟골마을 주민들은 수년 전부터 단원구청·단원보건소, 전철역을 오가는 버스노선 신설을 지속적으로 요구하여 왔습니다.

민선7기 안산시는 이에 따라 현장 확인, 주민 의견청취, 운송사업자 협의 등 행정절차를 거쳐 시내버스 노선 신설을 추진했습니다.

윤화섭 시장은 “이번 오지노선 시내버스 개통으로 학생, 어르신 등 주민들의 이동편의가 획기적으로 개선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대중교통 불편이 없도록 최선을 다 할 것”고 말했습니다.

한편 안산시는 권역별 도심 순환버스 도입, 오지·벽지 버스노선 확충, 65세 이상 교통약자 어르신 무상교통, 회전교차로 확대 설치 등 시민이 편리하고 체감할 수 있는 대중교통 정책을 추진하며 살맛나는 생생도시 안산 실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출처 : 경기도 안산시

반응형
반응형

천안시가 2021년 6월 15일부터 주요 도심지역을 순환하는 ‘심야버스’ 운행을 시작합니다.

시는 심야시간 대중교통 수요 해소를 위해 ‘노선번호 10번’을 부여하고, 밤 10시부터 다음날 새벽 4시까지, 30분 배차간격으로 천안형 심야버스를 운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천안시 교통정보시스템 홈페이지 http://its.cheonan.go.kr/

심야버스 노선은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라 천안시청을 기점.종점으로 천안아산역, 천안동부역, 터미널, 두정역 등 유동인구가 많은 주요 동 지역을 거쳐 양방향 순환 운행합니다.

심야버스 요금은 현행 천안지역 시내버스 요금과 동일하며, 교통카드 사용 시에는 어린이 700원, 청소년 920원, 성인은 1500원입니다.

천안시는 지난해(2020년)부터 심야버스를 도입을 준비하였으나, 코로나19 상황 악화로 인해 운행을 보류한 바 있습니다.

시 관계자는 “생활권 확대와 생활패턴의 다변화로 심야시간 유동인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심야시간 버스를 운행하게 됐다”며, “늦은 시간 귀가하는 시민들의 이동 편의와 안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많은 시민들의 이용을 부탁드린다”고 말했습니다.
 
출처 : 충청남도 천안시

반응형
반응형

파주시는 신성교통(주)의 금촌차고지가 2021년 6월 15일부터 운영을 중단함에 따라, 금촌차고지를 기점으로 운행 중인 노선은 맥금 차고지.교하 차고지로 조정한다고 밝혔습니다.

파주시청 홈페이지 https://www.paju.go.kr/

조정된 노선은 6월 15일 화요일 첫차부터 적용합니다.

 

맥금동 차고지로 이전되는 노선은 38번 등 10개 노선 시내버스와 2개 노선 마을버스이며,

교하차고지로 이전되는 노선은 567번 시내버스와 025번 등 3개 마을버스입니다.

이 중 맥금동 차고지로 이전되는 시내버스 567번은 금촌 구간을 운행하지 않고, 3번은 금촌차고지 및 금촌역 구간을 운행하지 않습니다.

 

또한, 교하차고지로 이전하는 025, 034번 마을버스는 운행횟수는 그대로 유지하지만, 금촌 일부 구간 노선이 변경되는 만큼 변경사항을 확인한 후 버스를 이용해야 합니다.

시내버스 567번이 운행하지 않는 금촌차고지, 금촌역, 금촌로터리, 금촌초교, 하지석동 입구 등은 기존 운행 중인 150번 노선을 이용한 후 당하리 이마트, 당하동 삼거리, 당하동, 와동동, 가람마을 3‧4‧6단지에서 환승이 가능합니다.

장문규 파주시 대중교통과장은 “금촌차고지가 업체 사정에 의해 불가피하게 폐쇄돼 맥금동 차고지와 교하 차고지로 나누어 출발지를 변경하게 됐지만 변경사항을 시민들에게 정확하게 알려 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편이 최소화되도록 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 버스노선 조정 현황표

 

변경차고지 노선
번호
조    정    현    황
맥금동차고지 시내
버스
38  노선조정 없이 회수, 배차 간격 조정
75, 75-1, 75-2, 75-3  노선 및 운행시간 변경 없이 동일 운행
77-1, 77-2, 77-3
3, 9  운행횟수 및 배차간격 조정
 금촌구간 일부 노선 조정
마을
버스
036  노선 및 운행시간 변경 없이 동일 운행
064  노선조정 없이 회수, 배차 간격 조정
교하
차고지
시내
버스
567  금촌구간 단축 운영
 150번 노선조정을 통해 단축구간 이용
 당하리 이마트~가람마을3·4·6단지 구간중 환승
마을
버스
025, 034  운행횟수 변경 없이 금촌구간 일부 노선 조정
073  노선 및 운행시간 변경 없이 동일 운행

 ※ 버스 운행 관련 문의처(전화번호)
    신성교통(주) 금촌차고지 031-941-3136, 교하차고지 031-941-1006~1016

출처 : 경기도 파주시

반응형
반응형

서울시가 코로나19바이러스 감염 위험 해소와 시민 이동 편의 증진을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로 시행되고 있는 시내버스 평일 야간 (22시 이후~)감축 운행을 정상화 합니다.

시는 2021년 4월 5일(월)부터 시내버스 혼잡도에 따라 선별적으로 평일 야간 시간(22시 이후~)의 정상 운행을 시행하며, 혼잡도 개선 및 승객 증가에 따른 이동 수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서울대중교통 버스정보시스템 홈페이지 bus.go.kr/

그 동안은 야간 통행량 감소를 통한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지난 2020년 11월 24일(화)부터 평일 22시(오후10시) 시내버스 운행을 최대 20퍼센트(%)까지 감축 운영하여 왔으며, 코로나19 확산시기·계절적·시기적 요인 등도 세심하게 고려해 강화된 방역, 대응을 실시하여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3월부터는 영업제한 완화 등으로 인해 평일 심야시간대의 일부 노선의 이용객수 및 혼잡도가 증가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 감축운행하고 있는 서울 시내버스 356개 노선 중 '22시 이후 차내 혼잡도 80% 이상이 1주간 3일 이상 발생'하는 71개 노선에 대해 선별적, 순차적으로 운행 정상화를 시행합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적용으로 30% 감축 운행이 시행되었던 시기와 비교해, 2단계 적용 시기의 22시 이후 평일 심야시간대 평균 이용객과 혼잡도는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운행 정상화 기준은 감축운행 시간대 혼잡율이 80%(승객 36명) 이상이며, 혼잡이 1주간 3일 이상 발생했을 경우입니다.

시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해 혼잡이 발생하는 노선에 대한 선별적, 순차적인 운행 정상화를 검토할 예정입니다.

 

또한 서울시의 대표적 수요대응형 대중교통 서비스인 올빼미버스, 다람쥐 버스 운행을 통하여 심야시간 및 출근시간 이동을 적극 지원합니다.

노병춘 서울시 버스정책과장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조정과 경제 활동 정상화로 시내버스의 평일 야간 이용객도 점차 증가 추세로 이어지고 있는 만큼,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시민 이동 편의 증진을 위해 운행을 정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여전히 조기 귀가, 불요불급한 이동 자제 등 방역 지침에 대한 협조가 필요하므로,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습니다.

○ 평일 야간 정상 운행 대상 버스노선표

 

혼잡도 80%이상 3일

(26개노선)

혼잡도 80%이상 4일

(18개노선)

혼잡도 80%이상 5일

(27개노선)

1014번

1132번

1142번

102번

1167번

1154번

110A번 고려대

145번

1155번

1141번

3012번

1224번

1162번

320번

152번

142번

3313번

160번

2112번

5413번

2415번

2115번

5522A번 난곡

301번

2412번

5522B번 호암

3417번

2413번

571번

3425번

272번

641번

360번

3216번

643번

402번

3315번

6514번

420번

340번

6515번

421번

4319번

6627번

4212번

4412번

753번

461번

472번

7720번

501번

5513번

774번

5515번

5627번

 

5617번

603번

 

5621번

604번

 

6513번

654번

 

6628번

6640B번

 

6635번

6716번

 

6638번

7715번

 

702A번 서오릉

773번

 

7612번

 

 

7734번


출처 : 서울특별시

반응형
반응형

지난해(2020년) 12월 31일, 전면 개편한 인천 시내버스 노선 중 일부를 시민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조정.시행합니다.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2021년 신학기 개학 전 통근(통학) 불편, 한정면허 대체(폐선) 노선 불편사항, 환승연계 등 시민 요구사항을 반영해 시내버스 23개 노선을 일부 조정해 오는 2월 27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시는 노선 개편(조정) 이후 10개 군·구, 관계기관, 시민(시의원 등)들로부터 시내버스 노선불편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습니다.

 그 결과 한정면허(905번, 907번 등 13개 노선) 종료 대체에 따른 불편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시는 시민 요구사항과 개선 필요사항 등을 반영한 시내버스 노선 조정안을 마련해 지난 2월 8일 열린 노선조정분과위원회에서 이를 확정하였습니다.

이번 일부 조정에서는 한정면허 대체(폐선)와 관련해 10개 노선*을 추가 보완하고, 송도국제도시·청라국제도시 등 노선개편 이후 통근(통학)불편, 환승연계 등의 요구가 있는 10개 노선**이 변경됩니다.

 또한, 차량 재배치에 따른 운행계통 3개 노선이 조정됩니다. 
   * 2-1, 43, 46, 급행95, 급행97, 523, 523-1, 536, 585, 순환52번 
   ** 58, 82, 92, 93, 202, 591, 순환44, e음55, e음84, e음85번

특히, 서구 검단지역의 오랜 숙원이었던 김포골드라인 걸포북변역을 연계하는 92번 신규 노선이 운행되어 서울 등 수도권으로 출퇴근하는 시민들에게 지하철 환승 편의를 제공하게 됐습니다.

이번 노선 조정은 2021년 2월 27일 첫 차부터 연수구(송도), 남동구·부평구·계양구, 서구(청라)를 경유하는 23개 노선 일부 구간에서 적용할 예정입니다.

 

노선 조정에 관한 세부적인 내용은 120미추홀콜센터나 인천시청 홈페이지(www.incheon.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시는 이번 노선 일부 조정 시행으로 시민들의 대중교통 이용편의 체감도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한편, 인천시는 지난해(2020년) 12월 29일 '시내버스 조정노선 모니터링 및 안정화 연구용역'을 착수한 바 있습니다.

이번 용역을 통해 노선개편 시행 이후 나타나는 문제점과 시민들의 버스 이용현황, 민원사항 등을 분석해 필요시 추가 조정을 통해 시내버스 노선 안정화 및 조기정착을 도모한다는 방침입니다.

김철수 시 버스정책과장은“이번 버스노선 조정은 한정면허 폐선으로 대체되는 노선을 추가 수정하고 보완하는 한편, 노선 개편 이후 통근·통학, 환승연계 등 시민들의 민원요구에 대한 대중교통 편의 제고에 초점을 뒀다”며, “노선 조정에 따라 일부 구간에서 환승이 발생할 수 있으나, 시민들의 요구와 접근성이 보다 개선될 전망되며, 향후에도 버스가 시민들의 발로 훌륭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 2021 인천 시내버스 노선 조정 내역 표

 

연번

조정 지역

노선번호

조정유형

노선조정 사유 및 효과

비고

1

연수구

58번

변경

송도5공구↔예송중 연결(81번 폐지·대체)로 노선조정

통학불편

2

82번

변경

송도1공구(송도2동)↔인천터미널, 주안역 연계로 노선조정

통근불편

3

523번

변경

동춘1구역(2,200세대) 주민 버스이용 접근편의 개선

노선연계

4

525번(가칭)

(구523-1번)

변경

송도1공구(780-2번, 103-1번 미경유, 연송고, 신송고 통학 고려)에서 캠퍼스타운역 연계와 동춘1구역↔동춘역 연결

통학불편

5

순환44번

변경

송도스포츠센터 방향 수요맞춤형 노선의 효율성 향상

노선연계

6

남동구

536번

변경

수산동 지역(754번, 909번 미경유)의 버스이용 편의 제공

노선연계

7

순환52번

변경

논현주공12, 14단지 급행95번 직선화로 인한 노선 대체

노선연계

8

e음55번(이음버스)

변경

논현주공1, 2, 3단지 주민의 버스이용 편의 제공

노선연계

9

남동구·부평구

46번

변경

구월동, 간석동, 만수동↔부평역, 부평시장역 연계노선 조정

통근불편

10

계양구·서구

2-1번

변경

작전역과 한림병원 연계(770-1번 폐선·대체), 청라3동 이전에 따라 노선조정

노선연계

11

남동구.부평구.계양구

급행97번

변경

급행97번(905번 폐선·대체) 종점부 노선단축 등 배차 개선

배차불편

12

78번

운행계통

이용수요를 고려한 급행97번 차량이동 재배치(2대 감)

-

13

계양구

급행95번

변경

급행95번(905번 폐선·대체) 기종점부 직선화 등 배차 개선

배차불편

14

2번

운행계통

이용수요를 고려한 급행95번 차량이동 재배치(2대 감)

-

585번

변경

효성동↔작전역 연계(770-1번 폐선·대체)로 노선조정

통근불편

15

16

서구

43번

변경

청라4단지부평역 접근(904번 폐선·대체) 교통편의 개선

통근불편

17

92번(가칭)

신설

마전동, 불로대곡동↔걸포북변역(김포시) 연계로 노선신설

노선연계

18

1번

운행계통

이용수요를 고려한 신설92번 차량이동 재배치(3대 감)

-

19

93번

변경

공촌동(대인고, 서인천고) 교통여건을 고려한 버스 운행경로 개선

통학불편

20

202번

변경

청라3동행정복지센터 이전에 따라 청라한내로 경유 노선조정

노선연계

21

591번

변경

종합환경연구단지 이용수요 저조로 노선(단축)의 효율성 개선

통근불편

22

e음84번(이음버스)

변경

청라3동행정복지센터 이전에 따라 청라한내로 경유 노선조정

노선연계

23

e음85번(이음버스)

변경

청라3동행정복지센터 이전에 따라 청라한내로 경유 노선조정

노선연계


출처 : 인천광역시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