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양시가 안양과 고양시를 오가는 시민 교통 편의를 위하여 ‘경기도 공공버스 전환 공모 사업’을 추진, 8407번 직행좌석형(광역)버스 1개 노선이 선정되었다고 2023년 6월  7일 밝혔습니다.

경기도 공공버스는 영구면허로 운영하는 민영제와 달리 경기도가 버스 노선을 소유하고 경쟁입찰을 거쳐 운송사업자에게 한정면허를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선정된 8407번은 기존 경원여객이 2020년 6월 휴업함에 따라, 운행이 중단된 범계역(안양)~일산 킨텍스(고양) 노선입니다.

롯데백화점.범계역(정류장고유번호 10047,10046)에서부터 경인제2고속도로와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를 거쳐 킨텍스제2전시장(20660)까지 운행하는 왕복 103.8킬로미터(km) 노선입니다.

시는 8407번 운행 중단으로 불편을 겪는 시민 불편 해소, 특히 출퇴근 시민의 교통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경기도 공공버스 전환 공모사업을 추진했다고 설명하였습니다.
 
경기도 주관으로 입찰 및 사업자 선정 등의 절차를 거쳐 2023년 9월부터 본격 운행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총 9대의 버스로 운영하며, 오전 5시(첫 차)부터 오후 22시 30분(마지막 차)까지 15~40분 간격으로 하루 36회 운행할 예정입니다.
 
최대호 안양시장은 “민영제로 운영이 어려운 노선을 경기도 공공버스 전환 공모사업을 통해 추진하게 됐다”며 “시민 교통 불편 해소와 편의 제공을 위해 오는 9월 운영 재개를 차질없이 준비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 전체 정류소(정류장) 목록

상행 하행
구분 정류소명 정류소ID 소재지 구분 정류소명 정류소ID 소재지
1 롯데백화점.범계역 10047 안양시 13 킨텍스제2전시장 20660 고양시
2 비산사거리.이마트 10004 안양시 14 대화역 20085 고양시
3 대동문고 09139 안양시 15 주엽역() 220136 고양시
4 안양대교앞 09102 안양시 16 일산동구청() 20227 고양시
5 시흥영업소 25847 시흥시 17 마두역() 20247 고양시
6 김포영업소 35601 김포시 18 백석역() 20311 고양시
7 안산공원() 20323 고양시 19 김포영업소 35600 김포시
8 마두역() 20249 고양시 20 시흥영업소 25846 시흥시
9 일산동구청() 20224 고양시 21 안양대교 09098 안양시
10 주엽역() 20135 고양시 22 시외버스터미널.
교보생명
09138 안양시
11 대화역 20086 고양시 23 비산사거리.이마트 10005 안양시
12 킨텍스제2전시장 20660 고양시 24 동안경찰서.범계역 10046 안양시
 


출처 : 경기도 안양시

반응형
반응형

정해진 노선, 운행 시간 없이 승객이 부르면 오는 신개념 교통수단 ‘똑버스’가 2023년 5월 30일부터 수원 광교 전역에서 운영에 들어갑니다.

‘똑똑하게 이동하는 버스’라는 의미의 ‘똑버스’는 경기도형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  Demand Responsive Transport) 명칭(브랜드)입니다.

5월 30일부터 시범 운행을 하고, 6월 7일부터 10대 차량으로 정식 운행에 들어갑니다.

똑버스는 11인승 승합차로 운행을 하며, 매일 오전 6시부터 자정(오전 12시)까지 운행합니다.

똑버스는 고정된 노선, 운행 계획 없이 일정한 지역 안에서 승객의 예약과 호출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행하는 수요응답형 교통수단입니다.

AI(인공지능)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승객들 수요에 맞춘 최적의 이동 경로를 만들어 운행합니다.

경기교통공사가 운영하는 통합교통플랫폼 ‘똑타’ 앱으로 똑버스를 호출하고, 요금을 결제할 수 있습니다.

승객이 호출하면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똑버스를 기준으로 운행노선, 승차지점, 승.하차 시간을 실시간으로 산출하여 승객에게 안내합니다.

같은 시간대에 이동 경로가 비슷한 승객이 예약하면 AI가 실시간으로 우회 노선을 생성하여 합승하는 방식입니다.

이용 요금은 일반 시내버스와 같은 1,450원(교통카드 기준)이고, 수도권 통합환승 할인이 적용되어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경기도는 2021년 12월 파주 운정신도시·교하지구 일원에서 똑버스를 시범 도입하였고, 올해 4월까지 35만여 명이 이용하였습니다.

저렴한 교통비로 빠르고 편리하게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어 이용자들의 만족도가 무척 높습니다.

경기도는 올해 8월까지 수원시를 비롯한 경기도 10개 시군에 똑버스 126대를 도입할 계획입니다.

수원시 관계자는 “대중교통수단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광교1·2동에 똑버스가 운행돼 시민들이 한결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을 것”이라며 “스마트폰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어르신들을 위해 광교 지역 수원시 디지털배움터에서 똑타 앱 설치·이용 방법을 교육해 어르신들이 똑버스를 이용하실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하였습니다. 


출처 : 경기도 수원시

반응형
반응형

고양특례시는 급변하는 도시 변화에 발맞춰 시민의 대중교통 이용 편의 증진을 위하여 신규택지개발지구 및 철도교통망 연계 버스노선 개편.증차, 수요응답형 버스(DRT) 도입, 친환경 충전소 및 전기저상버스 도입 등을 추진해 시민친화적인 버스노선체계를 조성할 방침입니다.

고양시는 지축, 삼송, 덕은지구 등 신규택지개발지구 입주민 증가에 따라 버스노선을 신설, 연장, 증차하고 스마트 정류소를 설치하는 등 편리한 대중교통 이용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시는 지난해(2022년) 9월, 운수업체 경영악화로 운행 대수가 4대까지 줄었던 999번 버스를 재정지원과 운수업체 협약체결로 당초 운행대수인 13대로 정상화하였습니다.
999번 버스는 일산서구청과 식사지구, 원흥‧삼송지구까지 고양시 동서 주요 거점을 연결하는 버스입니다.

지난해 2월에는 지축지구 외곽 주민을 위하여 052번을 LH8단지까지 연장하고,
 올해(2023년) 2월에는 56사단 장병들을 위해 077B번이 56사단을 경유하도록 노선을 조정하였습니다.
최근 인구 유입이 급증한 삼송지구 오금동은 지난 3월부터 077A번 버스 7대가 오금동을 경유하도록 해 지축역으로 빠른 환승이 가능해 졌습니다.

지난해 9월에는 덕은지구에서 향동고등학교까지 통학하는 학생들을 위해 서울시와 협의하여, 고양시 내를 우회해 향동고로 이어지던 마을버스 022B번이 최단거리인 서울 수색교 부근을 경유하도록 노선을 변경하였습니다.

서울시와 장기간 협의 끝에 오는 6월에는 덕은지구와 현천동에서 상암 디지털미디어시티(DMC)역까지 운행하는 2개 노선을 신설할 예정입니다.

추가 신규 택지개발지구 노선 개편은 지난해 6월부터 진행 중인 제4차 지방대중교통계획 수립용역에 담길 예정입니다.
6월중으로 완료되는 용역에는 이외에도 GTX-A, 서해선 개통에 따른 노선체계 개편, 마을버스와 도시철도 연계 강화, 대중교통 정류장과 환승시설 개선, 버스 준공영제 도입 방안 등을 함께 마련할 계획입니다.

지난해 7월부터 12월까지 68개소 버스 쉘터(가림벽)를 새로 설치하는 등 쉘터 설치도 늘려가고 있습니다.
 특히 냉난방기(온열 의자, 에어커튼 등)를 구비한 ‘스마트 정류소’를 지난해까지 향동.지축.덕은지구 각 4개소(12개소), 일산동에 2개소를 설치하였습니다.
 올해 7월부터 내년(2024년) 12월까지 삼송.원흥.지축.향동.식사지구에 각 3개소(15개소), 덕이지구에 1개소를 설치할 예정입니다.

대화역에는 중앙 버스전용차로 정류장이 들어섭니다.
 이용객이 상하행선을 합쳐 월 평균 56만명이 넘는 대화역 버스정류소의 혼잡도 개선을 위해 7월 중으로 중앙 버스전용차로 정류장을 착공, 연내 완공할 계획입니다.

일정한 노선 없이 구역 내에서 승객의 호출에 따라 이동하는 '수요응답형 버스(DRT) -고양똑버스' 7대가 식사.고봉 지역에서 2023년 6월 27일부터 운행을 시작합니다.
식사.고봉지역은 대중교통 이용 수요가 일정하지 않고, 장거리로 인해 운행 노선이 적어 주민들이 교통 이용에 불편을 겪어 왔습니다.

식사동은 출퇴근 시간대는 고정노선으로 식사 ↔ 대곡을, 이외의 시간은 탄력노선형으로 원당역.대곡역.백마역.풍산역을 4대의 저상전기버스(18인승)로 운행합니다.

고봉동은 소형 승합차 3대(11인승)가 마을 내를 거쳐 동국대병원, 일산역, 풍산역, 관산동 일대까지 교통 편의를 제공합니다.

시는 식사동 고봉동 시범운행을 토대로 2024년에는 덕은.향동지구에 고양똑버스 13대(11인승)를 도입할 계획입니다.

고양똑버스는 똑타앱(애플리케이션)에서 회원가입 후 호출을 통해 이용할 수 있고, 요금은 시내버스 요금과 동일한 1,450원으로 책정했습니다.
 지하철이나 일반버스로 환승 할인 또한 동일(4회 환승 10킬로미터(㎞) 이내)하게 적용합니다.

대화버스공영차고지에는 2024년까지 친환경 전기충전시설 및 수소 충전시설을 설치합니다.

시는 국비와 민간투자를 확보해 액화수소충전소 4기를 설치하고, 민간공모 방식으로 전기충전소 10기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원당역 일원에 19,067평방미터(㎡)(지하1층~지상4층) 면적으로 총 436억원을 투입하여 조성하는 원당버스공영차고지에도 전기‧수소충전시설을 설치할 계획입니다.

전기저상버스 도입도 확대합니다.

현재 고양시에 등록된 버스는 1,078대로 그중 전기저상버스는 192대입니다.

시는 올해 차령이 만료된 181대의 노선 버스를 전기저상버스로 교체하여 전기저상버스 도입률을 18퍼센트(%)에서 35%까지 늘리고,
 2025년도 말까지 전기저상버스 255대를 추가 도입해 총 628대(전기 603대, 수소 25대, 56%)까지 친환경자동차를 확대 도입할 예정입니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신규택지개발, 인구증가 등 고양시가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늘어나는 교통 수요에 시민들의 불편이 없도록 시민친화적인 버스노선체계 개편, 교통 소외지역 이동권 보장과 친환경 대중교통 인프라 구축까지 시민의 시선에서 교통망을 꼼꼼히 바꿔나가겠다”고 말하였습니다.

○ 고양시 주요 버스노선 개편도


출처 : 경기도 고양시

반응형
반응형

양주시(시장 이성호)는 2021년 8월 2일부터 덕정동에서 양주역을 오가는 87번 경기 시내버스 노선을 신설 운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서울시 108번 시내버스 노선 폐선에 따른 대체 노선 신설로, 대중교통 이용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것입니다.

 

양주시청 홈페이지


108번 노선은 양주 덕정동에서 종로5가까지 88.4킬로미터(km) 구간을 운행하는 장거리 노선으로, 1회 운행시간이 5시간 이상 소요되는 등 운송근로자 근무여건 문제로 폐선이 결정되었습니다.

신설된 87번 경기버스는 봉양동 소재 충성아파트를 출발, 덕정역, 덕정주공단지, 덕정고교, 옥정3단지, 옥정고교, 귀율교, 율정마을 13단지, 삼가대삼거리, 삼숭1교차로, 성우·나래아파트, 장거리교차로, 덕현초교, 고읍주공 4단지, 주내파출소, 양주시청 등을 거쳐 양주역까지 왕복 운행합니다.

평일 총 8대의 버스가 15분에서 25분 간격으로 1일 64회를 운행하며,

주말·공휴일에는 평일 대비 2대 감축한 총 6대의 버스가 20분에서 30분 간격으로 1일 48회를 운행할 예정입니다.

시 관계자는 “노선 폐선에 따른 대체 노선을 수유역과 도봉산역행으로 신설하고자 관내 운수업체와 수차례 협의했으나 운수업체 모두 신설 불가 의견을 제기함에 따라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양주역행 노선 신설했다”며 “앞으로도 시민 중심의 편리한 대중교통 편의 증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 87번 양주 시내버스 노선도


출처 : 경기도 양주시

반응형
반응형

강원도 고성군(군수 함명준)은 농어촌버스와 마을버스 노선의 개편 및 확대를 추진합니다.

군은 마을버스 2대를 구입, 운수회사와 협의를 완료하고 5개 읍.면 주민설명회를 개최하여 2021년 7월 19일 운행을 개시할 계획입니다.

 

강원 고성군청 홈페이지 https://www.gwgs.go.kr/kor/index.do


노선개편으로는 죽왕면 및 토성면에 마을버스를 1대 증차하여 도원리(운봉리)에서 천진구간, 백도에서 자작도 구간, 금화정에서 백도 구간을 신설하여 주민의 이동편의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또한, 농어촌버스 노선중 지속적으로 불편을 제기한 가진마을 구간을 편도 11회에서 20회로 확대합니다.

아울러, 고성군은 대중교통(농어촌버스와 마을버스) 운영시스템 개선용역을 통해 농어촌버스와 마을버스간 환승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일부노선에 대한 시간을 조정합니다.

 

이를 통하여 주민 버스 대기시간을 단축하여 주민 불편을 최소화하며, 마을버스 노선을 읍.면 소재지 중심으로 조정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 할 수 있도록 개편작업을 지속 추진할 예정입니다.

고성군은 마을버스 환승 불편을 최소화하고 교통편리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희망택시를 확대 운영하는 등 대중교통 운영시스템을 강화해 나갈 방침입니다.

군 관계자는 “대중교통 주 이용객이 고령자와 학생들인 만큼 교통복지 차원에서 접근하여 이번 노선개편으로 고성군민을 위한 교통정책을 펼칠 수 있게 된 만큼 군민의 교통편리와 안전을 위해 고성군 대중교통모델을 확립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출처 : 강원도 고성군

반응형
반응형

천안시가 2021년 6월 15일부터 주요 도심지역을 순환하는 ‘심야버스’ 운행을 시작합니다.

시는 심야시간 대중교통 수요 해소를 위해 ‘노선번호 10번’을 부여하고, 밤 10시부터 다음날 새벽 4시까지, 30분 배차간격으로 천안형 심야버스를 운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천안시 교통정보시스템 홈페이지 http://its.cheonan.go.kr/

심야버스 노선은 빅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라 천안시청을 기점.종점으로 천안아산역, 천안동부역, 터미널, 두정역 등 유동인구가 많은 주요 동 지역을 거쳐 양방향 순환 운행합니다.

심야버스 요금은 현행 천안지역 시내버스 요금과 동일하며, 교통카드 사용 시에는 어린이 700원, 청소년 920원, 성인은 1500원입니다.

천안시는 지난해(2020년)부터 심야버스를 도입을 준비하였으나, 코로나19 상황 악화로 인해 운행을 보류한 바 있습니다.

시 관계자는 “생활권 확대와 생활패턴의 다변화로 심야시간 유동인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따라 심야시간 버스를 운행하게 됐다”며, “늦은 시간 귀가하는 시민들의 이동 편의와 안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많은 시민들의 이용을 부탁드린다”고 말했습니다.
 
출처 : 충청남도 천안시

반응형
반응형

일반 광역버스보다 더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기 프리미엄버스'가 올해 기존 6개 노선에서 최대 16개 노선까지 늘어날 전망입니다.


경기도는 올해 5월부터 수도권 출퇴근 교통편의 제고를 위해 ‘경기 프리미엄버스’ 10개 노선을 순차적으로 확대 도입한다고 2021년 5월 5일 밝혔습니다.

 

경기도 버스정보시스템 홈페이지 www.gbis.go.kr/


‘경기 프리미엄버스’는 경기도가 민선7기 공약인 ‘대중교통이 자가용보다 편한 경기’ 실현 차원에서 출퇴근 시간대 자가용 이용객의 대중교통 이용전환을 유도하고자 도입한 신개념 교통 서비스입니다.

 
28~31인승 우등형 차량 도입, 모바일 좌석 예약제 시스템, 주요 거점만 정차하는 급행화, 코로나 시대 대비 태그리스(Tagless) 결제시스템 등으로 일반 광역버스보다 넓고, 빠르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도는 지난해(2020년) 11월부터 수원 1개, 용인 3개, 화성 2개 총 6개 노선을 시범사업으로 도입·운행 중으로, 기존 광역버스의 단점으로 지적되어 온 입석운행, 긴 승차대기 및 이동 시간, 잦은 환승, 좁은 좌석, 출퇴근 시간 단축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제로 올해 1월 실시한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1퍼센트(%)가 10~20분 이상 출근시간이 단축됐다고 답변했고, 만족한다는 응답이 88%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아울러 68% 이상이 프리미엄버스를 증차해야 한다고 응답했습니다.


도는 이 같은 시범사업 운영 성과에 힘입어 올해 시군별 수요조사를 토대로 노선을 확대 운영하기로 결정한 것입니다.

  
우선 1차로 수원(권선)-서울역, 용인(마북)-숭례문, 용인(흥덕)-잠실, 의정부(민락1)-건대, 의정부(민락2)-건대, 의정부(민락2)-창동, 의정부(고산)-건대 7개 노선을 2021년 5월 10일부터 순차적으로 도입합니다.

 
나머지 3개 노선은 시흥 2개, 양주 1개 노선으로, 시군 협의, 노선계획 수립, 한정면허 공모 등의 절차를 거쳐 확정, 연내 운행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경기 프리미엄버스’는 회원제로 운영합니다.

모바일 앱 미리 플러스(MiRi+)를 내려 받아 회원 등록 후 탑승하려는 노선과 좌석을 미리 예약하면 됩니다.


주말과 공휴일은 운영하지 않으며, 출퇴근 시간(출근 오전 6~9시, 퇴근 오후 5~10시)대에만 운행합니다.

운임은 평일 출퇴근 한정 운행한다는 점, 기존 버스와의 차별화 등을 고려해 1회 당 3,050원입니다.

다른 대중교통과 마찬가지로 환승요금제가 적용됩니다. 

 

도는 시군과 함께 신규 노선에 대한 점검을 지속적으로 실시, 이를 바탕으로 확대계획을 수립해 운행노선과 운행시간을 확대하여 나갈 계획입니다.


이호원 경기도 버스정책과장은 “이번 경기 프리미엄버스 신규노선 확대로 출퇴근시간이 단축되고, 우등형 좌석 도입으로 여유롭고 편안한 출퇴근길이 될 것”이라며 “철저한 모니터링과 분석을 통해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습니다.

○ 2020년도 도입 지역 및 노선
  출·퇴근 시 6개 노선(수원1, 용인3, 화성2) 24회 편도 운행

 

구분

노선

번호

기점 

종점 

거리

(km)

대수

편도

횟수

비고

-

-

-

 

12

24

-

수원

P9100

호매실엔루체

판교테크노밸리

32

2

4

출근 2, 퇴근 2

화성

P9301

동탄1신도시

잠실광역환승센터

43

2

4

출근 2, 퇴근 2

P9302

동탄2신도시

잠실광역환승센터

48

2

4

출근 2, 퇴근 2

용인

P9241

남사아곡지구

판교테크노밸리

40

2

4

출근 2, 퇴근 2

P9242

서천지구

판교테크노밸리

26

2

4

출근 2, 퇴근 2

P9201

남사아곡지구

강남역

51

2

4

출근 2, 퇴근 2


○ 2021년도 도입 지역 및 노선 (1차 사업)
  출·퇴근 시 7개 노선(수원1, 용인2, 의정부4) 28회 편도 운행 예정

 

구분

노선

번호

기점 

종점 

거리

(km)

대수

편도

횟수

비고

-

-

-

 

14

28

-

수원

미정

권선지구(아이파크)

서울역

48

2

4

출근 2, 퇴근 2

용인

미정

흥덕지구(영덕1동)

잠실역

35

2

4

출근 2, 퇴근 2

미정

마북동(교동마을)

숭례문

30

2

4

출근 2, 퇴근 2

의정부

미정

민락1지구(민락초교)

건대입구역

33

2

4

출근 2, 퇴근 2

미정

민락2지구(송산초교)

건대입구역

36

2

4

출근 2, 퇴근 2

미정

민락2지구(송산초교)

창동역

18

2

4

출근 2, 퇴근 2

미정

고산지구(고산1단지)

건대입구역

34

2

4

출근 2, 퇴근 2


● 2021년도 도입 지역 및 노선 (2차 사업)
  출·퇴근 시 3개 노선(시흥2, 양주1) 12회 편도 운행 예정
  현재, 노선계획 및 한정면허 공모 준비 중

☆ 경기 프리미엄 버스 외관, 내부 사진


출처 : 경기도

반응형
반응형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2021년 4월 26일, 전국 최초로 ‘전기 저상 2층 버스’ 2대를 광역급행버스 M6450번 노선에 투입한다고 밝혔습니다.

 

2층 전기버스 개통에 따라 해당 노선을 이용하는 시민들은 더 이상 만차로 인하여 다음 차를 기다려야 하는 불편이 없어지게 됩니다. 

 

인천버스정보 홈페이지 bus.incheon.go.kr/


인천시를 운행하는 광역버스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이용객이 20~40퍼센트(%)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출․퇴근 시간에만 승객이 몰려 만석이 되기 때문에 시민들은 다음 차를 기다리는 등의 불편을 많이 겪었습니다. 

특히 송도국제도시는 지하철을 이용하여 서울 강남지역 등으로 이동하기에 불편함이 많아 광역버스로 출․퇴근하는 해당 노선 이용자들에게는 희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

이번에 개통하는 M6450 노선의 2층 전기버스는 현대자동차에서 제작한 일렉시티 모델로 1층 12석, 2층 59석 등 총 71인승이며. 72분 충전으로 300킬로미터(km) 주행이 가능합니다. 

충전시설은 송도동 323번지 M6450번 회차지에 설치되었습니다.

 

차량 가격은 1대당 8억 원으로, 총 사업비는 국비와 인천시 그리고 연수구 보조금을 비롯해 업체의 자부담 등 총 16억이 투입되었습니다. 

M6450번 광역버스는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서 면허를 받아 2020년 5월 운행개시 했으며, 기점은 송도 8공구 e편한세상아파트 정문에서 시작하여 서울 한국무역센터․삼성역까지 운행합니다. 

인천시는 이번 친환경 2층 전기버스 개통으로 고질적인 광역버스 출퇴근 민원 해결과 아울러 디젤연료를 이용하는 경기도 2층 버스의 대기오염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한 주52시간제와 인건비 상승 등으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광역버스 운송업체에게는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이 될 수 있어 2층 전기버스의 적극적인 도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버스 개통식은 2021년 4월 21일 15시30분에 인천시, 국토교통부, 환경부 및 연수구와 제작사인 현대자동차, 운송업체인 인천선진교통(주)이 함께 테이프 커팅과 시승식을 M6450 회차지(송도동 323번지)에서 간소하게 개최하였습니다.

이날 행사에는 안영규 인천시 행정부시장, 최기주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장, 홍정기 환경부 차관, 정일영 국회의원, 박병근 연수구 부구청장, 신기범 인천선진교통 대표 등이 참석하였습니다.


안영규 인천시 행정부시장은 “이번 M6450 2층 전기버스 개통을 시작으로 다른 광역 노선에도 2층 전기버스가 개통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시민들의 출퇴근 교통편의 향상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 2층 저상 전기버스 사진

출처 : 인천광역시

반응형
반응형

경기도가 서울을 오가는 공공버스의 장시간 줄서기로 인한 도민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2021년 4월 22일부터 실시간으로 경기도 공공버스를 예약하고 탈 수 있는 ‘공공버스 간편예약제’ 시범서비스를 시행합니다.


4월 15일, 도에 따르면 이번 시범서비스 대상은 사당역을 운행하는 공공버스 중 배차간격이 20분 이상인 8155번, 8156번, 1002번, 1008번 등 총 4개 노선입니다.


서울지하철 2호선과 4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인 사당역은 경기도와 서울을 오가는 하루 공공버스 이용객이 3만 명을 훌쩍 넘고, 저녁 퇴근시간대 특정 노선의 경우 100미터(m)가 넘는 대기행렬로 장사진을 이루는 곳입니다.

 

특히 비, 눈, 황사 등 기상악화 시에는 대기줄도 감별할 수 없을 정도의 혼란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공공버스 간편예약제’는 ‘경기버스정보’ 앱에서 사당역으로 오고 있는 공공버스의 도착예정시간, 예약가능 좌석수 등을 확인 후 희망하는 버스를 예약하도록 쉽게 설계한 것이 특징입니다. 

 

탑승 시 혼란 예방을 위해 예약자가 먼저 탑승 후 비예약자는 잔여석에 탑승하는 식으로 운영합니다.

 

예약 및 취소는 사당역 전 정류소까지 가능하며, 버스도착 전 승차준비 알림을 통해 승객이 예약한 버스를 놓치지 않도록 지원합니다.

 

요금결제는 예약 시 등록한 교통카드를 단말기에 태그하면 됩니다.

 

코로나 시대에 맞춰 단말기에 교통카드를 태그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요금이 결제되는 ‘태그리스 결제시스템’도 안드로이드폰에 한하여 지원합니다.

 

NFC 기능이 없는 아이폰은 6월부터 태그리스 결제시스템을 지원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또한 무분별한 예약으로 인한 선의의 피해자 방지를 위해 불가피하게 노쇼(예약 후 미탑승)에 따른 페널티(불이익) 정책도 운영할 방침입니다.

노쇼(예약부도) 승객은 다음날 평일 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도는 노약자, 외국인, 스마트폰 미사용자 등 정보취약계층도 이용에 어려움이 없도록 현장안내원과 경기버스라운지 내 키오스크를 운영합니다.

 

특히 사당역 현장에서는 앱 설치 및 회원가입, 예약방법 등을 안내하며 도민들의 적극적인 동참을 유도할 예정입니다.

 

도는 공공버스 이용객 줄서기 불편 감소 등 간편예약제 효과를 면밀히 분석해 향후 사당역 왕복형 전체노선으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이용주 경기도 공공버스과장은 “도민들께서 광역버스를 이용할 때마다 불확실, 불안, 불편 등의 고통을 매일 겪고 계시는데, 간편예약제는 이 같은 3不(불) 해소 정책으로서 도민들의 실질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이라며 “간편예약제가 성공적으로 현장에 안착될 수 있도록 대대적인 현장안내와 더불어 도민들의 동참을 호소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출처 : 경기도

반응형
반응형

서울시가 코로나19바이러스 감염 위험 해소와 시민 이동 편의 증진을 위해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로 시행되고 있는 시내버스 평일 야간 (22시 이후~)감축 운행을 정상화 합니다.

시는 2021년 4월 5일(월)부터 시내버스 혼잡도에 따라 선별적으로 평일 야간 시간(22시 이후~)의 정상 운행을 시행하며, 혼잡도 개선 및 승객 증가에 따른 이동 수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서울대중교통 버스정보시스템 홈페이지 bus.go.kr/

그 동안은 야간 통행량 감소를 통한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지난 2020년 11월 24일(화)부터 평일 22시(오후10시) 시내버스 운행을 최대 20퍼센트(%)까지 감축 운영하여 왔으며, 코로나19 확산시기·계절적·시기적 요인 등도 세심하게 고려해 강화된 방역, 대응을 실시하여 왔습니다.

하지만, 최근 3월부터는 영업제한 완화 등으로 인해 평일 심야시간대의 일부 노선의 이용객수 및 혼잡도가 증가 추세를 보였습니다.


이에 따라 현재 감축운행하고 있는 서울 시내버스 356개 노선 중 '22시 이후 차내 혼잡도 80% 이상이 1주간 3일 이상 발생'하는 71개 노선에 대해 선별적, 순차적으로 운행 정상화를 시행합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적용으로 30% 감축 운행이 시행되었던 시기와 비교해, 2단계 적용 시기의 22시 이후 평일 심야시간대 평균 이용객과 혼잡도는 모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운행 정상화 기준은 감축운행 시간대 혼잡율이 80%(승객 36명) 이상이며, 혼잡이 1주간 3일 이상 발생했을 경우입니다.

시는 앞으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해 혼잡이 발생하는 노선에 대한 선별적, 순차적인 운행 정상화를 검토할 예정입니다.

 

또한 서울시의 대표적 수요대응형 대중교통 서비스인 올빼미버스, 다람쥐 버스 운행을 통하여 심야시간 및 출근시간 이동을 적극 지원합니다.

노병춘 서울시 버스정책과장은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조정과 경제 활동 정상화로 시내버스의 평일 야간 이용객도 점차 증가 추세로 이어지고 있는 만큼, 코로나19 확산 방지와 시민 이동 편의 증진을 위해 운행을 정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여전히 조기 귀가, 불요불급한 이동 자제 등 방역 지침에 대한 협조가 필요하므로,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당부드린다”고 말했습니다.

○ 평일 야간 정상 운행 대상 버스노선표

 

혼잡도 80%이상 3일

(26개노선)

혼잡도 80%이상 4일

(18개노선)

혼잡도 80%이상 5일

(27개노선)

1014번

1132번

1142번

102번

1167번

1154번

110A번 고려대

145번

1155번

1141번

3012번

1224번

1162번

320번

152번

142번

3313번

160번

2112번

5413번

2415번

2115번

5522A번 난곡

301번

2412번

5522B번 호암

3417번

2413번

571번

3425번

272번

641번

360번

3216번

643번

402번

3315번

6514번

420번

340번

6515번

421번

4319번

6627번

4212번

4412번

753번

461번

472번

7720번

501번

5513번

774번

5515번

5627번

 

5617번

603번

 

5621번

604번

 

6513번

654번

 

6628번

6640B번

 

6635번

6716번

 

6638번

7715번

 

702A번 서오릉

773번

 

7612번

 

 

7734번


출처 : 서울특별시

반응형

+ Recent posts